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버 0

파일:가이버 0.jpg

강식장갑 가이버에 등장하는 인류 최초의 가이버.

먼 과거에 강림자들이 인류에 대한 유닛G의 적성 테스트를 위해 미조제의 인간에게 식장시킨 실험체.(여러가지 논란이 많지만 '강림자가 유닛을 미조제한 인류에게 시험삼아 식장시켜봤다.'라는 문구가 분명히 존재한다. 단행본 15권 참조)

그 능력은 조아노이드 기술을 적용해 재생시킨 공룡을 처음에는 꼬리치기 콤보에 이은 삼키기에 당했지만, 공룡의 입속에서 버티다가 어금니를 부러뜨리고 탈출, 고주파 소드로 간단히 두 동강을 내버릴 정도[1]로, 강림자들이 유닛G를 장비했을 때에 비해 압도적인 능력 증폭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강림자도 파악 못한 유닛G의 장착시 사념파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기능으로 인해 강림자들의 제어에서 벗어나 폭주해버린다. 강림자들의 유적 우주선 몇개를 메가 스매셔로 파괴하고 그를 제압하기 위해 보낸 조아노이드 상당수를 도륙했다. 당시 상황을 보면 딱히 반란을 일으키려 했다기 보단 인류의 원초적인 폭력성때문에 눈에 들어오는 걸 닥치는 대로 파괴했던 듯.[2]

결국 조아로드 알칸펠이 그를 제압하러 나가는데 알칸펠은 자신이 저 정도밖에 안 되는 녀석에게 질리 없다면서 직접 붙어보려고 그냥 나가려고 했는데 알칸펠은 그를 제압할 마지막 수단이었기 때문에 만일 알칸펠이 당한다면 가이버 제로를 막을 방법이 없을 것을 염려한 강림자의 명령으로 유닛 리무버를 받고 나갔다.

가이버 제로는 돌격해오는 알칸펠을 보고 메가 스매셔를 발사했는데 알칸펠은 쉽게 피할 수 있었지만 메가 스매셔의 궤도에 강림자의 우주선이 있었기 때문에 배리어로 막아내면서 돌격해 리무버를 사용한 공격으로 가이버의 식장을 해제시키고 유닛과 분리되어 가이버의 힘을 잃어버린 그는 덜덜 떨다가 알칸펠에게 순식간에 살해당했다. 하지만 알칸펠이 자신의 압도적인 힘을 제대로 보여주지 않고 그냥 넘어가 뭔가 알칸펠이 밀리는 듯한 느낌도 받는 장면.[3]

어쨌든 이 일로 인해 강림자는 그 동안의 인류에 대한 조제실험들을 실패로 간주하고 인류를, 아니 지구 생명체를 위험한 존재로 판단해 폐기 처분을 내리게 된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현생인류보다 체구가 작은 원시인류였을텐데 식장한 형태는 현대의 가이버들보다 체구가 크다. 링크 타고 가 보면 알겠지만 소프비 모형에서는 분명 가이버들 중 가장 크다. 근데 소프비가 정확한 크기를 반영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설정상 가이버 제로의 신장과 체중은 불명이다.) 식장자가 작다고 식장한 형태가 크지 말란 법도 없고 강식장갑 가이버 설정상에서는 원시인류가 더 컸을지도 모르니[4][5] 어차피 좀 특이하다는 것 이외엔 별다른 의미는 없다.

이래저래 현재까지 가이버 식장자들 중에서 조아노이드인 사람은 한명도 없다.(가이버 2인 발키리아의 정체가 아직 불분명하기는 하지만 그녀가 굳이 조아노이드일거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전혀 없다.) 하긴 있으면 밸런스붕괴가 일어날 수 있으니...

그리고 외형은 잘 보면 가이버 1, 2, 3의 특징이 골고루 섞여있다. 전체적인 실루엣은 가이버 1, 흉부나 세부적인 체형은 가이버 2(리스카 Ver.), 얼굴은 일부를 제외하면 가이버 3를 닮았다.
  1. 참고로, 공룡을 병기로 채용하지 않은 이유는 그저 환경적응능력이 딸렸을 뿐으로, 실질 전투력은 당연히 인간을 훨씬 압도한다. 제조기술로 파워업한 공룡의 경우, 강림자들이 한마리 만으로 조아노이드 군단 수백명과 필적한다고 평가할 정도였는데 그걸 간단히 발랐다. 작중 현재시점의 가이버들과 비교하면 무기 자체는 똑같아도 그 위력은 차원이 다르다는 얘기...아마 빙하기 이후로 오랜세월에 거쳐 인류의 조아노이드 유전자가 퇴화한게 큰 원인일 것이다.
  2. 강림자들이 강식해제하라는 명령을 거부하고 '증오를 표출하면서 공격을 가했다.'라는 강림자들의 말에 따르면 폭주보다는 명령을 내리고 자신을 이렇게 만든 강림자들에 대한 증오로 공격을 가했고, 이를 막기 위해 투입된 조아노이드들을 싸그리 갈아버린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강림자에 대한 증오로 인한 반란으로 봐도 무방할 듯.
  3. 가이버 1과 3의 메가 스매셔를 그대로 되돌렸던 그 알칸펠이 힘겹게 막았기에 더 그렇게 보인다. 하지만 알칸펠이 자신의 힘을 제대로 쓰지 않은 것은 어디까지나 유닛을 안전하게 회수하고 주변의 강림자들의 우주선을 보호하기 위해서였기 때문일 확율이 높다. 제대로 안 읽으면 가이버 제로가 알칸펠과 호각으로 싸웠다고 오해하기 쉽지만, 이때의 알칸펠은 컨디션 만전의, 후세의 가이버가 만났을때 보다 더 강한 버전이란걸 감안하면 아무리 제로라도 힘의 자릿수가 다를것이다.
  4. 일단 설정상으로 가이버세계의 현생인류는 전투생명체로서는 원시인류보다 퇴화되었다는 걸 감안하면 원시인류쪽이 더 컸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5. 최근의 고인류학 연구에 의하면,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 중 평균 신장이 190~200 센티미터인 호모 기간투스라는 종도 있었다고 한다.(미스테리 매니아들은 UMA인 사스콰치나 예티가 깊은 숲이나 오지에서 아직 살아남아 있는 호모 기간투스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현재는 영장류 인간 목에서는 현생인류만 살아남았지만, 수만 년 전에는 호빗이라는 별칭을 가진 보르네오 섬의 신장 1미터 내외의 왜소 인류부터 2미터가 넘는 호모 기간투스까지 다양한 형태의 인류의 종들이 있었으니, 현실의 세계와 비교해봐도 그렇게 무리없는 설정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