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 명칭 : 24式簡化太極拳
1 기본적인 설명
1955년 중국 공산당 국가체육위원회 무술처에서 만든 보급형 태극권. 24개의 투로로 이루어졌다고 해서 24식 간화 태극권, 줄여서 간화 태극권이라고도 한다. 1950년대 중국 정부는 전통 무술의 발굴 및 국민 건강 진흥을 위해서 기존의 우슈 중에서 널리 알려진 태극권을 배우기 쉽게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1954년 프로토타입이 완성되었는데, 여전히 일반인들에게 난해한 동작이 많어 다시금 살을 깎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1955년 드디어 24식 간화 태극권이라는 이름으로 공개가 되었고, 이를 본 중국 전역의 무술인들은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 베이스가 된 양가(楊家) 태극권의 투로중 무려 3/4을 덜어내버린데다, 중국 무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발경과 진각등 어려운 동작이나 높은 수준의 전문가에게 오랜 시간 동안 지도받지 않으면 배우기 힘든 부분은 제거해버린것. 말그대로 널리 보급하기 위해 개편된 간화 태극권은 대중들에게 환영을 받았고,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국가차원에서 각 성(省) 정부에서 간화 태극권 보급 운동을 펼쳐 몇년 만에 전국으로 확산된다. 이에 대해 간화 태극권은 태극권도 아니다 라는 전통 태극권사들의 반발이 거셌으나, 한편으로는 전통 태극권의 보급이라는 차원에서 별도의 간화 태극권을 만들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태극권의 스포츠화로 이어져서 경기 투로를 제정하게 되는 방향으로 흘러 가게 된다.
2 특징
간화 태극권의 기존 양식,진식 태극권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양식 태극권에 기초를 하여 전반적인 흐름이 부드럽고 각 동작과 동작 사이가 매끄럽다.
- 전통 태극권의 요소였던 발경과 진각을 배제하여 난이도가 대폭 낮아지고 혼자서도 무리없이 따라할 수 있게 편성되었다.
- 투로의 길이가 전통 태극권에 비해 1/4로 줄어들어, 전체 투로를 일주하는데 5~6분의 시간이 걸린다.
각 투로의 난이도는 쉬운 동작에서 부터 점차 어려운 동작으로 구성돼있다. 이는 각 동작을 개별적으로 배우는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3 국내에서의 간화 태극권
흔히, 구민 회관이나 체육 센터에서 강습하는 태극권이 바로 간화 태극권이다. 국내에서는 80년대 이후 보급된 것으로 파악된다.
4 무술로서의 간화 태극권
애초에 양생과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태극권이기 때문에, 무술로써의 효과는 그리 높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간소화했다 해도 태극권은 태극권으로, 앞서 서술한 발경와 진각과 같은 매우 고도의 동작을 제외하면 핵심 요소들은 전부 들어있기 때문에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사실 24식만으로도 전통 태극권의 대부분의 동작을 포함한다. 전통 태극권은 수련의 효용 극대화를 위해 중복된 동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 전통 태극권도 실전에서 위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추수'라는 응용 방법을 배워야 하므로 실전성의 면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다.[1] 무예로서의 가치를 중시할 것인가, 건강과 스포츠적인 가치를 중요시 할 것인가는 태극권 뿐만이 아니라, 전통 무술이 현대화되는 과정에서 논란이 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5 다른 간화 태극권
24식 간화 태극권의 선풍적인 히트로, 중국 전역의 태극권 유파들도 이에 편승해서 다양한 간화 태극권을 만들었는데, 대표적으로 진식 24식 간화 태극권이 있다. 더 나아가 24식도 너무 복잡하다고 하여 18식,10식 심지어는 아예 8식으로 줄여버린 경우도 존재한다. 24식 태극권 이후, 태극권의 보급화와 경기화가 이루어 지면서 48식, 88식 보급 태극권도 만들어 졌으나 24식만큼의 인기를 끌지 못했다.- ↑ 물론 이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고, 추수 무용론은 현재까지도 태극권계의 뜨거운 감자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추수란 수련 과정상의 추수가 아니라 경기로서의 추수를 말한다. 수련과정상의 추수를 수련하지 않으면 태극권은 무술로서의 가치가 급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