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죽첨정 단두 유아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고! 이 문서는 충격을 유발하는 내용 혹은 표현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사용자에 따라 불쾌감, 혐오감, 공포감을 느낄 수 있는 내용, 이미지, 외부 링크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열람에 주의하시기를 바랍니다. 이 문서를 열람하여 발생한 피해는 바다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읽고 싶지 않으시면 즉시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200511110500001_1.jpg

1933년 5월 16일, 일제 치하의 경성부에서 일어난 끔찍한 사체 훼손 사건.

사건의 발단은 5월 16일, 경성부 죽첨정 3가[1]에서 끔찍하게도 잘려진 아이의 머리가 발견된 것이었다. 후두부가 갈라졌고 안의 뇌수를 긁어낸 흔적이 있는 데다가 주변에 뇌수의 파편들이 흩어져 있었다.

현장이 심하게 훼손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잘려진 아이의 머리를 조사한 경성 제국대학 의과부는 하루만에 부검 결과를 내놓았다. 아이의 연령은 1살 내외이며 남자아이이고 살아있는 상태에서 목을 베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범행시간은 목이 발견된 시점에서 역으로 10시간 이내라고 추정되었다.

그렇지 않아도 경성의 치안이 훌륭하다면서 자랑질을 해대던 총독부였기 때문에 이 엽기적인 살인사건에 전 경찰이 발칵 뒤집혔고 경성의 전 경찰에 비상이 걸리게 되었다. 몇 가지를 밝혀낸 것 말고는 별다른 성과가 없자 경찰은 이제 마구잡이로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사람들을 마구 잡아들이기 시작했다. 특히 아이의 간이 한센병에 좋다라는 속설에 혹한 한센병자들이 아이를 죽였을 것이라 지레 단정하고선 경성 내의 한센병자와 각종 거지들까지 모조리 잡아들였다.

그런 가운데 일각에서 살아있는 아이가 아니라 죽은 아이의 시체에서 목을 자른 게 아니냐는 의심이 일었고 이에 경찰은 사망한 유아들의 기록을 뒤지기 시작했다. 결국 6월 5일, 고양군 용강면 아현리[2]에 살던 한창우라는 사람의 한 살 된 딸이 잘려진 목의 주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경찰이 한창우 딸의 무덤을 파보자 아니나 다를까 시체는 목이 잘려 있었다. 목과 시체를 대조해본 결과 시체에서 목이 잘려진 것이 분명했다. 다 틀렸다

결국 인근을 이잡듯 뒤진 끝에 한창우의 집에 같이 살던 배구석이라는 사람과 배구석의 친구인 윤명구가 범인으로 체포되었다.

범행동기는 윤명구의 아들에게 있는 병 때문이었다. 뇌전증을 앓고 있던 윤명구의 아들은 여러 약을 써봐도 차도가 없었다. 그러던 차에 윤명구는 뇌전증에는 아이의 뇌수(골)가 특효약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이에 혹해서 친구인 배구석에게 아이의 뇌수를 구해달라 했던 것. 배구석은 같은 집에 살던 한창우의 어린 딸이 뇌막염으로 죽었다는 사실을 알고 윤명구에게 2원을 받아 한창우 딸의 무덤을 파헤쳐 아이의 목을 자른 뒤 뇌수를 긁어내 윤명구에게 가져다 주고 목은 죽첨정에 몰래 내다버렸던 것이었다. 그러나 아이의 뇌수를 먹고도 윤명구의 아들의 병은 차도를 보이기는 커녕 더욱 악화되어 버렸다고 한다. 당연하지

더 자세한 이야기는 경성기담을 읽어보길 바란다[3].

일본 위키피디아에서도 이 사건을 쇼와시대의 살인 사건 중 하나로 기재하고 있는데 착오가 있는지 윤명구 아들의 증세를 뇌전증이 아니라 한센병으로 말하고 있다. 어처구니 없게도 참고문헌에 경성기담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해놓은 것을 보면 뭔가 의도적인 왜곡이 아닌가라는 의구심도 든다. 게다가 관련 항목으로 조선의 민간요법, 카니발리즘을 링크해놓고 있는 걸 보면 혐한 냄새가 좀 나기는 하나, 식인은 상당히 널리 알려진 한센병에 대한 민간요법이었기도 하고 그것이 곧 카니발리즘이기도 하므로 저와 같은 건에 대해서는 약간의 사실관계 왜곡이 있다고는 하나 별 수 없다.
  1. 오늘날의 서울 중구 충정로 3가. 죽첨정은 일본어로 발음하면 '다케조에쵸' 로 초대 주 조선 일본 영사이면서 갑신정변에도 가담했던 다케조에 신이치로(竹添進一郞)에서 따온 것이다. 해방 이후 일본식 이름을 청산하면서 민영환의 시호에서 따온 충정로로 개명되었다
  2. 오늘날의 서울 서대문구 아현동
  3. 주목할 부분은 나름 제국대학 의학부(경성이지만), 그러니까 일본 최고급 의학기관에서 내놓은 부검결과라는 것이 하나도 맞는 것이 없다는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