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줄

1 개요

IE001273361_STD.jpg
(위 이미지는 충북 진천의 한 마을 신목에 쳐 놓은 금줄.)
禁줄

삿된 것을 금한다는 의미로 쳐 놓는 줄로, 성역과 일반 세계의 경계를 상징하는 줄이다.

한국에서는 대개 짚으로 엮는 새끼줄을 금줄로 사용하는데, 그 형태는 보통의 새끼가 오른쪽으로 꼬는 오른새끼인 것과는 반대로 왼새끼이며, 거기에 종이나 실 등을 매다는 경우도 있다. 일본에서는 고헤이를 접어서 단다.

동북아시아의, 샤머니즘이 발달한 국가에서 발견되지만 각 나라마다 재료는 다르다.

IE001273357_STD.jpg
주로 한국에서는 서낭당에서 금제(禁制)용으로 사용하며

IE001273366_STD.jpg
아이가 출산할 때도 남녀에 따라 고추[1]솔잎, 등을 매달기도 한다. 참고로 고추, 솔잎, 숯 등은 살균력이 있는 물질인데, 옛날에는 산후 조리를 잘못해 죽는 일이 잦았기 때문에 저런 살균력이 있는 것으로 금줄을 했을거라는 주장도 있다. 또한 산후 금줄의 설치는 외부인에게 자녀 출산 소식을 알리고 아기의 면역력이 약한 시기에 외부인이 출입을 제한하도록 하여 영아 사망률을 낮추는 용도도 있었다.

그 외에도 선돌에 감거나, 장승에 감거나, 사용할 수 없는 우물에 감거나 장을 담고 난 뒤 장독대에 감거나 한다.

넘어가면 부정을 탄다고 하는데, 이 경우 넘어간 사람은 둘째치고 안에 있던 사람이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안동 지역에서 전래되는 하회탈의 전승에서 탈을 만들던 도령을 사모한 처녀가 금줄을 넘어갔더니 도령이 피토하고 죽었다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 때 미완성이 되어버린 탈(턱부분이 없다)이 이매탈이라고 한다.

2 관련 항목

  1. 남자아이를 낳았을 때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