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 케이블 접속기

1 개요

2010092811333611.jpg

정확한 명칭은 광융착접속기라고 한다. 광 케이블의 코어를 아크 방전을 통해 융착시켜 같은 종류의 광 케이블을 하나로 이어주는 기계. 가격은 대략 3000만원선.(Fujikura FSM-60S: 1400~1800)[1]

접속기 내부에 자그마한 용접기가 있어서 케이블 별 서보에 의해 코어가 정확하게 일치할 때 용접을 하면 별 다른 문제 없이 코어가 접속된다. 광 케이블의 코어는 이중 구조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접속 방법을 쓰면 제대로 연결되지 않을 뿐더러, 만약 변환 커넥터를 쓰면 접속 손실이 -10dB 씩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에 무리가 있다. 그러나 접속기를 사용하면 IL 이 -0.1dB 정도만 나오기에 장거리 연결을 위한 케이블링 작업이 더 효율적이다. 운이 좋으면 -0dB도 나오겠지만 아마 나한테 그런 운은 없겠지. 군대에서 이거 쓸때에는 까이면서 하다보니 0db는 그냥 나온다.

2 작업 순서

  • 접속할 광케이블이 있는 지점으로 이동한다.
  • 접속할 광케이블을 준비한다.
  • 광케이블의 외피를 벗겨 낸 후 각코어를 분류 한다.
  • 접속할 광케이블에 접속면을 보강할 열수축 슬리브를 각코어에 삽입한다.
  • 광케이블의 코어를 스트리퍼로 벗겨낸다.
  • 코어를 직각절단기[2] [3]에 절단한다.
  • 기기 중앙 양쪽에있는 파란부분에 파이버를 올려놓는다.(Fujikura FSM-60S기준)

fujikura-fsm-60-kit-4.jpg

  • 각 케이블의 코어를 양측에 집어넣는다.
  • 작업 시작 버튼을 누른다. [4] 기계값이 3K 라고 터치를 넣어준다.(... 디폴트 값이다.)

파일:1IAekYB.jpg

  • 위 사진과 같이 X,Y 축 이미지가 보인다. 파이버가 더럽거나, 절단각도이상, 장착불량(이건 빼냈다가 다시 장착하면 거의 해결된다.) 경보가 울리면 스트리퍼 부분까지 돌아간다. (즉, 처음부터 다시해.)
  • 케이블이 정상일 경우 내부 컴퓨터가 화상을 보고 케이블을 움직여 맞닿게 한다.
  • 아크 방전 후 융착 접속이 완료된다.
  • 접속부 화면을 확인 후 접속부에 기포나 변성이 있을 경우. 스트리퍼 부분까지 돌아간다. (뭐 어차피 기포 변성이 생기면 경보가 울려주지만. 처음부터 다시하라고.)
  • 접속기 위 아랫부분에 있는 히터에 접속면을 열수축 슬리브 중간에 위치시키고 가열한다. [5]
  • 접속 완료.

3 노하우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노하우를 전하저면 전술했듯 정밀한 접합을 위해서 서보가 달려있는 정밀기기이므로 작업량이 늘어날수록 이쪽 모터의 피로도가 높아지며 오버히트작동중지가 되어 효율과 기기수명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작업자의 경우 각 서보가 움직이지 않도록 최대한 정확하게 장착 하는것이 중요하다.

물론, 이것이 가능하냐고 반문하는 사람이 있으나 실제로 가능한 방법이며. 노하우 역시 존재한다. Fujikura 또는 일신테크의 경우 V홀더 축에 미세한 홈이 있기 때문에. (타사는 추가바람)광 케이블을 벤딩이 걸리지 않을 정도로 L자로 구부려 밀어넣으면 넣으면 바닥에 살짝 부딪힌다. 양쪽 다 그런 방식으로 삽입할 경우 X,Y축 모터가 대부분 움직이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물론 대다수는 귀찮아서 그냥 넣고 끝내겠지, 내 기계도 아니고 말야.

의외로 네트워크 엔지니어들은 잘 못 다루는 녀석이다. 다룰 줄 알면, 이상한놈 또는 바닥 또는 전봇대에서 케이블 깔다 온 놈으로 생각한다. [6]

4 기타

관련 직종이 아니라면 구경조차 하기 힘든 장비지만 남성이라면 이 장비를 만질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입대를 특기병 신청해서 케이블 접속병으로 하는 것.[7] 다른 하나는 통신공사업체에 취직하는 것. 그것도 이동통신쪽으로. 이유는 이동통신 중계기도 광케이블로 통신을 하기 때문이다.

국가기술자격 중 통신선로기능사, 통신선로산업기사, 통신설비기능장 실기시험 때 이 장비를 만지게 된다. 워낙 고가의 장비다 보니 독학으로는 숙달이 어렵고 학원 수강을 추천하는 편.
  1. 국산은 700만원대 이다. 쓸만도 하고
  2. 코어에 금을 낸 뒤 충격을 주어 정확하게 직각으로 절단되도록 하는 기기.
  3. 이것도 가격은 자동/반자동/수동에 따라 가격이 다르다. 대략 가격은 순서대로 100/80/20 이다. 국내선, 일신테크가 압도적으로 인기... 현장에 근무하는 사람은 거의 모두 반자동을 사용한다. 자동은 사용할수록 스프링탄성이 줄어들어 광코어를 재대로 절단하지 못한다.
  4. 기기마다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이다.
  5. 반드시 노출된 코어를 100% 덮어야한다. 열수축 슬리브를 넣는 이유가 노출면 보강의 목적이 있는데 노출이되면 심히 망가지며 접속부가 파절된다.
  6. 실제로 분야도 다르다.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관리해야 할 부분은 OSI 7계층에 의하면 L4,L3,L2 이고 광케이블은 L1의 분야이다. 덕분에 부딪히기도 많이하는 관계이고
  7. 만약 자신이 군에서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증 시험에서 통신선로기능사를 지원해 필기합격했다면 통신학교로 보내서 이걸 다루는 교육을 시킬것이다당연히 이게 실기니까. 하지만 보통 통신병이 신청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