인체 비누

1 개요

인간지방을 이용해 만든 비누.

tit7s7nv.jpg

이탈리아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총리의 체지방으로 만든 비누.[1] 작품명은 '마니 풀리테'(깨끗한 손)로 희망 판매가는 2만3천 스위스 프랑(1억 8천만원). 1992년 이탈리아 부패추방운동의 이름이기도 하다. "자체가 더러운 인간이니 이걸로라도 사람들을 깨끗하게 하라"는 식의 조롱을 담았다고. 살아서 비누가 되었으니 동탁을 능가했다, 오오.

그 밖에도 2013년에 마이애미에 사는 예술대학 학생이 졸업작품으로 자신의 뱃살과 턱살에 지방흡입 수술을 받아서 비누를 만들었다. 그리고 그 비누로 몸을 씻는 장면까지 카메라에 찍었다. 비만을 부정적인 것으로 여길 때 그것에서 쓸만한 것을 만들어낼 수 있다라 보여주고 싶었다나.

미국에서는 지방흡입을 받은 사람들 가운데 꽤 많은 사람들이 영화 "파이트 클럽"을 봐서, 흡입한 지방을 비누 만들겠다라 요구한다고.

참고로 인체지방이 아닌 동물성 지방(우지, 라드 등)을 사용하여 만든 비누는 실제로 팔고 있다. 식물성 지방을 사용한 일반적인 비누에 비해 거품이 풍부하고 세정력이 좋다고 한다.

2 괴담

주의. 이 문서는 도시전설을 다룹니다.

해당 문서는 실제로 발생한 것으로 증명되지 않은 현상을 다룹니다. 따라서 카더라 통신에 기반한 증명되지 않은 비윤리적이거나 비과학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문서에는 일부 이용자들이 혐오하거나 범죄 등 불법적인 내용 및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일부 포함할 수 있으므로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세요. 또한, 문서의 하단에 이 틀과 함께 분류:도시전설을 포함해 주세요.
"초와 비누는 유대인, 집시, 동성애자, 공산주의자 등 독일의 적에게서 짜낸 지방으로 만든 것이었다.

그렇게 가는 거지(So it goes.)" - 커트 보네거트, 제5도살장

간혹 할일 없는 사람들이 인체의 구성 성분으로 가치있는 뭘 만들까 격론을 벌이면 1번쯤 꼭 이것과 성냥이 나온다. 어찌보면 물질만능주의의 발상일 수 있는데, 사실 인체 구성물 가운데 값나가는 성분이 워낙 없어 그나마 비누가 쓸 만하다.

비누는 유지분과 수산화나트륨만 있으면 손쉽게 만드는지라 실제로 누군가 인간으로 비누를 만들어 썼나 하는 카더라 통신도 흔하다. 이미 위에 있어

그 가장 대표적인 예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죽은 유대인의 몸에서 지방을 쥐어짜 그것으로 비누를 만들었다는 것. 유대인들이 워낙 옛날부터 비누를 만들어 써왔고, 설마 자기들의 귀중한 몸을 고작 땔깜 따위로는 안 쓰겠지 하는 의심에서 나온 듯한데 굉장히 신빙성 있게 유포했다. 특히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에서는 기정사실로 밀어붙인다.[2] 물론 나치란 집단은 유대인따위 땔감 이하로 본 집단이란 점은 잠시 상기하고 넘어가자.

괴담이 절정에 이르던 1942년경에는 게토와 수용소에 보급한 비누에 찍힌 RIF라는 이니셜 문구가 RJF로 둔갑해 'reines jüdisches Fett'(순수 유대인 지방)의 약자라는 근거(?)까지 횡행했다. 다분히 독일군의 야만성을 선전하기 위한 유언비어로, 이에 따르면 아예 체계적으로 인체 비누 공장을 운영하며 유대인 외에 폴란드인들도 썼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소문은 많은 이들에게 독일에의 공분을 일으켜 적개심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소문에 결정적인 살을 붙인 것은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 당시 영국 검사 대표인 하틀리 쇼크로스가 친구소련인의 주장을 인용했다며 한 발언. 이 때 실제로 해당 비누의 샘플이랍시고 낸 물건도 있었다. 그리고 전쟁 뒤 유대인들은 이 이야기를 의식한 듯, 죽은 동포의 유해로 정말 비누를 만들어 매장했다. 슬픈 고인드립

하지만 정작 확인 결과 물증으로 확보한 것들 중 인체 양성 반응이 나온 비누는 단 1개도 없었다. 독일 플렌스부르크 검찰은 단치히 연구소에서 인간 비누를 제조하는 데 역할을 했다는 설과 관련해 책임자인 루돌프 스패너 박사에게 법적 심문도 했다. 그러나 검찰은 1968년 1월 조사 발표에서 단치히 연구소에서 전쟁 중에 시체로 비누는 안 만들었다라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오늘날 이 소문은 전시에 쓴 유언비어로 판명난 상황이고, 이스라엘 유력 일간지조차 '나치는 절대 사람으로 비누를 안 만들었다.'라는 기사를 보도해 유언비어임을 시인했다. 많은 유대인 역사가들도 저서에서 이는 사실이 아님을 확언했다. 다만 인체 비누를 상용화하려는 연구 시도 자체는 있었을 수 있다며 일말의 여지는 남겨둔다.

도시전설은 이미 제1차 세계대전 때도 광범위하게 유포한 바 있었다. 다만 당시에는 말 그대로 카더라 통신 취급받았지만, 2차대전 때는 진짜 사실마냥 떠돌았던 차이점이 있다.

실제로 만들어도 정말 채산성 안 맞는 일이다. 그것도 가뜩이나 물자난에 시달리는 전쟁통이라면 더더욱. 게다가 당신이라면 자기 몸 닦는데 그걸 쓰고 싶겠나? 이 물건은 극소수의 변태네크로필리아들만 바랄 듯. 거기다 각종 영상으로 수용소 유태인들의 상태를 보면 알겠지만 이미 살아생전에 피골이 상접한 상태다. 이런 상태의 인체에서 기름을 짜내는건 어지간한 악의와 근성으로는 무리다.

한편, 사람이 죽은 뒤 자연적으로 몸 속의 지방이 비누와 비슷하게 바뀌는 일이 있다. 이를 시랍이라고 하며, 주로 익사한 시체가 이렇게 바뀐다.[3] 이 경우 시랍이 몸을 덮어 시체가 안 부패하고 미라와 비슷하게 보존된다. 세계 13대 마경에 언급한 무터 박물관에는 시랍화한 여성의 시체를 전시시켰다고.[4] #혐짤주의

3 창작물 등에서 소재로 쓰인 예

픽션에선 인간의 잔혹성과 관련해 상당히 자주 쓰는 소재다.

  • 영화 파이트 클럽에서 인체 비누라는 소재를 자주 언급했다. 타일러 더든은 지방흡입술로 빼낸 지방을 비누로 만들어 팔아치우고, 남은 글리세롤을 폭탄 제조에 쓴다. 이쪽은 잔혹성이라기 보다는 '지방흡입을 한 여자가 자기 지방을 도로 돈내고 산다'라며 소비사회를 비판하는 소재이다.
  • 에도가와 란포가 쓴 단편의 하나인 백주몽에서 아내를 죽인 약사가 아내의 시체를 시랍으로 만들어서 전시하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몰랐다는 이야기가 있다.
  • 에도가와 란포의 영향을 받은 요코미조 세이시의 대표작 팔묘촌에서는 특수한 상황에 놓여서 시랍화한 시체가 나온다.
  • 신암행어사 원술외전에서는 이것을 전문으로 만드는 일당이 있다. 그 리더는 인지방을 그 무엇도 대신하기 어려운 재료라며 개드립을 시전했다.
  • CSI : NY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을 대량으로 마시고 죽은 시체가 내부부터 비누화하는 경우를 소개했다.
  1. 지방흡입 수술을 받으면서 팔린 체지방이다.
  2. 비누 뿐 아니라 살갗으로는 전등을, 연골로는 아교를, 로는 단추를, 태우고 남은 찌꺼기로 비료를 만들었다는 소문도 퍼졌다. 이러한 알뜰한(?) 활용은 가히 소와 맞먹는 수준. 살갗으로 손수건을 만들어 보관하던 수용소 소장의 아내의 예가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 때 나온 예는 있다. 아우슈비츠 수용소 관광 코스 사이에 사람 머리카락으로 만든 직물도 있다. 가이드 말로는 의외로 질이 좋다고 한다. 적어도 인체로 뭔가를 만들어보겠다는 시도는 분명 했다.
  3. 물론 그 전에 물고기들이 뜯어먹거나 부패하는 일이 많다.
  4. 일명 'Soap Lady'. 참고로 무터 박물관 기념품 샵에서 이걸 모델로 한 비누를 판다고 한다. 게다가 모양마저 실제 시랍화한 시체와 똑같이 만들었다.(...) 안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