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오락관/역대 게임/스피드 게임

1 개요

가족오락관 역대 스피드 게임 형식을 정리한 문서이다.

2 일반식

  • 가장 일반적인 스피드 퀴즈 형식으로 한 사람은 문제를 설명하고 다른 사람은 맞히는 형식이다.
  • 중간에는 어떤 주제와 관련된 문제를 풀기도 했다.
  • 그 이후 진동벨트를 차면서 진행했고, 10문제,15문제를 통과 없이 연속으로 맞히면 보너스 100점을 추가하기도 했다.

3 액션 스피드게임

  • 1998년 후반 경에 시작한 형식으로 3~5명의 출연자가 쇼파에 앉아서 답을 맞히고, 1명씩 돌아가면서 설명하는 형식으로, 문제 유형은 단어, 속담, 인물 성대모사, 몸짓 문제, 그림 그리기 등이 있었다.
  • 특히 인물 성대모사 문제는 여러명의 인물이 룰렛처럼 돌다가 스톱을 외쳐야 한다. 초창기에는 중간에 보너스 점수가 도입되었다. (보너스 점수는 -30~+30)
  • 1999년 5~6월 경에는 남성팀 출연자 중 한 사람이 롤러스케이트를 타고 다니는 핸디캡을 적용했다.

4 돈 세기

  • 2000년 3월부터 시작한 형식으로 제한 시간 안에 한 사람은 1,000원권 지폐를 세면서 문제를 맞히고, 한 사람은 설명하는 형식이다. 정해진 문제수와 지폐수 기준을 통과하고, 본인이 센 지폐수까지 정확하게 맞히면 해당 출연자에게 그만큼의 지폐가 돌아가게 된다.
  • 초창기에는 지폐 액수를 맞히면 지폐 액수를 보너스 점수로 추가되었다. 1,000원당 1점씩 추가
  • 2007년 4월부터는 너무 잘한다는 이유로 승마운동기구를 타면서 돈을 세기도 했다.
  • 돈을 세는 금액이 지정된 금액에 도달하지 못하면 눈대중으로 맞히는 권한을 주기도 했는데, 실제로 성공한 사례가 있었다. 1046회 방송분에 최헌이 무심코 100장을 찍었는데, 정확하게 맞혔다.

5 탁구공 옮기기

  • 기름칠한 탁구공을 젓가락으로 다른 그릇에 옮겨 담아야 한다.
  • 도입 초기에는 2인 1조였지만 3인 1조 형식으로 바뀌었다.

6 줄넘기

  • 1072회~1078회에 했던 형식으로 한 사람은 문제를 내고 다른 한 사람은 줄넘기를 하면서 문제를 맞힌다
  • 7문제 이상 맞혀야 줄넘기 횟수가 보너스 점수로 인정

7 따로 따로 스피드게임

  • 2인 1조로 설명하고 나머지 출연자가 문제를 맞힌다
  • 한 사람은 소리, 한 사람은 몸짓으로 힌트를 조합해서 맞힌다.
  • 초창기에는 한 사람이 소리와 함께 몸짓까지 하는 경우가 빈번해 그 이후 소리내는 사람은 수박, 몸짓을 하는 사람은 막대사탕을 물고 진행했다.

8 춤추는 스피드 게임

  • 2007년에 했던 형식으로 각 팀 대표가 댄서 파트너와 함께 춤을 추면서 문제를 내고 나머지 출연자들이 맞히는 형식

9 암기 스피드게임

  • 2008년 2월~6월에 시행한 형식으로 문제 맞히는 사람이 이전 문제의 답을 연달아서 말하는 형식이다.(예를 들어, 첫 문제의 답이 가족오락관이고, 다음 문제가 허참이라면, 다음 문제의 답은 가족오락관, 허참 순서대로 말하는 형식이다.).

10 주부 스피드게임

  • 2007년 12월 말~2008년 6월에 시행한 형식으로 주부 방청객 모두가 일어서서 동작으로만 문제를 출제하고 출연자들이 맞히는 형식이다.

11 폭탄 스피드게임

  • 2008년 말부터 시행한 형식으로 풍선 폭탄을 들고 12문제 이상 맞혀야한다
  • 12문제 이상 못 맞히면 폭탄이 터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