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슈

1 무술의 중국어 발음

중국어 武術(Wǔshù)이며, 표준 중국어표기법으로는 우수다. 영어로도 병음 그대로 Wushu라 표기한다.

2 중국 무술

근래 들어서는 중국권법을 간략화 해서 국제적으로 보급하기 용이하고 대회를 열어 실력을 겨루기도 좋은 폼으로 새로 만들어진 특정한 무술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1990년 북경 아시안 게임을 통해 국제경기로써 데뷔(!)했으며, 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을 통해 종목이 구체화 되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으로 개최국 예우 차원에서 올림픽 시범종목이 되었다. 당시 중국은 유도태권도가 거친 과정인 자국 올림픽 개최에서 시범종목 후 정식종목화를 노렸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 올림픽 종목 비대화를 막기위해 종목 선정이 매우 폐쇄적으로 변하면서 신규 진입 종목은 기존 종목을 밀어내고 들어와야해서 매우 가능성이 낮아졌다. 우슈는 2012년 종목 투표2016년 종목 투표에는 후보 종목으로 신청하지 않았고 2020년 종목 투표에 후보로 도전했으나 탈락했다. 태권도가 정식 종목으로 남아있고 아직도 보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 사실상 올림픽 정식 종목 진입은 어렵다.

종목은 크게 표연(表演, 초식의 모양새의 완벽함에 점수를 매기는 방식)[1]산타(散打, 대련을 하는 방식)으로 나뉘고, 표연 투로(套路)는 3종의 권법과 4종의 병기술로 나뉜다.

장권(長拳) : 화려하고 가벼운 북권의 특징을 종합하여 만들어낸 투로. 도약과 발차기가 많고 움직임이 유려하며, 보다는 을 주로 사용한다. 보통 여성들이나 아이들이 처음 시작하고 익히게 된다. 더해서, 우슈의 병기술은 모두 장권에 속하는 무술이다.

남권(南拳) : 말 그대로 남권. 장권과 비교해 보다는 이나 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도약이나 발차기의 사용이 적으며, 움직임에 무게감이 있다. 투로에서 진각의 등장이 빈번하다. 또 정해진 타이밍에 기합을 지르지 않으면 승단심사에서 감점당한다(...).

간화 태극권(式簡化太極拳) : 보급형 태극권. 말 그대로 건강체조이다.

병기술(兵器術) : 여성은 (劍)과 (槍)을, 남성은 (棍)과 (刀)를 익히게 되어있다. 여기서 는 청룡언월도 같은 장병기가 아니라, 유엽도(柳葉刀)라고 불리는 검신이 두껍고 낭창낭창 잘 휘어지는 도를 사용한다. 상대적으로 곤법과 도법이 선 공격이 많아 화려하고 파괴력이 있다.

90년대 후반에는 한국에서도 심심찮게 도장을 찾아볼 수 있지만, 요즘은 오히려 전통권 도장이 더 많을 정도로 쇠락해있다. 워낙 단순하고 배우기 쉬운 무술이라 고단자들은 이것 저것 많이 배우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래서 사범급들의 승단심사에서 산타는 매우 화려하고 볼만하다.

2014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한국에 첫 금메달을 안겨준 종목. #

개그맨 이경규가 한국의 우슈 관원 1호라고 한다. 4~5년 수련했다고. 물론 지금까지 계속 한것도 아니고 나이도 있어 지금은 제 실력을 못내지만 우슈관련 사범들이 경규옹에게는 따로 인사를 할 정도의 대선배님. 이연걸도 무술 동작을 보더니 배운 사람이라고 알아볼정도.

3 무술 영화

우슈(武朮之少年行: Wushu, 2008)

홍금보, 왕문걸 주연의 무술 영화
  1. 표현(表現)이 아니다. 드러내어(表) 공연하듯 보여준다(演)하여 표연이다. 자꾸 표현이라는 틀린 표기로 고치지 말자.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