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여입학제

1 개요

기여입학제란 물질적 또는 비물질적[1]으로 대학에 기여할 수 있는 사람에게 입학시키거나, 가산점 등의 특혜를 주는 제도이다.

현재 한국 정부에서는 고교 등급제[2], 본고사와 함께 금지하고 있다. 3불정책 항목 참조.

2 시행 사례

2.1 미국의 기여입학제

미국에서의 기여입학제는 Legacy preferences라고 하는데, 이는 가족 중에 그 대학을 졸업한 사람이 있을 경우 입학 과정에서 특혜를 주는 제도이다. 가족의 기준은 대학마다 다르지만 보통 부모는 기본으로 분류된다.

이는 기부금을 얼마나 냈는지와 상관없이 특혜는 공평하게 주어진다. 2005년 조사에 따르면 대학 졸업생의 자녀들은 1,600점 만점의 구 SAT 체계에서 160점 정도의 특혜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이러한 제도는 매년 미국의 대학이 졸업생 동문회로부터 막대한 액수의 기부금[3]을 받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제도이고 기여입학제에 반대하는 미국인이 많아도 쉽사리 없어지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기여입학제를 폐지하면 졸업생 동문회가 졸업생의 자녀를 위한 혜택을 줄이는 학교의 처사에 반발하는 차원에서 기부금을 줄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모교 졸업생의 자녀를 우대해주는 관행에 가까운 것이다.

이런 관행에 대한 비판도 있다. 상술된 것처럼 자녀를 대학에 보내려는 부모로부터 거액의 돈을 받아 능력도 없는 학생을 입학시키는 제도는 원래 아니었지만 관행이란 것이 있다 보니 학벌이 세습되게 만든다는 측면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미국에서 기여입학제의 혜택을 받고 대학에 입학한 대표적인 인물로는 하버드를 나온 존 F. 케네디예일대를 나온 조지 W. 부시가 있다. 케네디와 부시의 고등학교 성적은 하버드, 예일대에 입학하기에 터무니 없이 모자랐지만[4] 부시는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대대로 예일대를 나온 덕을 본 것이다. 그 때는 그것이 어떤 대재앙을 몰고 올거라는 건 아무도 몰랐겠지..

2.2 외국 의대의 기여입학제

유럽 일부 국가나 일본 등지에선 학비가 많이 드는 의과대학에 한해서 기여 입학을 받기도 한다. 도쿄의 의과 대학에서의 연수 경험이 있는 설준희 연세대학교 교수의 칼럼에 따르면, 80명이 정원인데 졸업정원제로 해서 80명은 성적 순으로, 80명은 봉투에 적은 돈 액수 순으로 나눠 2배수인 160명을 입학시킨 뒤 2학년에 올라갈 때는 그 160명을 100명을 줄여 놓고 최종적으로 거기서 더 줄여 80명만 졸업시켜주는 식으로 운영되었다고 한다. 즉, 한국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부입학은 미국이 아니라 일본에서 운용되고 있는 셈이다.

이제 부자들은 돈을 싸들고 일본의 의대를 찾아갑니다
그런데 입학해도 결국 80명만 졸업시켜주는거면 돈봉투로 들어간 애들은 말 그대로 돈만 내고 졸업도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거 아닌가? 본격 기부금 빨아먹기신공 국내 도입이 시급합니다!

3 루머

한국에는 미국에서는 "X만 달러 내면 Y점 가산" 뭐 이렇게 대놓고 점수를 파는 전형 제도가 존재한다는 인식이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스탠포드 대학 기부입학이 800억이라는 식의 근거없는 허무맹랑한 낭설이나 헛소문이 이러한 잘못된 인식을 부채질하고 있다. 상식적으로 자기 자식을 800억을 기부해서 명문대에 입학시키는 것보다 800억을 그냥 물려주는 게 훨씬 더 도움이 된다. 800억보다 훨씬 적은 돈을 투자해서 고액 과외를 시키면 충분히 명문대에 입학할 만한 수학 능력을 만들어 줄 수도 있는데 800억을 그냥 내고 대학에 입학하려는 사람도 그런 제도도 있을리가 없다. 정운찬 전 국무총리의 발언에 따르면 미국 대학은 돈만 주면 입학시켜준다는 인식이 한국에 너무 퍼져있는 탓에 돈 많은 한국인이 미국 대학에 거액을 제시했다가 퇴짜를 맞는 나라 망신시키는 일이 빈번한 모양이다. 관련기사
  1. 외국에서는 학교의 명예를 높일 수 있는 특수한 재능을 지닌 학생의 입학을 비물질적 기여로 보기도 한다.
  2. 고등학교의 수준이 낮을 수록 등급을 낮추고 수준이 낮은 고등학교라면 성적이 높아도 대학 진학이 불리해지게 만든 제도. 장점도 있지만 이렇게 할 경우 수시는 무의미한 제도가 되어버리므로 한국에선 시행 자체가 불가능하다.
  3. 예로 하버드 대학의 2009년 한 해 기부금은 약 6억 163만 달러였다. 이 돈은 한화로 6,000억 원이 훨씬 넘는 액수다. 2011년 서울대의 기부금 모금액이 616억이었으니 10배 이상의 차이가 나는 셈이다.
  4. 괜히 실력으로 하버드에 합격하고도 가난 때문에 휘티어 대학에 가야했던리처드 닉슨이 케네디를 경멸한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