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반장

대한민국 육군의 지휘관
대(隊)급 지휘관 & 지휘자
분대장반장소대장중대장지역대장대장대대장연대장
부분대장 부소대장부중대장  부대대장부연대장
단(團)급 지휘관군(軍)급 지휘관
단장여단장사단장군단장야전군사령관집단군사령관
 부여단장부사단장부군단장부사령관
포병의 지휘관 & 지휘자사령부
포반장전포대장포대장사령관

{{틀:문서 가져옴| title=틀:육군편제단위| version=16}}

1 개요

1개 포반의 지휘자. 그리고 포병출신 병사들의 뻥카로 얼룩진 보직

포병 뿐만 아니라 보병 박격포의 포반에도 포반장 직책을 맡는 간부가 있다. 간부 포반의 실질적 분대장 역할은 포반의 사수 또는 부사수가 한다. 지휘자이기 때문에 녹색 견장을 찬다. 간부 포반의 실질적 분대장인 사수는 견장을 차는 부대도 있고, 안차는 부대도 있다.

2 상세

포병의 중대에 해당하는 포대는 비전포와 전포대로 나뉜다. 그 중에서도 전포대는 6개의 포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개의 포반이 1개의 포를 담당하는데 포반장은 그 중의 한 문의 포를 지휘한다고 보면 된다. 원래는 중사 내지는 하사로 편제돼야 하지만 부사관이 부족해서 상병장급의 병사들도 포반장을 한다. 애초에 포병은 분대장교육을 포반장교육대에서 포반장교육을 받는걸로 대체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부대마다 달라서 일부 부대에서는 간부 포반장이 존재할 시 일반 분대장교육대로 보내는 경우도 있다.

1개 포반인원(운전병 및 조종수 포함)은 155mm 견인곡사포의 경우 10~12명, 105mm 견인곡사포자주포의 경우 6~7명으로 구성된다. 편제상 인원이 이렇다는거지 실제로는 편제인원의 1~2명 부족하다. 포반간에도 중요도에 따라 편차가 있는데, 6개 포반중에서도 기준포 혹은 중심포라 하여 포탄방열 및 사격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포반이 있다. 보통 3포반이 기준포인 경우가 많으며 당연히 포반장중 주로 중사계급 이상의 최선임 포반장이 포반장으로 재직한다. 따라서 3포반에는 100% 부사관이 포반장을 맡는다. 따라서 3포반만 아니라면 포병 예비역들은 죄다 포반장 출신이라고 뻥카를 친다

3 위상

포반장의 위상을 타 병과로 환산하자면 분대장과 소대장의 중간정도 위상이라 할 수 있다. 즉 소대적인 측면과 분대적인 측면을 모두 갖고 있다. 이러한 보직을 병사가 맡는 것도 나름대로 자부심을 느끼는 경우도 존재한다.

하지만 간부 포반장과 병사 포반장의 위상은 천지차이인데, 훈련을 나가도 병사 포반장이 지휘하는 포반의 경우 이래저래 치이기 바쁘다. 특히 간부 포반장들의 악질도와 가라도가 높다면 더더욱 심하다. 보통 병신포반의 줄임말로 병포라고 부른다. 보병만 하더라도 소대장과 부소대장의 존재로 간부의 부재로 인한 패널티가 적고 기갑 병과만 하더라도 전차장이 무조건 간부여야 하므로 간부의 부재로 인한 패널티는 적어도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간부가 있어도 간부의 짬이 후달리면 고생하겠지만 병포처럼 아예 간부가 없는 것보다는 낫다.

병포의 경우 소대장에 해당하는 그러니까 자기 분대를 직접적으로 챙겨줄 간부가 없다. 포대장, 행정보급관, 전포대장, 전포사격통제관 등은 특정 포반을 직접적으로 챙겨주는 존재가 아니다. 더욱이 포병부대의 소대장격인 전포대장의 경우 포반보다는 사격지휘병하고 더 친한데다가 그 쪽을 직접적으로 챙겨주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병사 포반장이 편재된 포반은 간부 포반장이 존재하는 포반에 비해 안습할 수 밖에 없다. 즉 포상 및 표창 건의에서 밀리고, 거기에 온갖 궂은 일은 맡아가면서 대우는 대우대로 못받는 안습한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나마 병사 TO가 늘어나는걸로 만족했으면 좋겠지만 어차피 작업시키려고 붙여주는 성격이 강한지라.

그나마 차량선탑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한 병사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선탑이 가능하다는 점이 나름 메리트라면 메리트다. 그래봐야 훈련때만 선탑 자주포가 되었든 견인포를 끄는 트럭이 되었든 간에 간부가 아닌 병사 신분으로 차량을 선탑하는 것도 간지인게 전차는 말할 것도 없고, 장갑차 또한 단차장이 무조건 부사관 보임이기 때문에 병사가 차량을 선탑하는 건 꿈도 못꾸기 때문이다. 그래봐야 부질없다

전시에는 포반장은 중사로 진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