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

1 개념

入院, hospitalization

환자가 병을 고치기 위해 병원에 일정 기간 머무는 것을 말한다. 개인병원보다는 규모가 어느 정도 확보된 병원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2 입원 수속

1, 2차 의료기관의 경우 입원 수속이 쉬운 편이다, 응급실 혹은 외래 진료를 통해 입원이 필요한 상태라고 판단될 경우 입원을 할 수 있다. 단 3차 의료기관(대학병원 등)의 경우 1, 2차 의료기관에서 받은 진단의뢰서가 필요하며 담당의 재검을 통해 입원이 필요하다는 판정을 받아야 입원이 가능하다. 3차 의료기관의 유명한 의사 앞으로 예약하는 경우 짧으면 1~2개월 길면 1년 정도 기다려야 입원 밎 수술이 가능하다(주변 인맥에 3차의료기관 수간호사가 있으면 매우 좋다)병원마다 차이는 있지만 입원 판정을 받고 진료 카드 혹은 입원의뢰서를 입/퇴원 창구에 제출하면 수속이 진행된다.단 응급실을 통해 응급 처치나 수술을 진행해야 하거나 의사의 판단으로 중장기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엔 환자를 받을 조건이 만족되어야 입원이 가능하다[1]. 접수대를 통해 수속이 완료되면 안내를 받아 입원실로 이동 후 병원복으로 환복하며 추가적인 검사를 받는다.

3 입원실

병원에 따라 다르지만 1인실(특실,VIP실), 2인실, 3인실, 4인실, 6인실, 8인실 이 있다. 감염 예방과 환자의 회복을 생각하면 1인실이 가장 좋으나 국내의 경우 저렴하고 의료보험 혜택이 큰 다인실[2]을 선호한다. 장기 입원의 경우 오래 머물수록 병원비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드니 입원 초반에 1~3인 같은 상급병실에 있다가 다인실 이동 대기를 하는 편이다. 3차 의료기관의 경우 예약이 밀려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식사와 거동이 가능하면 내보내려 하는 편이다. 요양이 더 필요하면 진단의뢰서를 받아 1~2차 병원에 추가로 입원할 수 있다. 일반병동 외 환자의 상태에 따라 무균실, 중환자실, 격리실 등이 있다. 대학병원이나 전문병원의 경우 진료과에 따라 같은 진료과에 속한 환자군을 묶어 입원실 배치를 한다.

4 입원 생활

아파서 쉬러온 환자가 크게 할 일은 많지 않지만 의료진은 매우 바쁘다. 오전 6~7시 즘 병원의 하루가 시작되며 오전 회진이 시작된다담당의가 언제 올지 모르는 게 함정. 회진 후 병원밥이 나오며 식사 후 내복약이 배급되거나 주사, 수액투입, 바늘 교체, 상처부위 드레싱 일회용품의 교환 등이 이루어진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추가 진료, 수술, 검사, 물리치료 등이 이루어지며 간호사들이 수시로 환자의 상태(체온, 혈압 등)를 체크한다. 중간중간 나오는 약물과 병원밥을 먹고 멍하니 있다보면 어느 새 오후 10시 병원의 하루가 저문다.

방마다 텔레비전이 있는 경우 대개 연장자, 오래동안 병실에 있던 사람에게 리모컨이 돌아가는 경우가 흔하며, 다인실에서 티비 소리를 너무 크게 트는 것은 다른 환자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니 적당히 줄이도록 하자. 수액을 맞고 있을 경우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자, 무리하게 움직이면 혈관 손상 혹은 혈액이 링거로 역류하는 경우도 있다.처음 놓을 때만 철 바늘을 사용하고 링거가 들어가는 바늘은 플라스틱 재질의 바늘을 많이 사용해서 혈관 손상은 덜하지만 조심하지 않으면 막히거나 역류한다수액이 잘 떨어지지 않을 경우 바늘이 혈전 등으로 인해 막힐 수도 있으므로 간호사를 호출하면 상태를 보고 식염수로 뚫어(!) 주시거나 다른 곳으로 위치 변경을 해준다 안돼

입원 이틀째가 지나면 씻기 어려워 슬슬 머리에 떡이 지기 시작하며 손이나 팔을 쓰기 어려울 경우 간병인이나 가족의 도움을 빌려 씻도록 하자.(병원 내에 미용실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비싸다.) 장기입원 환자들은 머리가 지저분하게 자라기도 하기 때문에, 병실마다 돌아다니면서 '머리 다듬으실 분 없냐'고 묻는 미용사들도 있다. 옷이나 이불이 더러워졌을 경우 여벌을 요청하면 교체해준다. VIP 병실이 아닌 이상 모든 환자용 침상은 딱딱한 편이다. 보호자 침대는 더욱 낮고 딱딱해 간병 생활이 길어지면 척추나 관절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보통 입원 전에 병원 측에서 미리 환자에게 쿠션이나 방석 등을 따로 준비해서 오라고 알려주기도 한다.

5 유의 사항

이 글을 읽는 위키환자 혹은 보호자의 빠른 쾌유와 회복을 위해 유의 사항을 남긴다. 대부분은 내과 환자들을 위해 적혀 있으니, 외과 환자들은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기본적인 에티켓, 개념은 필수적으로 챙기고 가자.

  • 감염 예방
    • 손을 자주 씻거나 소독하고 전염이나 감염의 우려가 있다면 마스크를 쓰자, 환자복이나 이불도 주기적으로 교체를 부탁하자
    • 처방에 따른 병원밥을 먹을 땐 사식을 먹지 않는다. 특히 멸균식이나 저균식을 먹는 경우 더욱 외부음식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 채혈이나 수액을 위한 지혈솜, 가래나 피가 뭍은 휴지, 바늘 등은 반드시 의료폐기물 마크가 있는 봉투에 버린다, 대개 주황색이다
    • 감염의 우려가 클 경우, 문병을 제한하자 특히 노약자의 경우 병원에서의 2차 감염에 취약하다
  • 가이드라인 따르기
    • 제시간에 먹어야 하는 내복약은 제때에 잘 먹어야 한다, 특히 항생제의 경우 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잘 챙겨먹자
    • 무단 외출을 되도록 삼간다술먹겠다고 피주머니와 링거를 뽑고 이틀 동안 탈출한 목디스크 환자를 본 적이 있다
    • 술/담배는 기본적으로 금지다. 본인과 타인의 회복을 위해 몰래 먹지 말고 참도록 하자
    • 처방받은 약물 이외의 약물을 먹거나 건강식품을 섭취하지 말자, 부작용이나 수치에 이상이 생겨 재검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 문병객
    • 되도록 해가 떠 있는 시간에 문병을 받는 것이 좋다. 너무 이르거나 늦을 경우 회진같은 의료 활동에 지장이 있거나 환자가 쉴 수 없다
    • 중환자실에 방문시에는 정해진 시간에 한사람씩만 방문 가능하다. 필히 소독을 마치고 들어가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 참조.
    • 살균 처리가 된 캔음료나 병 주스가 좋다. 과일이나 김밥 등의 외부 음식은 상할 우려가 있으니 되도록 자제한다
    • 꽃을 비롯한 식물 화분 선물은 삼가한다. 환자에게 알러지를 일으킬 수 있으며 흙 속에 있는 어떤 미생물이 어떤 짓을 할 지 모른다.
    • 노약자의 문병을 제한하자. 2차 감염에 취약하다
    • 다른 환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소란스러운 행동이나 고성방가는 자제한다. (여러명이 몰려와서 크게 기도 하거나 갑자기 스님이 찾아와서 환자 옆에서 큰소리로 불경을 외우거나. 둘 다 실제 사례)
    • 아기아동은 데려오지 말자. 소리지르고 떼쓰고 우는데 가뜩이나 안정이 필요한 다른 환자들에게 민폐가 따로없다. 게다가 어린이들은 면역력이 약해서 병균에 노출되면 어른보다 위험하다. 어린 환자들은 어쩔 수 없다... 간혹 옆 칸에서 앓는 소리가 나거나, 장애인이 있는 경우 그 행위를 큰소리로 따라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자신의 자식이 그런 행동을 하면 가정교육을 똑바로 시켜주자. 주변 사람은 물론 아이에게도 좋은 방법이다.
    • 종합해 본다면 정말 왠만하면 문병은 가지 않는 것이 좋다. 환자 상태가 위중하여 다시 볼 기약이 없다면 모를까 흔히들 하는 '얼굴도장 찍기'식 문병은 환자/문병객 쌍방에게 피곤한 일이며 병원과 다른 환자들에게도 민폐다. 그냥 병원 근처에서 오랜 간병으로 지친 보호자만 만나서 위로하고 돌아가자.

6 관련 문서

  1. 대표적인 예로 미숙아의 생존을 위한 인큐베이터의 경우 입원한 병원에 인큐베이터가 없거나 병상이 가득차 입원이 불가능 할 경우 구급차를 타고 다른 병원으로 이동하는 일이 흔하다.
  2. 4인실 이하 병실은 건강보험 적용 가능하며 이상의 병실은 병원에서 받지 않거나 격리병동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차액분을 본인이 부담하게 된다. 서울 시내 3차병원의 2인실 병실차액은 1박당 15~20만원 가량 책정되어 있다. 서울성모병원의 특실이 최고가로 알려져 있는데 1박당 무려 438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