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UST에서 넘어옴)
22px-Flag_of_South_Korea.svg.png 대한민국의 국립고등교육기관
종합대학
강릉원주대학교강원대학교경남과학기술대학교경북대학교
경상대학교공주대학교군산대학교금오공과대학교
목포대학교목포해양대학교부경대학교부산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대학교순천대학교안동대학교
인천대학교전남대학교전북대학교제주대학교
창원대학교충남대학교충북대학교한경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한국체육대학교한국해양대학교한밭대학교
교육대학
경인교육대학교공주교육대학교광주교육대학교대구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서울교육대학교전주교육대학교진주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춘천교육대학교
특수대학
경찰대학공군사관학교국군간호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해군사관학교국방대학교합동군사대학
광주과학기술원대구경북과학기술원울산과학기술원한국과학기술원
한국교원대학교한국농수산대학한국전통문화대학교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대학전문대학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국제암대학원대학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한국복지대학교
UST(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科學技術聯合大學院大學校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17[1]
직역하면 그냥 과학기술대학교인건 무시하자

1 개요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에 본부를 두고 있는 미래창조과학부 소속의 대한민국 유일의 국가연구소 대학이며 석,박사 과정만 운영하는 대학원대학교이다.[2] 여러 국가연구소들이 참여하는 만큼 캠퍼스는 여러 곳에 흩어져 있다. 대부분은 대덕연구단지 내에 있으며, 서울,인천,경남 등에도 캠퍼스가 위치해 있다.

그리고 미래창조과학부 소속대학들 중 가장 늦게 나무위키에 등록되었다.

2 캠퍼스

2013년 기준 25개의 연구원과 5개의 부설연구소가 있으며, 각각은 UST 캠퍼스를 이루고 있다.

2.1 서울특별시

2.2 인천광역시

2.3 대전광역시

2.4 경기도

2.5 충청남도

2.6 경상남도

3 전공

학과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 연구와 관련한 특수전공만 개설해서 운영한다.
아래는 2013년 11월 현재 개설된 전공이다.

3.1 이학분야

  • 과학기술정책
  • 극지과학
  • 기능유전체학
  • 나노 및 바이오 표면과학
  • 나노계측과학
  • 동위원소지구화학
  • 생명정보학
  • 생물분석과학
  • 생물화학
  • 생체분자과학
  • 생체신경과학
  • 시스템생명공학
  • 원자력암의학
  • 의약 및 약품화학
  • 의학물리학
  • 지리정보시스템공학
  • 천문우주과학
  • 청정화학 및 생물학
  • 측정과학
  • 한의생명과학
  • 해양 환경화학 및 환경생물학
  • 해양생물학
  • 해양환경시스템과학
  • 핵융합 및 플라즈마

3.2 IT분야

  • HCI 및 로봇응용공학
  • ITS공학
  • 가상공학
  • 광대역네트워크공학
  • 교통물류시스템
  • 그리드 및 슈퍼컴퓨팅
  • 대전자전통신기술
  • 이동통신 및 디지털방송공학
  • 전력정보통신공학
  • 전자패키징공학
  • 정보보호공학
  • 정보통신기술경영학
  • 지능형로봇공학
  • 지식정보과학
  • 차세대소자공학
  • 컴퓨터소프트웨어 및 공학
  • 해양정보통신공학

3.3 BT분야

  • 나노바이오공학
  • 방사선동위원소 응용 및 생명공학
  • 생물공정공학
  • 식품생명공학
  • 약리 및 독성평가학
  • 의공학
  • 해양생명공학

3.4 NT분야

  • 가속기 및 빔나노공학
  • 나노메카트로닉스
  • 나노재료공학
  • 나노전자소자공학
  • 마이크로나노시스템공학
  • 전기기능소재공학

3.5 ET분야

  • 건설환경공학
  • 레이저 및 플라즈마응용공학
  • 물리탐사공학
  • 방사선계측 및 방사선안전
  • 석유자원공학
  • 선박해양플랜트공학
  • 신소재 공학
  • 신에너지기술
  • 신형원자력시스템공학
  • 양자에너지화학공학
  • 에너지변환공학
  • 에너지시스템공학
  • 에너지환경융합공학
  • 자원순환공학
  • 재생에너지공학
  • 지반 신공간 공학
  • 철도시스템공학
  • 청정공정 및 시스템공학
  • 청정연료 화학공학
  • 환경에너지기계공학
  • 플랜트기계공학
  • 핵비확산공학
  • 희소금속공학

3.6 ST분야

  • 발사체시스템공학
  • 위성시스템 및 활용공학
  • 정밀유도비행체시스템공학
  • 항공기시스템공학

4 학사관련

4.1 장학혜택

석사 월 120만원 + α
박사 월 160만원 + α
국가 연구소 대학인지라 다른 공대 대학원 및 과기원에 비해서는 많은 편이지만 원칙적으로 겸직은 금지된다.

5 여담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대학(대학원)임에도 불구하고 인지도가 정말 낮다. 이는 기존 대학(원)들과는 달리 여러 연구원들이 연합한 형태이기 때문. 실제로 위에 언급된 UST 캠퍼스(연구원)들을 아는사람들은 꽤 되지만 정작 UST를 물어보면 갸우뚱 하는경우가 상당하다. 같은 이유로 한 곳에 여러 학과가 모여있는 대학과 달리 캠퍼스들이 여기저기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각 학과간 교류도 정말 적다. 또한 국책연구원 소속이라 국책연구를 우선적으로 하게 되는데서 장단점이 있는 모양이다.

송유근이 한국천문연구원 소속 전공으로 재학중이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는 UST 사상 최연소 입학이기도 하다.

송유근이 논문표절사건에 휘말리면서 UST도 불명예를 피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더불어 송 군이 담당교수의 허락도 없이 독단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그렇지 않아도 안좋은 학계 인식에 어그로를 대폭 끌어 더욱더 사태가 악화되는 상황에 이르렀다.[7] 자세한 건 송유근 논문 표절 사건 참고.
  1. 본부 소재지. UST는 다른 대학들과는 달리 여러 연구소들이 학위과정을 운영하지 위해 연합한 형태이므로 캠퍼스가 한 곳에 있지 않고 흩어져 있다.
  2. 독일의 막스 플랑크 연구소와 비슷한 성격이다.
  3. 약칭 KIST. 1966년에 설립되었으며 한 때 KAIST와 한지붕 아래에 있었으나 현재는 분리된 상태. 자세한건 KAIST 항목 참조.
  4. 서울과기대 옆에 있으며 암 전문병원인 원자력 병원을 가지고 있다. 분원은 부산에 있다.
  5. UST의 본부역할을 한다.
  6. 약칭 KIOST. 과학기술원이란 명칭을 가졌지만 자체적으로 학위과정은 운영하지 않는다.
  7. 인터뷰 내용은 학계의 표절에 대한 엄격함을 전혀 모르는 일반인들에겐 동정론을 사고 있지만 대학원급 이상의 교육을 받은 자들에겐 어이가 없다는 평이 절대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