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의. 이곳은 여행유의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여행경보 1단계 '여행유의'로 지정하였습니다. 해당 지역은 치안이나 위생 등에서 어느 정도 잠재적 위험요소가 도사리고 있을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테러 등으로 현지 정세가 급박하게 전개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해당 지역을 여행 또는 체류하시는 분들은 신변안전에 유의해야 합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틀:여행경보/설명문서}}

[1]
[2]

아메리카 합중국
United States of America
국기
200px
국장 [3]
국호미합중국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독립기념일1776년 7월 4일
수도워싱턴 D.C.
상징국가The Star-Spangled Banner
국화장미
국조흰머리수리
국가 코드US
표어E pluribus unum,[4]
In God We Trust[5]
자연환경면적(영토)9,826,675 km2 (세계 3위)[6]
인문환경인구323,995,528명(2016년) (세계 3위)[6]
인구 밀도1km2당 약 32.7 명
공용 언어없음 (사실상 영어)[7]
공용 문자알파벳
종교개신교(46.5%), 가톨릭(20.8%),
유대교(1.9%), 몰몬(1.6%), 불교(0.7%),
이슬람(0.9%)힌두교(0.7%), 무교(22.8%)
정치정치체제연방국가제, 공화제, 대통령제
양당제, 양원제.
대통령버락 오바마(제44대)
부통령조 바이든
연방하원의장폴 라이언
연방대법원장존 로버츠
행정 구역주·특별구/군·독립시/시·읍·리
경제명목 GDP(전체 GDP) 18조 9,682억 $ (세계 1위)[8]
(1인당 GDP) 55,904$ (세계 5위)[9]
GDP(PPP)(전체 GDP) 17조 4189억 $ (세계 2위)[10]
(1인당 GDP) 56,421$ (세계 5위)
외환보유액1,437억 2,585만$ [11][12]
공식 화폐미국 달러 ($)
ccTLD.us[13][14][15]
단위법정 연호서력기원
시간대(UTC-5 ~ -10)
도량형미국 단위계
대한수교현황남한 단독수교(1948년)
국제연합(UN) 가입1945년
언어별 명칭
영어United States of America(USA), United States(US) / America[16]
스페인어Los Estados Unidos de América, Estados Unidos / EE. UU.
하와이[17]‘Amelika Hui Pū ‘ia
나바호어Wááshindoon Bikéyah Ałhidadiidzooígíí
체로키어ᏌᏊᎢᏳᎾᎵᏍᏔᏅᏍᎦᏚᎩ ᎾᎿ ᎠᎺᏰᏟ
프랑스어États-Unis d'Amérique, États-Unis[18] / É-U
그리스어Ηνωμένες Πολιτείες της Αμερικής, Ηνωμένες Πολιτείες / ΗΠΑ, Αμερικά
독일어Vereinigte Staaten von Amerika, Vereinigte Staaten / VSA[19]
스웨덴어 Förenta staterna, Amerikas förenta stater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Amerikas forente stater
러시아어Соединённые Шта́ты Аме́рики, Соединённые Шта́ты / США[20], Аме́рика
폴란드어Stany Zjednoczone Ameryki, Stany Zjednoczone
헝가리어Amerikai Egyesült Államok, Egyesült Államok
핀란드어Amerikan Yhdysvallat, Yhdysvallat / Amerikka
세르보크로아트어Сједињене Америчке Државе / САД(SAD)[21]
그리스어Ηνωμένες Πολιτείες Αμερικής / ΗΠΑ
한국어미합중국(美合衆國) , 아메리카합중국(아메리카合衆國) / 미국(美國)
문화어미제 원쑤 / 미국(米國) 쌀 달라고?
중국어美利堅合眾國(美利坚合众国), 合眾國(合众国) / 美國(美国)
일본어アメリカ合衆国(がっしゅうこく)

/ 米国(べいこく)

[22] 그외[23]
베트남어Hợp chúng quốc Hoa Kỳ, Hợp chúng quốc Mỹ / Hoa Kỳ,[24] Mỹ Quốc
태국어สหรัฐอเมริกา
아랍어الولايات المتحدة
،الولايات المتحدة الأمريكية
터키어Amerika Birleşik Devletleri, Birleşik Devletleri / ABD
에스페란토Unuiĝintaj Ŝtatoj de Ameriko[25], Usono
이도Unuijinti Stati de Ameriko
북아메리카의 국가
캐나다미국멕시코
G7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유럽 연합
(비공식)
G20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대한민국

프랑스

독일
?width=45
이탈리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터키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width=45
유럽 연합
APEC 가입국/지역
?width=45
대한민국
?width=45
뉴질랜드
?width=45
말레이시아
?width=45
미국
?width=45
브루나이
?width=45
싱가포르
?width=45
호주
?width=45
인도네시아
?width=45
일본
?width=45
캐나다
?width=45
태국
?width=45
필리핀
?width=45
중화 타이베이*
?width=45
중국
?width=45
홍콩
?width=45
멕시코
?width=45
파푸아뉴기니
?width=45
러시아
?width=45
베트남
?width=45
페루
?width=45
칠레
---
*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의 압박으로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참여함.
북대서양 조약기구 (NATO)
width=50
알바니아
?width=50
룩셈부르크
width=50
불가리아
width=50
슬로베니아
width=50
크로아티아
?width=50
체코
?width=50
덴마크
?width=50
에스토니아
width=50
슬로바키아
?width=50
루마니아
width=50
그리스
?width=50
헝가리
?width=50
아이슬란드
?width=50
포르투갈
?width=50
라트비아
?width=50
리투아니아
width=50
노르웨이
width=50
벨기에
?width=50
네덜란드
width=50
폴란드
width=50
캐나다
width=50
터키
width=50
스페인
width=50
이탈리아
width=50
독일
width=50
프랑스
width=50
영국
width=50
미국
UN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상임이사국
?width=45
미국
?width=45
영국
?width=45
프랑스
?width=45
러시아
?width=45
중국
비상임이사국 (2016년 ~ 2017년)
세네갈이집트일본우루과이우크라이나
비상임이사국 (2017년 ~ 2018년)
에티오피아카자흐스탄볼리비아이탈리아스웨덴
6자회담 당사국
?width=45
대한민국
?width=45
북한
?width=45
미국
?width=45
러시아
?width=45
중국
?width=45
일본
,,당시
2차 세계대전의 주요 연합국
?width=45
미국
?width=55
소련
?width=50
영국
width=42
중국
?width=45
프랑스

1 개요

"In God We Trust"

50개의 주로 이루어진 연방국이며[26] 동쪽으로 대서양, 서쪽으로 태평양, 남쪽으로는 멕시코와 카리브해(海), 북쪽에는 캐나다와 접해 있다.

문화, 경제, 군사 및 외교적의 영향력을 볼 때 이 나라를 좋아하든 싫어하든 가장 영향력이 크다는 건 부정할 수가 없는 유일한 초강대국#s-2.4이다.

그리고 대한민국에게는 역사 상 가장 친밀한 국가이며 군사동맹국이다. 대한민국, 일본,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있어 미국에게 꼭 필요한 동맹들이며 특히 대만은 중국과 수교해 단교한 이후에도 계속 동맹으로 간주, 대만관계법을 만들어 지원하고 있는 중이다. 동남아시아에서도 태국필리핀 등이 미국의 군사동맹이며 이 동맹은 호주뉴질랜드도 포함한다. 캐나다를 비롯해 유럽에서의 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국과의 군사동맹 관계는 더 이상의 설명이 必要韓紙? 미국이라는 초강대국과 군사동맹을 가진 덕에 한국은 전쟁 공포 없이 경제성장이 가능했다.

  • 세계 최강의 군사력을 가지고 있다. 미국 국방 예산만 전 세계 국방예산의 절반을 차지했던 적도 있었으며, 현재는 군비를 많이 축소한 결과(?) 현 미국의 국방예산[27]은 나머지 국방예산 2위~15위 국가들의 모든 국방예산을 합한 예산과 비슷한 규모를 가지고 있다.
  • 미국은 현재 전 세계 GDP의 23% 내외, 즉, 4분의 1을 혼자서 점유하고 있다. 브릭스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꾸준하다. 심지어 90년대 중반부터 상승하여 2000년대 초반엔 30%가 넘는 통계도 있었다.
  • 2000년~2007년의 기간 전 세계에서 미국의 경제 규모(GDP)는 나머지 2, 3, 4, 5위인 국가를 다 합친 것보다 컸었다.
  • 2014년 IMF 통계에서 미국의 GDP는 전 세계 GDP 2위와 3위에 해당하는 중국, 일본의 합보다 많고 독일을 합쳐야 겨우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다.
  • 그 유명한 노벨상 수상자가 무려 353명이다. 하버드 대학 출신 수상자만 놓고 봐도 세계 2위인 영국보다 많으며, 여기에 컬럼비아 대학교시카고 대학교를 포함하면 각각 세계 1, 4, 5위를 차지한다.
  • 미국의 1인당 GDP도 타 국가에 비해서 압도적인 편인데, 인구 3천만을 넘는 국가 중 미국보다 소득이 높은 나라는 없다.[28] 미국과 서유럽의 대기업 평균 초봉의 격차는 한국중국의 격차보다 더 크다. 통계로도 2015년 기준 미국의 1인당 GDP는 프랑스/영국에 비해 2만 달러(!) 가까이 높다. 도시국가에 비교해봐도 세계 5위권이며,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의 1인당 GDP는 카타르, 노르웨이, 룩셈부르크를 까마득히 넘는 13만 달러에 달하며, 한국에서 소득이 가장 높은 서울울산의 1인당 GDP의 3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 게다가 이 거대 규모의 경제가 대공황 이래로 80년째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다.

2 국토와 인구수

국토 크기로 볼 때 러시아, 캐나다,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나라이다.[29] 영해 면적만 놓고 보면 전 세계에서 가장 넓다. 사실상 태평양 북동부의 거의 대부분이 미국 영해이기 때문이다.

월경지이자 미국의 주 중에서 가장 큰 알래스카와 본토에서 한참 떨어진 섬인 하와이를 제외한 본토 면적은 약 770~810만 km² 으로, 중국이나 캐나다보다는 훨씬 작고, 브라질(851만)보다 작고 호주(774만)와 비슷하다. 다만 이러한 대국 중에서 거의 전 본토가 사람이 살 만한 환경을 가진 국가는 없다. 국토의 절반 이상을 쓰지 못하는 러시아, 중국, 캐나다, 호주, 브라질에 비하면 훨씬 천혜의 환경. 실제로 경작면적에서는 압도적인 세계 1위의 국토 크기를 가졌다.[30] 뉴욕에서 LA까지 3940km, 항공편으로 5~6시간이 걸리며, 본토 북쪽 끝에서 남쪽 끝인 시애틀에서 마이애미까지는 4400km에 육박하는데, 이 거대한 국토가 거의 전부 식량이 가득한 땅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계 최대의 담수호인 오대호를 이웃 캐나다와 공유하는 덕분에 식수 확보량에서도 세계 2위를 자랑한다. 말 그대로 모자란 것이 없다.

인구 수는 2015년 1월 1일 기준 3억 2060만 명으로 중국, 인도에 이어 세계 3위다. 1991년 소련 붕괴 전까지만 해도 미국 인구는 세계 4위였으나 인구 3위이던 소련의 해체로 순위가 올랐다.[31] 흔히 인구를 국력이라고 표현하는데, 미국은 선진국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줄고 있는 일본이나 서유럽과는 달리 활발히 인구증가가 계속되고 있다. 이민자 수도 많고 저출산 현상도 없다. 25년 동안 인구가 6천만명이 늘었다. 그냥 증가가 아니고 폭발적인 수준이다. 1년에 대구광역시급의 대도시 인구가 하나씩 더해지는 수준. 그럼에도 영토는 인구수에 비해 엄청나게 크다. 당장 미국보다 영토크기가 약간밖에 차이나지 않는 중국이 13억명 이상, 미국의 1/3사이즈에 불과한 인도가 10억명 이상을 지탱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인구밀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자원 또한 넘쳐나기 때문에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해도 커버가 되고도 남는게 정말 무서운 부분. 인구가 지금 당장 두 배로 늘어도[32] 그들을 먹여살릴 자원이 있는 땅이 미국이다.

그 뿐만 아니라 국토의 균형발전에 있어서도 미국은 아름다운 밸런스를 자랑한다. 남부, 서부, 중/중서부, 동부가 각각 4분의 1 (8천만 가량)의 인구를 점유하는 구조로, 4대 도시인 뉴욕 (동부), 로스앤젤레스 (서부), 시카고 (중부), 휴스턴 (남부) 역시 적당히 서로 떨어져 있다. 북미에서 가장 큰 도시인 뉴욕 대도시 권도 미국 인구의 7% 정도만이 거주할 정도로 인구 분산이 잘 이루어져 있으며, 50개 주 중 가장 큰 주인 캘리포니아 (GDP로 비교해 봤을 때 프랑스/영국과 비슷한 규모이다) 라고 해봐야 겨우 미국의 8분의 1을 차지할 뿐이다.[33]

대신 미국은 중견도시가 크게 발달해 있다.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 앤 컴퍼니의 리포트에 의하면 미국은 인구 100만이 넘는 도시권만 56개를 가지고 있으며, 이 중 절대 다수의 도시가 최소한 독일 베를린이나 일본 도쿄의 소득수준을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군다나 인구 분산은 점점 심화되는 추세라 앞으로 2030년까지 인구 100만 이상의 중견도시 수는 65개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인종의 구성은 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미국인종 주류가 단순히 백인과 흑인의 형태였다면 현재는 히스패닉이 제3의 주류세력으로 커지고 있다. 다른 국가들과 달리 이민자들에게 관대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급속히 유입된 히스패닉들이 아이를 많이 낳고 있다. 물론 2008년 이후 출산율이 떨어진 건 변수가 될 수 있지만 그렇다 해도 대부분의 모든 국가의 국민들이 미국 이민을 희망하다 보니 인구는 앞으로도 늘면 늘었지, 줄어들지는 않을 전망이다. 특히 한국, 일본, 중화민국선진국에 속하는 국가들의 국민. 그것도 중산층 이상의 고학력자 및 기술자들이 미국 이민에 열광하면서 이민의 질까지도 보장받고 있는 실정이다.

지형은 주로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한 태평양 연안 남서부, 포틀랜드시애틀이 있는 태평양 연안 북서부, 콜로라도와이오밍이 있는 중부 고산지대, 텍사스 부터 동쪽의 조지아까지 이어지는 남부 (흔히 말하는 바이블벨트라고 보면 된다)[34], 시카고미네소타주가 있는 중서부 (대평원), 그리고 뉴욕보스턴이 있는 대서양 연안 북동부가 있겠다. 각 지역의 특징을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 남서부: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네바다 등.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그 중 캘리포니아는 건조하면서도 온화한 날씨 때문에 날씨쪽으로는 천국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캘리포니아도 남부, 북부, 그리고 벨리 지역으로 나뉠수 있다. 남부는 로스엔젤레스샌디에고가 있는 일년 내내 화사한 곳이라면 북부 캘리포니아는 샌프란시스코가 중심이고 날씨가 조금은 더 추운 편이다. 로스엔젤레스는 영화 산업의 메카이고 샌프란시스코산호세 지역의 실리콘밸리는 전세계의 정보 산업의 중심지이다.[35] 또한 농업 생산량도 중부 인랜드 엠파이어를 중심으로 크다.
  • 북서부: 시애틀포틀랜드가 있는 곳. 공교롭게도 이 지역의 두 주 워싱턴주와 오리건주가 마리화나를 합법화시킨 곳이다. 그만큼 진보적인 색채가 많이 띄는 곳. 시애틀 지역은 실리콘밸리 다음으로 정보 산업이 발달되어 있는 곳이다.[36]
  • 남부: 텍사스부터 시작해서 조지아까지 이어지는 바이블밸트를 주로 일컫는다.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색채가 아주 강하다. 흑인 비율은 어느 정도 많은 편이지만 대부분 큰 도시에 있고 시골쪽은 백인이 절대 다수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경제적으로도 미국에서 가장 낙후된 곳이고 많은 지역은 시대에 뒤쳐진 느낌이 많이 난다. BYC 급의 시골 깡촌인 앨라배마 주도 한국을 압도하는 생활수준을 지녔으며, 주의 1인당 GDP가 독일과 비슷하다.[37] 남부의 간판인 텍사스 주는 20세기 후반부터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세계 8위권인 경제 규모를 가지고도 중국을 뺨치는 5-6%급 연간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다.[38] 미국 중서부에서 망해가는 제조업을 이어받고 있기도 하며 많은 한국 기업들의 공장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 로키스/중부: 콜로라도와 다른 로키스 산맥에 있는 주들을 지칭한다. 큰 도시는 덴버 밖에 없는 한적한 곳이고 보수적이며 공화당을 주로 지지한다. 하지만 콜로라도는 진보적인 색채를 보이기도 한다.
  • 중서부: 미네소타, 일리노이, 위스콘신, 미시간, 아이오와등등의 주를 가리킨다. 미국 제3의 도시 시카고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동서부남부에 비해서 백인 비율이 높은 편이다. 계속해서 민주당 대통령을 뽑아왔지만 몇몇 주들은 점차 보수화되고 있다. 한때 미국 제조업의 중심이였으나 높아진 인건비 때문에 제조업이 망해가면서 클리블랜드디트로이트같은 제조업 중심의 중서부 도시들은 급격히 게토화 되기도 했다. 기후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겨울이 매우 추운 편이다. 대륙성 기후를 띄는 편이다.
  • 북동부: 뉴욕 주, 펜실베니아 주와 메인 주까지를 가리킨다. 민주당의 지지세가 강하며 미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진보적인 편이다. 기후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겨울이 꽤 추운 편이다.

3 수도와 언어

수도는 워싱턴 D.C.지만 뉴욕으로 아는 사람도 때때로 있다. 그리고 이보다 많은 사람들이 워싱턴 D.C.가 워싱턴'주'와 같은 것으로 알거나, 혹은 그 곳에 속해 있는 도시인 줄 안다.[39] 행정적 수도는 D.C., 경제적 중심지가 뉴욕이다. 이게 워낙 자주 틀리는 이유는 원래 미국이 수도였던 곳이 뉴욕이었고 이때 미국이 외국에 알려지기 시작한 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는 설이 있다. 그냥 뉴욕이 제일 유명해서 그런걸지도

영어(미국식 영어)를 사용하는데, 미국의 법적인 "국어"는 영어가 아니며, 애초에 법적으로 지정된 연방 공용어가 없다. 그러나 2014년 기준으로 50개 주 중 31개의 주영어주 공식언어로 지정했다. 영어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언어는 스페인어이며 미국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고, 교육과정에서도 많이 가르치고 있다.[40][41] 참고로 2011년 미국통계청에 따르면 전 인구의 12.9%가 집에서 스페인어를 사용한다고 한다. [42] 그 외에도 이주민에 따라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아랍어 등도 쓰이며 이들 언어들도 교육과정에도 가르치고 있다.

4 영국과의 관계

영국으로부터 출발한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영연방(Commonwealth of Nations) 회원국은 아니다. 이웃 캐나다와 비교되는 부분. 미국이 영연방이 아닌 것은 영국보다 강력한 국가라서, 혹은 왕을 모시지 않는 민주주의의 출발지 같은 나라라서[43]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진짜 중요한 건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과정 때문이다.

대부분 영연방 국가들은 청원이나 데모같은 상대적으로 평화적인 형식으로 독립의지를 표현한 적이 있었던 곳이 많긴 하지만 미국처럼 대대적으로 전쟁을 통해 엄청난 피를 보고 독립한 경우가 거의 없다. 하지만 미국은 애초에 '서로 두들겨 패면서 싸우다가' 독립했으니 형식상이나마 '형님으로 계속 대우해드리겠습니다'라고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거기다가 독립전쟁은 유럽 각국, 특히 프랑스가 주도적으로 미국과 연합해서 진행된 전쟁이라 규모가 상당히 컸다. 즉, 영연방에 들어간다는 자체가 국가정체성의 뿌리부터 뒤흔드는것이다.

또, 독립 당시 미국의 영토는 지금보다 훨씬 작았고, 현재의 영토는 절반 이상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뒤에 기존 원주민 생활 지역이나 유럽 식민지, 혹은 멕시코 영토였던 서부지역을 전쟁이나 협박으로 빼앗아서 얻은 영토라 사실상 미국이란 나라 자체의 정체성을 100% 영국 식민지 출신으로 보기도 어렵다. 실제로 미국의 현 영토 중 영국 식민지 였던 영토는 전체의 4분의 1 정도로, 구 프랑스령 (루이지애나 및 중서부), 스페인령 (플로리다), 멕시코령 (서부), 러시아령 (알래스카) 등에 비해 작은 비율에 불과하다. 마찬가지로 미국인 중 영국계는 전체 인구의 4분의 1 정도일 뿐이다 (스코틀랜드 및 웨일스 포함, 아일랜드 제외 시).

미국이 말하는 개척정신이란 건 이런 독립 및 영토 확장 전쟁의 역사와도 맞닿아 있다. 또한 독립 이후에 자유주의를 표방하며 자의반 타의반으로 이민도 많이 받는 바람에 미국 시민의 정체성도 많이 바뀌어 국가 속성 자체가 너무 크게 바뀌어 버렸다. 미국 대통령들만 보면 여전히 영국 후예의 핏줄이 많이 섞여 있긴 하지만, 대기업이나 금융계 같은 곳에서는 다른 민족의 후예들이 이끌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결국은 두 나라가 친밀해졌는데, 그것은 미국이 독립 후 100여년 간의 어마어마한 발전으로 영국이 무시할 수 없는 힘을 점점 갖추게 된 상태에서 조금씩 교류를 늘려 나갔고 두번의 세계 대전, 특히 2차 세계 대전 때 영국을 제외한 사실상의 서유럽을 다 먹어버렸던 강적 나치독일에 맞서 같이 싸운 경험은 두 나라를 혈맹으로 만들었다. 승전 후에도 폐허가 되어버린 유럽보다 미국이 군사나 경제 등 여러 부분에서 엄청난 우위에 서게 되자 영국은 미국을 눈치를 봐야 하는 대상으로 여기게 되었고, 그 후에는 나토의 일원으로 소련에 맞서 같은 입장에서 처리하도록 노력해야 했고, 정치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구축하며 유지하게 되어버린 것이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캐나다는 영연방 회원국이라곤 해도 경제나 문화, 군사면에서 미국 의존도가 높은 관계로 외교적으로도 미국 편을 더 든다.[44] 이런 경향은 지구 반대편 오스트레일리아도 마찬가지. 영국 마저도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는 상술된 사정으로 미국과 친하다 못해 혈맹이라 불릴 수준[45]으로 친하게 지내고 있다. 때문에 미국과 영국 사이에서 의견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는 제로섬 문제가 아닌 이상 거의 없다. 지배국과 피지배국의 관계라는 역사가 있음에도 서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특이한 케이스다.[46]

5 높은 비만율

미국 요리 문서에서 크고 아름다운 식단에 감탄(...)하다보면 자연스레 깨닫게 되겠지만, 그래서인지 비만율이 세계에서 제일 높다. 비만율로 1위 먹는 나라가 이 나라와 영국, 멕시코, 호주 그리고 걸프 연안 아라비아 반도 부국들이다. 즉, 미국과 이웃인 멕시코는 둘 다 사이좋게 뚱보국가인 셈. 수천년 전까지 굶어죽지 않는게 구성원 모두의 지상최대 과제였던 인류가 그렇게 꿈꾸던 파오후 국가는 드디어 이루어졌다. 저기 저 아메리카에서

미국 주요 대도시에 가면 5피트 11인치에 264파운드, 미터법으로 180cm에 120kg[47]쯤 나가는 남성 정도는 길거리에 널렸고, 200kg에 육박하는 사람도 간혹 볼 수 있다. 현재 한국 성인 남성의 평균 신장은 173.7cm, 평균 체중이 67kg인데, 미국 남성은 한국 남성에 비해 키는 5cm 크고 체중이 25kg 더 나간다. 다시 말해 평균에 불과한 체중이 국제 표준으로는 과체중이라는 뜻이다(...). 미국 백인 남성 평균 신장 179cm, 평균 체중 91kg, 흑인 남성 평균 신장 179cm, 평균 체중 93kg, 히스패닉 평균 신장 171cm, 평균 체중 82kg가 되는데, 히스패닉도 키가 일본인과 비슷한데 몸무게는 일본인보다 20kg 더 나간다. 게다가 이건 평균치고, 진짜 비만인만 인구의 3분의 1을 초과한다. 여성의 경우 미국 여성의 키는 평균적으로 한국 남성보다 작음에도 몸무게는 한국 남성의 평균 몸무게보다 10kg가량 더 나간다. 미국 백인 여성 평균신장 166cm, 평균 체중 74kg. 미국 흑인 여성 평균신장 165cm, 평균 체중 84kg, 히스패닉 여성 평균신장 159cm, 체중 74kg. 참고로 미국 백인 여성의 평균신장에 +5 해주면 한국 30대 이상 남성의 평균 신장이 되고 평균 체중은 4~5kg이상 더 나가는 게 된다. 한국 남성보다 작은 키에 몸무게는 비슷한 건데, 같이 쳐먹어도 남성은 근육으로 가는 비중이 훨씬 크니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한가? 사람들도 크고 위대한 미국[48] 미국 남성 평균 체격을 한국인 기준으로 볼 경우 신장은 한국 남성 상위 18%, 체중은 상위 5%에 해당한다.

이러한 비만율과 조악한 의료보험, 그리고 총기소지가 자유라서 벌어지는 각종 범죄나 마약 등 각종 불법행위들과 꽤 높은 자살율 때문에 미국의 평균수명은 소위 구미 선진국에서 꼴지다. 미국에 비해 통계상 국민소득이 낮으나 삶의 질은 비슷하거나 더 높은 편인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일본, 홍콩, 싱가포르, 영국, 호주, 뉴질랜드, 핀란드, 오스트리아 등에 비해서는 물론 훨씬 딸리는 후발선진국들인 대한민국, 중화민국, 스페인, 이탈리아, 아일랜드 등에 비해서도 평균 수명이 낮다!

5.1 비만의 원인

5.1.1 환경적 요인

미국의 음식은 일반적으로 싸구려 음식일수록 달러대 칼로리 비율이 높아진다. 극단적인 예로 사탕이나 달러 버거, 튀김 음식의 경우 1달러당 600kcal 이상을 얻을 수 있지만[49], 그렇다고 필요한 열량을 하루 4~5달러짜리 싸구려 음식으로 때우면 염분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동시에 심각한 필수 영양소 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반해서 채소는 양에 비해 매우 비싸다는 인식이 전반적으로 깔려있고, 채소 음식이라고 해봐야 샐러드 딱 한개(...)만 생각날 정도로 가짓수도 엄청나게 적다. 그리고 사회적 인식상 어지간한 비만은 터치를 안하다 보니 더욱 문제. 또한 한국은 피자가 아무리 저렴해도 6천원은 넘는 것처럼 같은 음식 계열 내 가격 편차가 크지 않은데 비해 미국은 저렴한 피자[50] 한판은 2~3천원에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같은 음식이라도 퀄리티에 따라 어마어마한 가격 편차가 존재한다. 이는 피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유사한 종류의 음식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저영양 고칼로리 식품은 어딜가나 있는 할인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반면 소위 말하는 바른 먹거리의 경우 도시권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접근성의 차이 또한 있다.

즉 업무환경의 변화로 활동량은 감소하는데 저영양 고칼로리 음식은 쉽게 섭취할 수 있게된 사회, 경제, 문화적 환경의 변화가 비만의 근본적인 원인이다.

5.1.2 미국인들의 식습관

미국인들은 과거에 비해 섭취하는 칼로리가 큰폭으로 늘어났다. 외식위주의 생활습관 변화로 음식섭취가 늘어났고, 식당에서 1회에 제공되는 음식의 양은 권장량을 넘어선다. 패스트푸드점에 슈퍼사이즈 세트메뉴가 등장했고, 사람들은 탄산음료를 1리터 넘게 섭취하는 일이 흔하다.

단 음식을 좋아하는 미국인들의 식습관도 문제다. 미국인들이 1년에 소비하는 설탕만 무려 66kg으로, 하루에 반 컵 정도다. 사람들은 초콜릿과 케이크를 달고 산다. 더 심각한 문제는 유럽에서는 음료에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고 과당 콘 시럽(HFCS)이 미국에서는 기업의 로비와 정부의 보조금으로 값싸게 유통되면서 모든 곳에 사용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단맛에 중독되면 무의식적으로 더 많은 당을 섭취하려고 노력하게 되고 당이 낮게 포함된 음식은 먹지 않게 되게 만드는 것도 비만율을 더 높이는데 일조한다.

5.1.3 빈부격차

미국은 OECD 국가 중에서 빈부격차가 상위권에 드는 나라다. 이러한 빈부격차의 문제는 비만에서도 잘 나타나는데 계층별로 분석해보면 교육과 소득 하위권일수록 비만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미국의 경우 빈부격차가 심해서 하위계층이 많은 관계로 비만율이 높아지게 된다. 가난한 계층에서 높은 비만율로 이어지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채소보다는 가공식품이 싸고 요리에 시간을 들일 필요가 없어서 섭취가 간편해 저영양 고칼로리 식품을 주로 섭취하게 된다.
  • 시간과 돈에 여유가 없어 비만이 생기더라도 다이어트로 관리하는 타 계층과 달리 비만을 관리할 여력이 없다.
  • 하위계층일수록 맞벌이로 가정에 소홀히 하는 경향이 나타나서 소아비만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
  • 비만으로 인하여 사회에서 악영향을 받아 비만이 더 가난하게 만들고 후세가 이를 물려받는 악순환이 나타나게 된다.

미국 뿐만 아니라 빈곤층에 비만이 많은 멕시코, 브라질,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등의 나라면 거의 이런 이유가 대부분이다.

6 역사

미국의 역사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지역/시대별독립 이전
~1776
영토 확장
1776~1861
남북전쟁~하와이 병합
1861~1897
현대
1897~
동부제임스타운13개 식민지아메리카 합중국아메리카 합중국아메리카 합중국아메리카 합중국
플리머스 식민지
뉴 암스테르담버몬트 공화국
중부누벨프랑스루이지애나 준주아메리카 연합국
서부
남부
누에바에스파냐멕시코텍사스 공화국
캘리포니아 공화국
본토 외부러시아령 아메리카알래스카 준주
하와이 왕국하와이 공화국
영국식민지였으나 1776년 독립선언 후 파리 조약을 통해 1783년 독립을 승인받았고, 이후 서부로의 진출을 시작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프랑스, 스페인, 멕시코로부터 남부 땅들을 구입하거나 전쟁으로 빼앗았고, 원주민들의 영역인 내륙으로도 들어가 원주민들을 몰아내고 땅을 차지했으며 이후 남북전쟁대공황을 겪었고, 1차 세계대전2차 세계대전을 통해 세계 최강대국으로 떠올랐다.

냉전 이후 소련이 붕괴된 후 유일 초강대국으로 한동안 군림했지만 9.11 테러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겪었다. 하지만 국력 자체로만 따지면 미국이 세계 최강대국인 사실은 변함 없다. 아무래도 미국이라는 큰 땅과 거기서 나오는 생산력, 그리고 어마어마한 인구 덕분으로 보인다. 한 예로 비슷한 조건의 호주캐나다는 기후가 척박하고 인구밀도가 희박해 국력이 성장하지 못했다. 물론 두 나라는 미국보다는 통계 상으로 국민소득은 낮지만[51] 나름 1인당 및 총 GDP가 세계 10대권에 턱걸이 하는 지역 강국 정도 국력을 가지고 있다.

자세한 것은 미국사 문서 참고.

7 인구

이민의 나라

유럽인들이 오기 전에 상당수의 아메리카 원주민이 있던 것으로 추정하나 전염병 등으로 급감하고 서유럽인들이 주로 채운다. 그 후 노예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끌려오고 19세기 중후반부턴 남유럽, 동유럽, 아시아 등에서 인구가 밀려왔다. 21세기 들어서는 히스패닉의 유입이 가장 크다.

이민의 경우 선진국, 개발도상국, 후진국 할 것 없이 전세계 모든 나라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간다. 한국은 많이 주춤해 공식 이민은 1990년을 마지막으로 끊겼으나 박사 등 이공계 고학력자들의 이주는 계속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유일하게 외국인에게 취업을 오픈하는 IT업계는 종사자들이 지금도 미국으로 많이들 간다. 당장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애플, 인텔 등이 어느 나라 회사인지 생각해 보자. 그리고 이탈리아스페인, 포르투갈 같은 남유럽의 후발 선진국들의 경우도 미국 이민을 원하는 경우가 많다.

후진국 내진 개발도상국, 즉 중진국은 말할 것도 없다. 인도, 중국, 필리핀, 라틴아메리카, 중동 지역 등에서 지금도 수 많은 이민이 미국에 들어온다. 특히 같은 아메리카 대륙인 중남미 출신들은 타 출신들을 압도적으로 찍어 누르고 메이져 소수민족이 되어 사실 상 미국 주류에 편입되었다. 스페인어는 원래부터 루이지애나텍사스 확보 후 이 지역들에서 공용어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대도시는 적어도 전부 다 제2언어화 되었다. 뉴욕 지하철의 안내 방송도 미국식 영어 다음이 스페인어 방송이고 유튜브의 광고도 스페인어 광고들이 많다. 배너도 스페인어가 떠서 여기가 미국인지 남미인지 헷갈릴 수준.

다만 미국은 건국 이래 단 한번도 인구의 15% 이상이 1세대 이민자로 이루어 진 적이 없다. 2016년 현재도 독일 등 유럽국가에 비해 이민자 비율이 낮다(!). 생각보다 적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이주해 들어온 사람들이 몇 세대에 걸쳐 높은 출산율로 아이를 많이 낳은 결과이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에서 온 흑인의 숫자는 4백만 정도지만 오늘날엔 4천만을 넘는다. 세계인구를 감안할 때 미국은 높은 출산율에 이민 등의 이유로 더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현 추세대로라면 2055년엔 4억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서구선진국 가운데 인구가 느는 곳은 미국과 캐나다, 영국, 프랑스, 스페인 그리고 호주뉴질랜드 정도인데 다들 이민을 받아들이고 있는 곳이다. 가톨릭을 믿는 히스패닉들이 열심히 낳고 친족들을 남미에서 미국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다만 미국의 경우 유럽이나 동아시아에서 흔히 발견되는 인식 문제가 상류층을 제외하면 거의 없기는 하다. 고졸까지 제대로 키워줬으면 성인이 된 뒤 독립하는 건 당연하다는 것.[52]

다음 표에서 '증감'은 전 항목과 대비한 증감이며, '연평균 증감'은 1년 단위로 평균한 것이다.

연도인구증감연평균 증감
17903,929,214
18005,236,63133.30%2.91%
18107,239,88138.30%3.29%
18209,638,45333.10%2.90%
183012,866,02033.50%2.93%
184017,069,45332.70%2.87%
185023,191,87635.90%3.11%
186031,443,32135.60%3.09%
187038,558,37122.60%2.06%
188049,371,34028.00%2.50%
189062,979,76627.60%2.46%
190076,212,16821.00%1.92%
191092,228,53121.00%1.92%
1920106,021,56815.00%1.41%
1930123,202,66016.20%1.51%
1940132,165,1297.30%0.71%
1950151,325,79814.50%1.36%
1960179,323,17518.50%1.71%
1970203,211,92613.30%1.26%
1980226,545,80511.50%1.09%
1990248,709,8739.80%0.94%
2000281,421,90613.20%1.24%
2010308,745,5319.70%0.93%
2013316,364,0002.50%0.82%

성비는 0.97 수준으로 여초 국가이다. 태어날 때는 1.048:1로 정상 성비 수준이며 15-64세 사이에는 1로 균형이 맞고 65세 이상이 되면 0.75로 급감한다. 한국과 비교하면 한국은 남초였기 때문에전체 성비는 1 수준이며[53] 태어날 때는 1.07 수준이다.

15세 이하에선 1.09 수준이며 15세에서 64세의 활동 나이에서도 1.04 수준이다. 65세를 넘겨야 0.69로 여초가 된다. 북한은 40세 이상부터 여초고 나라 전체가 여초다. 60만 정도 더 많다.

이렇다 보니 백인이 흑인을 비롯한 비주류 인종을 사회적으로 차별하는 악습이 매우 흔했었다. 지금은 정치적 올바름 운동으로 인해 많이 나아졌지만, 곳곳에서 교묘하게 인종차별이 행해져 종종 사회적인 분노를 일으키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미국/인종차별 문서 참조.

8 종교

미국은 국교가 없으며 사실상 국교로 취급하는 종교도 없는 다종교가 공존하는 국가이다. 물론 주류는 70%를 차지하는 기독교도로 개신교의 비중이 40% 정도이며 현재 가톨릭이 거진 30%를 차지하며 무섭게 제2교파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종교가 없는 사람도 약 5% 정도로 소수지만 좀 있다.

흔히들 많은 사람, 특히 한국의 개신교 신자들 사이에서는 "미국은 청교도들이 개신교 정신으로 세운 국가이고, 건국의 아버지들은 신실한 크리스천들이었고, 국가 지도자들이 성경에(만) 손을 얹고 취임 선서하는 유일한 나라다. 그래서 하나님은 미국을 축복하신 것이다."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영국이 버지니아 제임스타운에 건설한 식민지에서 출발한 국가다. 메이플라워호는 쩌리. 건국 당시에도, 미국의 독립선언서와 헌법의 초안을 만든 소위 건국의 아버지들은 개신교나 기독교적 가치보다는 세속적 혹은 계몽주의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이었다.

3ac68cfb6eb63a9d96136cc1fedf4029.jpg

한편 미국 독립에 기여한 사람들 중에는 프리메이슨 회원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우선 벤저민 프랭클린부터 시작하여 독립선언문 서명자 9명, 미국 건국의 아버지이자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총 14명의 대통령이 프리메이슨 회원이라고 한다.

초기 대통령들은 결코 일반적인 개념에서의 개신교인들이 아니었다. 초대 대통령이었던 조지 워싱턴을 비롯해서,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은 공식적으로는 성공회 신자들이었으나 실제로는 전부 계몽주의이신론자들이었다. 그래서 이들의 영향을 받아 쓰인 미국 독립 선언서의 서문에 그 신관이 나와 있다. “우리는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창조자로부터 부여받았다” 등이다. 그들이 말하는 – 독립 선언서에 나타나는 – 신(Nature’s God) 혹은 창조자(Creator)는 순수하게 기독교에서 말하는 인격적 하느님(하나님) 개념이라 보기엔 여러모로 무리가 많으며, 비인격적인 우주 혹은 자연의 법칙(Laws of Nature)을 뜻하는 계몽주의 및 이신론의 신론이 다소 복합적으로 섞여있다. 그리고 미국 독립선언서를 기초한 토머스 제퍼슨은 예수를 구세주로 보지 않았고 성경에 나오는 예수의 기적들은 경건한 사람들의 과장으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신약성경에서 모든 기독교 교리나 기적 같은 요소, 사도들의 서간, 요한 묵시록을 가위로 잘라내고 오직 예수의 윤리적인 교훈들과 비유들만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제퍼슨 성경>은 그가 당시 전통적인 기독교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보여 주는 실례이다. 물론 서구 계몽주의와 이신론의 초월자 개념 역시도 그리스도교의 초월자 개념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부정할 수 없고, 건국의 아버지들도 일단 본인 스스로는 그리스도인이라 자처했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미국 건국에서 기독교나 개신교의 영향을 최대한 높게 평가한다고 하더라도, 건국의 아버지들이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순수한 종교적 정신으로 똘똘 뭉친 사람이라고 보긴 어렵다. 더군다나 워싱턴, 제퍼슨 등은 공식적으로 청교도가 아니라 성공회 신자이기도 하고.[54]

1791년 공포된 미국 헌법 수정안 제1조는 다음과 같은 조항을 명시했다 : "의회는 종교의 설립에 관여하거나 그것의 자유로운 실행을 금지하는 어떠한 법도 만들 수 없다." 이 수정안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요소들 중의 하나는, "유대인과 이방인, 기독교인과 이슬람교인, 힌두교인이나 모든 이교 종교인들"에게 공평하고자 했던 버지니아법(1785)이었다. 또한, 1796년 트리폴리타니아와 수교를 맺고 체결한 '트리폴리 조약'에서는 "미국 정부가 어떤 의미에서도 기독교를 바탕으로 세워지지 않았음"을 명시하고 있다(제11조).

미국은 지금도 개신교인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사이의 갈등이 상당히 심각한 나라다. 바이블벨트라 불리는 미국 남부의 주들 같은 경우 근본주의 개신교의 세력이 강하지만 서부나 동부의 몇몇 비개신교 세력이 그들과 대립하는 성향이 강하다. 특히 가톨릭을 주로 믿는 히스패닉 인구가 늘면서 개신교를 믿는 백인과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004745.gif

2014년 통계에 따르면, 미국인들의 70.6%가 기독교인이며, 그 중 개신교 신자가 약 46.5%, 가톨릭 신자가 약 20.8%이고 모르몬교가 2%, 정교회 등 기타 기독교 교파들이 1.6%이다. 그 외에 유대교 신자가 2%, 불교 신자가 0.7%, 무슬림이 0.6%, 힌두교 신자가 0.4%이다. 그러나 개신교를 하나로 묶지 않고 교단별로 나눌 시 종교 인구로는 가톨릭이 1위이며, 그 뒤를 남침례교, 감리교, 몰몬교, 그리스도의 하나님 교회, 침례교, 루터교, 장로교, 오순절교 등이 있다. 미국은 보통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서 종교적인 색채가 많이 남아있는 국가라는 인식이 강한데, 통계에서 보이듯 사실이나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불교나 이슬람교는 아시아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있으며[55] 가톨릭히스패닉의 미칠듯한 증가로 현재는 엄연히 상당수를 차지하는 교파가 되었고 영향력이 꽤 크다. 그리고 무신론자들도 동부 등의 리버럴을 중심으로 꽤 보이는데 애초 벤자민 프랭클린 등도 무신론자 대통령이었다.

소위 바이블벨트(Bible Belt) 지역이라고 불리우는 남부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굉장히 개신교 특히 침례교적 종교성이 짙으며 사회적, 정치적으로도 보수 색채가 짙다. 반면 서부 지역이나 동부 지역들은 종교적 면이 상당히 옅은 편이고 종교가 없는 세속화된 무종교인들도 많고 가톨릭 비중도 높다. 특히 아일랜드계와 이탈리아계가 이민 온 뉴욕 주는 가톨릭 교세가 강하다.

미국도 기독교 교세는 쇠퇴하는 양상이 주로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보인다. 교회가 망해 팔려서 술집이 되거나 하는 얘기들은 어느 정도 사실이다. 하지만 낙후한 남동부 주들의 경우는 아직도 굳건하다. 레드넥 문서와 바이블벨트 문서 참고.

여담으로 유럽이나 영연방 국가들, 남미 국가들과는 달리 부활절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듯 하다. 호주홍콩 등지에서는 부활절이 공휴일인데다가 사람들끼리 Happy Easter! 라고 인사를 나누는데 반해, 미국에서는 공휴일이 아니고, 사회에서는 해당 인삿말을 나누지 않는다. 물론 주식시장은 당연히 휴장한다. 그리고 부활절이랑 엇 비슷한 시기에 봄방학을 하고 주 별로, 학교별로 날짜가 각자 다르지만 대부분 일주일을 쉰다.

현재 백인의 개신교세는 쇠퇴하는 반면 중남미 이민자들의 가톨릭 교세나 서아시아나 아프리카 이민자들의 이슬람 교세는 급증하는 양상을 보여 유럽과 비슷하다. 특히 남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 본토가 루터교성공회가 유행하기 시작하는 것과 달리 미국은 주류가 아직도 굳건한 가톨릭 국가인 멕시코푸에르토리코 계라 그런지 가톨릭이 늘고 있다.

9 아메리칸 스케일

만약 현재의 세계 인구가 평균적인 미국인들처럼 소비하려 든다면, 우리는 지구라는 행성이 세 개는 필요할 것이다 - 호세 무히카[56]
실제로 미국보다 1인당 GDP가 더 높은 나라들에서 온 사람들도[57] 상대적 소득은 낮아도 삶의 질은 미국에 절대 안 밀리는 싱가포르, 독일, 벨기에, 프랑스, 캐나다, 핀란드, 네덜란드, 호주, 뉴질랜드 같은 나라에서 온 사람들조차도, 미국보다 가난하지만 물량에 있어서만은 동급인 러시아인이나 중국인들도, 경제대국이라는 일본인들도 모두 크게 놀랄만큼 무지막지한 스케일을 자랑한다.

리얼 대륙의 기상을 보여준다! 어쩌면 진짜 대륙의 기상이라는 건 사실 이 나라를 말하는 걸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말이 맞다. 엄청난 땅덩어리, 3억을 넘어 4억을 향해가는 세계 최대규모에 속하는 인구, 그리고 그것이 감당되는 경제력 등등의 수혜를 받아 크고 아름다운 스케일을 자랑한다. 이런 역대급으로 끝내주는 물량을 자랑하는 나라에 겁 없이 싸움을 건 일본 제국나치 독일이 바보다.

Chanel-686x437.jpg
땅도 크고 자원량도 크고 인구도 크고 차도 크고 도로도 크고 집도 크고, 사람도 크고, 정원도 크고 공원도 크고, 탄소 배출량도 높고, 뭣보다 가게에 들어가면 엄청난 양의 물건들이 손님들을 기다리고 있고 거리에는 차가 빼곡하며 시골의 농장은... 지평선 위에다가 세웠는지 끝이 안 보인다. 게다가 수많은 대도시에는 마천루의 숲들이 뺴곡하게 보인다.

밀리터리의 경우 웬만한 국가들에서는 기함으로 쓰는 이지스함을 항모 호위함으로나 쓰는 거대한 스케일을 보면 크고 아름답다는 말밖에 나오지 않는다. 여담으로 창작물도 스케일이 산으로 갈정도로 큰데 실제로 코믹스가 원작인 마블이나 DC, 트랜스포머같은 작품들이나 영화가 원작인 스타워즈또한 TV드라마가 원작인 스타트렉같은 인기 SF물만 봐도 그 상상력의 크기가 정말 크고 아름답다. 현실에서도 텍사스주를 설명할 때, 텍사스에서는 모든게 크고 아름다운 걸 좋아한다는 우스개소리가 있을 정도다.

여러 모로 지리적 입지가 최강대국이 되라고 의 축복을 받는 듯한 국가이기도 하다. 안보 측면에서 중국과 입지를 비교하는 얘기가 종종 나오기도 하는데 '동쪽에 물고기, 서쪽에도 물고기, 북쪽은 말 그대로 같은 동족인[58] 최우방국 캐나다, 남쪽은 더 약하고 미국에 사실상 종속된 멕시코[59] 로 대치하고 있는 적성국가가 없다. 기나긴 육상국경에 걸쳐 주변 가상적국을 견제하기 바쁜 중국과 비교하면 사실상 모든 병력이 해외에 나가 있는 천혜의 입지 조건.

하지만 안보환경을 빼더라도 미국 외에도 입지조건이 국가발전에 유리한 곳은 많다. 구소련도 그랬고 중국이나 인도도 그렇다. 멕시코나 브라질 같은 경우도 조건은 미국 못지않게 좋다. 그리고 본토는 위협이 없는데도 국방비가 GDP 5%를 쓰고 있으니 결국 최강대국의 조건은 자연 조건이 아니라 거주하는 인간인 법이라는 진리를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런데 개척 초기에는 영국 본토에서 온 높으신 분들은 개발 안 된 이 땅을 보고 살기 안 좋은 곳이라고 깠다(..) 남서부 지역이 사막 기후에 가깝다는 점[60][61]을 빼면 사람이 살기에 좋은 풍토에 농업 생산량도 좋은 땅이 많고 각종 자원도 많아서 이나 광, 탄광도 많고 석유도 나오는 데다 우라늄까지 나오는 자원채취력까지 사기 스케일 국가. 또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바다 접근성에서도 압도적이다. 배타적 경제수역 면적 세계 1위에 태평양과 대서양에 활짝 열린 엄청난 해안선을 갖고 있다. 경쟁국인 러시아나 중국의 경우 몇몇 전략 지점(해협, 섬)이 막히면 대양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걸 보면 정말 복받은 나라. 다만 역사 항목을 참고하면 알겠지만 초기 열악하다고 지적받은 입지 조건을 개척정신이라는 모토 아래 하나하나씩 제거하여 지금의 상황을 만든 나라이기도 하다.

그리고 석유가 의외로 미국에서 굉장히 많이 난다. 2015년 추정치로 사우디아라비아를 간단히 넘는 세계 1위를 자랑한다. 과거에는 알래스카 주와 멕시코 만 일대의 석유로 먹고 살았지만, 셰일가스의 발전으로 지금은 본토 전역에 걸쳐 석유가 생산된다. 지금까지 발견된 것만으로도 100년 이상은 충분히 쓰고도 남을 양인데, 더 무서운건 아직 제대로 탐사하지 않은 지역도 많다는 데 있다.[62] 괜히 Show Me the money가 아니다. 그나마 지진이나 화산활동이 비교적 활발한 편[63]. 지진도 캘리포니아와 알래스카 남부-알류산 열도를 제외하면 거의 없고, 중남부에 토네이도 앨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차감 요인이지만 땅덩이가 큰 나라치고 그런 문제 없는 나라도 드물고 동부 지역은 저런 문제에선 어느 정도 자유로운 편이다.[64]

여기에 미국에 처음 이민온 세대들도 스케일이 비범해서 13개 주로 시작한 당시부터 땅 크기만 이미 서유럽에 버금가는 준대륙급의 크기였는데 서쪽의 애팔래치아 산맥을 넘어 계속 개척을 하려고 했다. 사람도 그 시절 치고는 꽤 많아서, 독립 직후 (1800년) 기준으로도 이미 잉글랜드 본토와 별 차이없는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65] 건국 시절부터 미국인들은 이미 아메리칸 스케일을 보여주고 있었던 거다.

이렇게 동부 해안가에 기본적인 인프라가 깔린 상태에서 조금만 더 서쪽으로 나가면 자원도 풍부하고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빈 땅들이 넘쳐났기 때문에 유럽에서는 기존 체제에 절망한 이민자들이 유럽과 가까운 아메리카 대륙으로 몰려들어 미국의 인구 수는 독립 후 수십 년만에 폭등하기 시작했다. 50년만인 19세기 초중반에 이미 본국인 브리튼 섬의 인구를 넘어섰고, 이후 남북전쟁 시기가 되면 북부 지방의 공업의 발달과 땅을 거의 헐값에 주는 개척 정책에 힘입어 대부분의 영토가 개척되었다. 물론 이런 지역들은 대부분 개발이 안 되어 있어서 척박하고 치안도 기대하기 어려웠지만 거의 헐값에 땅을 준다는데 그게 무슨 상관이야?하는 사람들이 많았다.[66]

그 결과 1870년 경에 중국대영제국을 가뿐히 제쳐버리고 경제규모 세계 1위를 달성했고, 1900년 경에는 당시 세계 2, 3위였던 영국과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열강 두세 국가를 합친 것보다도 더 막강한 경제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2차대전이 끝난 1950년대에는 서유럽 전체의 경제 규모를 넘게되어 이 놀라운 생산력을 바탕으로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초강대국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시기미국서유럽
1870년98,000365,000
1913년517,000894,000
1950년1,456,0001,371,000
1998년7,395,0007,333,000

냉전 시기에는 독소전쟁의 후유증으로 경제적으로 만년 콩라인이었던 소련과 달리 전쟁 후 혼자서 경제위기로 피폐해진 서유럽을 지원할 정도로 국력의 차이는 이미 넘사벽이었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게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로 이 시기 국방예산의 증액에 대규모의 제제가 들어갔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련이 따라잡기가 버거울 정도의 엄청난 국방비였다고 한다... 국력의 차가 이 정도니 애초에 냉전에서 라도 없었으면 소련이 이길 가능성은 없었던 것이다.[67]

600px
저기 나오는 설명을 보면 알겠지만, 독일일본은 도저히 이길 수 없는 전쟁을 한 셈이다(...) 애초 자국 내 모든 공장을 돌리고 쥐어 짠 물량이 미국의 일개 공장의 물량에게 후달리는데 말이 필요없다. 전쟁에서 지는 게 당연하다. 거의 치트키 수준의 어마어마한 물량 공세는 당시 일본인이나 독일인들은 상상조차 못 하던 것이었다! 그들이 언제 유럽이나 아시아에서 그렇게 후덜덜한 물량공세를 봤단 말인가? 게다가 때려잡던 적도 중화민국 군벌들과 소련군, 폴란드 기병대 등 농민군 수준의 허접한 적들 내진 치안유지 목적으로 거의 놀러 온 영국프랑스의 식민지 주둔군이라 정신을 못 차리고 현실 감각을 잃은 상태기도 했다.

거기에 미국의 스케일을 알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농약조차 비행기로 뿌리고 (그마저도 드론으로 대체), 5명 중 4명이 차량을 소지하고 있으며 (특수차 포함), 모잠비크 32명의 소비량이 미국인 한명과 같으며, 쇠고기 생산량은 4℅인데 소비량은 25%, 거의 모든 도시가 사람의 다리, 자전거보다 자동차를 위해 만들어져 있다. 마을은 말할 필요도 없다.

특히 미국/경제 문서의 긍정론 문단 참조.

그나마 여기에 나온 사례들도 미국의 쇼미더머니 스케일을 전부 보여준 것도 아니다(...). 파고들면 외국인들은 물론 사정을 잘 모르는 미국인들도 머리가 아파질 정도로 더 많은 사례가 나온다. 1인당으로 통계를 내도 엄청나지만 전체로 통계내면 그야말로 미국만이 가능한 스케일이 나온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게임을 비롯한 각종 매체에서 등장하는 미국은 현실보다 강력한 너프를 먹고 나온다. 안 그러면 밸런스 시망 게임이 될텐데 어쩔 수 없지.[68] 문제는 그러고도 어지간한 매체에서도 매우 강하다고 묘사된다.

10 흔한 총기 사고

미국은 전 인민의 무장화에 성공한 국가란 농담이 있을 정도로 선진국 중 인구 대비 총기 보유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중 하나다. 똑같이 수렵용 총 보유가 허가되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영국, 핀란드 등과 달리 이쪽은 권총이나 자동소총등 군이나 경찰이 쓸법한 게 민간인 손에 쥐어져 있고 어린아이도 총 갖고 놀다 오발로 죽곤 한다. 그러니 총기강력사건도 비교가 안되게 많을 수 밖에 없다. 캐나다, 영국, 호주, 핀란드, 독일 같은 경우 수렵용 총은 거의 이나 늑대, 퓨마 등이 나오는 시골에서나 갖고 있지 도시에선 갖고 있는 사람도 없고[69] 이 물건은 너무 무거워 어디 들고 다닐 생각도 안 나며, 티가 나서 들고 다녀도 100% 뺏긴다. 반면 미국의 경우 총기소지 자유 덕에 자동권총의 민간 소지가 가능, 맘만 먹으면 극장이나 박물관, 미술관, 백화점 등 공공장소나 학교 등에 권총을 짱박고 들어가 맘에 안 드는 놈 쏴 죽이는게 가능하다! 돌격소총의 경우도 소지가 100% 자유라서 다른 나라는 군인들 혹은 경찰특공대나 갖고있는데 비해 미국에선 민간인들도 갖고있으며 가방 등에 넣어서 맘만 먹으면 사람많은데서 갈겨 버리는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러니 총기강력범죄가 안 나길 바라는게 더 무리다.

미국은 민간 총기 소유량 1위 국가로 [70] 물론 중남미아프리카, 서아시아, 동유럽 등은 전쟁,내전이나 범죄조직이 강대해서 합법적인 절차를 거치지않고 풀린 민간 총기들의 경우도 있으니 미국이 실제로도 가장 많을지는 확실치는 않다. [71]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알 샤바브 등 외국 테러조직의 위협이 있다고는 하지만 사실 이들 극단주의자들의 테러로 인한 사망자보다 국내 총기사고나 총기강력범죄 등으로 죽는 사망자가 훨씬 많다

미국인들의 사망 원인 2위가 총기라고도 한다 [72] 연합뉴스

하지만 총기 규제를 대폭 하기도 쉽지 않은게 NRA의 영향도 있지만 미국인들 자체가 개척자들의 후손인 만큼 , 민병대 시절부터 내려오던 총기 소유 문화를 전통으로 많이 생각하기도 한다.[73] 그래서 미국 헌법에는 모든 인민이 무기 휴대를 할수있다[74]고 명시되어 있고 민병대 소집법 등의 법안도 있다.

그리고, 수준이 높든 낮든 경찰에 의한 치안이 확보되어 있는 대다수 도시 지역들과는 달리 미국의 농촌 지역 중에는 격오지도 많이 있고 주변에 사는 사람이라고는 오직 자기 가족들뿐인 경우도 많다. 격오지의 경우 외부인의 무단 침입, 야생동물의 습격과 같은[75] 비상 시에 경찰의 출동을 기다리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고 도움을 줄만한 이웃조차 없는 경우 오직 자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 때문에 비상 시 자기방어 차원에서 총기 보유가 불가피한 지역들도 적지 않다.

또한 차량을 이용한 장거리 이동이 많은 미국에서는 수천KM에 달하는, 그야말로 스케일이 다른 긴 도로들이 미국 대륙 전체를 가로지르는데 이 기나긴 도로에서 무장강도라도 만나면[76] 경찰의 도움을 바라는게 요원하기 때문에 운전석 근처나 조수석쪽 서랍에 넣고 다니면서 관리를 딱히 안해줘도 상관없는 싸고 튼튼한 총(일명 트럭건)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많다.[77]

그리고 총기 소유가 자유로워야 시민을 억압하는 부당한 권력한테서 자유로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들이 있다. 여담으로 실제로 미국에서는 독재자나 군사쿠데타가 일어난 적이 없다. 이러한 안정적이었던 정치 환경의 원인이 시민들 각자가 총기로 무장하여 유력자가 군사력으로 나라를 엎으려는 생각을 감히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총기로 암살 당한 미국 대통령만 해도 4명이 있다. 에이브러햄 링컨 , 제임스 가필드 , 윌리엄 매킨리 , 존 F. 케네디

이 밖에도 앤드루 잭슨, 시어도어 루스벨트 , 로널드 레이건 등이 총격을 당했었고 해리 트루먼, 제럴드 포드는 총격을 당할 뻔 했었다.

하루 평균 40명 , 2016년만해도 9월까지 벌써 만명이 총기로 죽었다고한다 #

11 국방

12 정치와 사법

13 외교

14 경제

미국 경제 부분은 미국 경제의 긍정론, 부정론을 다루고 있다.

15 인종

2016년 현재 미국의 인종비율은 (유럽계) 백인 61%, 히스패닉 18%, (아프리카계) 흑인 12%, 그리고 (아시아계) 동양인 5%, 혼혈 3%, 아메리카 원주민 1%로 구성되어있다.언뜻보면 백인 비율이 생각보다 높지가 않아보이지만 총인구 3억 2천만 중 61%면 거의 2억명 가량이 백인이라는 소리다. 백인 인구만 따져놓고 본다면 백인이 가장 많은 국가가 미국. 그리고 히스패닉계 백인까지 포함하면 그 비중은 더 높아진다.

주에 따라서 인종비율이 심하게 바뀌기도 한다. 대체로 흑인 인구은 남부에 많이 분포되어있다, 예를 들어 남부의 주 미시시피와 조지아주 인구의 30%가 흑인이다. 남북전쟁 전엔 일손이었던 흑인이 농장주인 백인보다 훨씬 더 많았었는데 전쟁후 북부의 공업지대로 대거 이주해버리는 바람에 흑인인구수가 많이 줄었다. 북부로 갈수록 백인비율이 커지는데, 미네소타같은 경우엔 총 인구 90% 가까이가 백인이며 뉴햄프셔 같은 동북부 주들은 백인 비율이 95%가 넘는다.

히스패닉은 서부와 남부 그리고 쿠바계가 많은 플로리다뉴욕에 집중되어있는데, 캘리포니아뉴멕시코는 히스패닉이 이미 총 인구의 30% 이상이며 텍사스와 애리조나도 같은 전철을 밟고 있는 중이다. 참고로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텍사스, 루이지애나 남단과 뉴멕시코스페인 혈통 주민들의 역사는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동양인은 당연히 서부에 집중되어있으나 동부에도 많이 분포되어 있다. 하와이는 동양인이 유일하게 제일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주 (약 40%)이며, 본토같은 경우엔 캘리포니아의 약15%가 동양인.[78] 그 외에도 같은 서부인 오레곤과 워싱턴에도 동양인이 많이 살고 있고, 남부 대도시와 뉴욕같은 곳에도 많이 살고있다.

출신 국가의 다양성을 촉진하기 위해 1995년 회계년도에 55,000명 규모의 Diversity Immigrant Visa program을 도입하였으며 1999년도 회계년도부터는 50,000명으로 조정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도입 취지대로 지난 5년간 총 50,000명 이상의 이민자를 미국으로 보낸 국가는 추첨에서 제외되는 바람에 한국이나 캐나다 등을 포함한 13개국은 단 한번도 상기 프로그램에 포함된 적이 없다. 다만 비자 당첨률 자체가 엄청나게 낮기 때문에 일반 미국 이민 희망자들과는 별 연관이 없는 게 현실이다. 가장 최신 자료에 따르면 당첨률은 0.34%에 불과하다. 즉 10,000명이 지원하면 34명이 당첨되는거다...

2012년 오바마의 재선을 계기로 민주당의 주도로 이민문턱을 낮추려 이민법을 개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결국 양당간 다툼으로 별 개혁은 거두지 못했다. 대표적인 예로 가족초청 이민을 영영 없애버리는 대신에 현재 밀려있는 모든 가족초청 이민 대기자들을 미국으로 들여보내는 것. 참고로 가족 초청 이민은 시민권자의 형제 자매 초청을 기준으로 하면 신청 후 약 13년이 소요된다. 그리고 가족 이민 신청자의 대부분은 중남미, 아시아, 아프리카에 위치한 개발도상국 출신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들은 대부분이 막노동, 이른바 '3D'업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련업체에게 있어서는 귀하신 몸(?)으로 취급받는다. 당장 이들을 제한해 받지 않는다면, 대표적인 3D 업종인 건설업, 식당, 요식업, 제조업에 타격이 크다. 즉 미국의 입장에선 이들이 산업유지에 중요한 노동력인 셈이다.

16 스포츠

미국/스포츠 문서 참고.

17 교통

미국/교통 문서 참고.

18 생물

티라노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같은 육식공룡이나 트리케라톱스, 안킬로사우루스 같은 초식공룡 포함한 공룡들과 포루스라코스, 컬럼비아매머드, 스밀로돈, 다이어늑대, 아크토두스, 메가테리움, 하이에노돈, 엔텔로돈트 같은 고대 동물이 살았었다.

현재에는 늑대, 회색곰, 들소, 퓨마, 여우, 큰까마귀, 흰머리수리도 번성했다.

만약 인간이 사라지면 사자, 낙타, 코끼리, 치타가 미국 젼역을 누리게 된다.

19 문화

미국의 문화는 참으로 복잡하고 방대하다. 애초에 이민으로 이루어진 나라이다 보니 전 세계의 여러 문화가 혼재된 다문화주의 사회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물론 주류세력인 WASP(White Anglo Saxon Protestant)의 개신교-유럽 문화의 틀이 강하긴 하지만 소수민족과 인종, 종교의 영향력도 무작정 배제하려 하지는 않는다.

그렇게 만들어진 혼합된 현대 미국 문화를 막강한 정보력과 언론으로 전파하고 있으며 그 속도는 가히 세계 최고 수준이다. 세계 최고의 질과 양을 자랑하는 할리우드 영화로 대변되는 미국 영화의 영향력이나 애니메이션, 만화 부분에서도 세계 최대, 최고 수준이고 각종 컴퓨터 게임, 연예, 음악, 오락-엔터테이먼트의 생산, 활용 능력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역사가 깊은 국가가 아니다 보니 자발적으로 발생한 문화가 많은 편은 아닌데, 가난한 흑인들을 중심으로, 비보잉 그래피티가 포함된 힙합 문화만은 유일하게 미국에서 생겨난 문화라고 말할 수 있다.

19.1 음악

미국의 음악은 블루스, 재즈, 컨트리, 가스펠, 포크로부터 만들어진 전통적인 대중 가요 장르, 즉 로큰롤영국음악의 영향을 받은 형태로, 영국음악과 결합한 후 그 영향을 다시 세계로 퍼트리며 현재의 무지막지한 미국 음악의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특히 비틀즈는 미국의 기존 장르체계를 뒤흔들고 비치 보이즈, 롤링 스톤즈가 이들과 경쟁하며 더욱 발전시키고 밥 딜런과 최고의 선의의 경쟁관계를 만들어내며 영미 음악문화를 크게 발전시켰는데, 그 덕에 미국과 영국은 브릿팝, 팝송, 포크, 블루스 락, 심지어 헤비메탈 등을 품에서 일궈낼 수 있었다.

20세기 이후엔 전세계 음악을 혼자서 대부분 이끌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단 전 세계의 음악이 모두 미국의 대중음악에 영향을 받고 있다. 거기에다 영국에서 시작된 비틀스 (브리티시 인베이전 참고)도 있지만 비틀스가 미국에서 히트를 쳤을때에서야 이렇게 레전드 반열에 오른 것처럼 시장 스케일로(...) 압도하고 있다.

19.2 영화/드라마

미국 드라마, 미국 영화 참고.

참고로 미국의 쇼비즈니스는 전세계가 보는 영향력을 지니며 심지어 미국 대통령도 자국의 존경 받는 연예인이나 아티스트들의 부고소식을 애도하기도 한다. 캐서린 햅번이나 로빈 윌리엄스의 예가 대표적이다. 오죽하면 영화배우가 대통령이 된 나라이니 말이다.

19.3 요리

미국 요리 참고.

19.4 만화/애니메이션

틀:미국 3대 애니메이션

20 상징물

20.1 국호

정식 명칭은 아메리카합중국(United States of America), 한국식으로는 아메리카의 음차인 '미'를 붙여 미합중국으로 통하기도 한다. 줄여서 'USA'. 아메리카, 합중국(United States), 줄여서 US, 아메리카, 콜럼비아(컬럼비아)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의인화 될 경우 애칭으로 Uncle Sam(샘 아저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좀 강조해서 부르면 'MURICA 라고 불린다. 이는 약칭 중 하나인 AMERICA를 매우 힘주어서 읽은 것으로 말 그대로 미국의 강함을 찬양 내지 그것을 지나치게 찬양하는 이들을 비꼴때 쓰는 표현이다. 상기한 크고 아름다운 스케일을 찬양하는데 쓰거나, 총기사고를 깔때 등등. 읽는건 당연히 '머리카'라고 읽는다. 한국식으로 하면 '미쿡' 정도로 쓸 수 있다.

미국이라 명칭은 아메리카를 중국어로 음차한 것을 다시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79][80] 당연히 중국어에서도 미국은 美國이다.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합중국 (United States) 이라는 표현이 가장 자주 쓰이는 편이며, 이는 북/남아메리카 대륙과 헷갈릴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 명사나 형용사를 포함하는 고유명사 앞에는 'The'를 붙인다는 영어 문법에 따라 'The United States'라고 불린다. 반대로 미국 내에서 미국인들끼리는 정말 간단하게 줄여서 'the States'라고 쓰기도 한다. 한국에서 '대한민국' 대신 '한국'이나 '우리나라'라고 표현하는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에게 쓸 경우에는 헷갈릴 수도 있으니 주의하도록 하자.

다만 합중국(United States)이나 연합왕국(United Kingdom)은 원래는 그 나라의 정부 체제를 가리키는 말인데 그 나라를 대신하는 표현이 되어버렸다. 북한인들이 자국을 '공화국'이라고 부르는 것과 하나도 다를 바 없는 표현이다. 그러니 논리적으론 자국 내에서 유효한 표현이며 자국 밖에서는 쓰이지 않아야 맞을 표현이지만[81] 국력과 인지도 때문에 널리 쓰이는 표현이다.

북한은 尾(꼬리 미)를 써서 尾國이라고 한다는 떡밥이 있지만, 한글 전용이 정착된 북한에서 '미제', '미국 놈'이라고 하면 족할 것을 굳이 저런 한자 표기를 실제로 사용하는지 의문이다. 오히려 尾國은 남한 내 반미주의자들이 쓰던 표현이라고 알려져 있다.[82]

위의 표기들은 모두 중국이나 일본에서 들어온 서양 서적을 통해 퍼진 것들이지만,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조선인과 미국인의 직접 접촉에 의해 발생한 순수 국산 음차표기도 있다. 일성록에 기록된 철종 3년에 조선에 온 사우스 어메리카호라는 배의 미국인과 조선 관리들이 서로 접촉하는 과정에서 미국인들이 자신들은 "America"에서 왔다고 거듭 말한 것을 조선 관리들이 알아들은 발음을 한자로 적은 것으로 며리계(弥里界)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83] 물론 이것은 단편적인 기록으로 그쳤기 때문에 대중화되지 못했다.

일본은 미국을 언젠가 잡아먹을 것이란 의미로 米를 쓰고, 한국은 친미국가여서 美를 쓴다는 떡밥이 있지만, 사실은 음차를 하다보니 비롯된 것일 뿐. 일본이나 한국이나 전부 중국의 음차를 빌려 썼는데 어쩌다 보니 한국은 美가 굳어버렸고, 일본은 米가 굳어버렸다. 米는 일본에서 ~메 발음과 비슷하므로 일본은 米를 쓴다는 말이 있지만 사실 일본 역시 초창기에는 美와 米를 혼용하여 썼다.[84] 다만 일본어에서 米国이라고만 쓸 경우는 메가 아니라 베~코쿠로 발음된다. 일본에서도 근래에 들어서는 미국을 가리키는 단어로 "米国"보다는 "アメリカ(아메리카)"라고 쓰는 경우가 많아졌다. 다만 약칭에는 여전히 米를 사용.

미국의 넘사벽스러운 국력에 빗대어, 천조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국'이라는 호칭에 대해서, 해방 후~6.25 당시에는 미군들 보고 미 사람이라고 하면 분노했다는 이야기가 있기도 하다. 'gook'이 영어로는 안 좋은 의미라서 그렇다는 듯. gook이 한자 국(國)에서 나왔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그것과는 별 상관없는 듯하다. 자세한 것은 gook 참조. 지금은 미국인들도 자국이 한국어로 "미국"이라 불린다는 걸 잘 알고 있고 스스로 한국어로 말할때 "미국"이라고 한다.

20.2 국기

20.3 국가

21 교육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5년-중학교 3년-고등학교 4년인 곳이 대다수지만 역시 주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교육마저 통일이 안 되는 미국, 그런데 캐나다도 마찬가지인데?

그래서 총 12학년으로 이루어져있고, 텍사스(휴스턴 근처 지방)와 같은 경우 초등학교 4년-중학교 2년-하급고등학교 2년-고등학교 4년으로 되어있다. 그래도 총 12학년으로 이루어진 것은 똑같다. 보통 5~6살 (대한민국 나이 방식으론 7살)에 입학을 한다.학교에 온 것을 환영하오 낯선이여

아무래도 학년제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대한민국이나 일본처럼 '중학교 2학년' 방식으로 부르지 않고 '8학년', '12학년' 방식으로 부른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초등학교 6학년으로 지내다 미국으로 넘어오면 이미 중학교를 다니는 6학년이 되어있다.

유추가 가능하겠지만 "중학교 1학년" 같은 표현은 없다. Middle school (혹은 Intermediate s. / Secondary s.) 6th grade라고 한다. 굳이 중학교 1학년처럼 한국식으로 부르겠다면 Freshman (of Middle School, 중학교 신입생)이 되기는 한데 이때는 그냥 "프레쉬맨"이라고만 하지, 뒤의 학교명까지 붙이는건 상용표현이 아니다.

21.1 초/중등 교육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딱히 성적에 걱정할 필요없이 그냥 놀면 된다. 물론 7,8학년, 즉 고등학교 입학 직전엔 제2외국어[85] 선택과 수학 진도를 신경써야 하지만. 다만 일부 극성지방은 한국과 다를게 없다(..) 여튼 모두 공통으로 고등학교에선 진정한 헬게이트 오픈.

한국처럼 '이 지옥 같은 학교'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진짜 대학 가려는 놈들은 이때부터 정신바짝 차려야 한다. 기본적으로 일반 학생들은 그냥 일반 클래스정도 �듣겠지만 honor나 AP같이 아무래도 좀더 높은 클래스를 들으면 대학교 점수에 들어가기에 AP 클래스를 많이 들으려고 하는 학생들이 많다. 단 AP 클래스는 학교에서 요구하는 평균 점수 이상을 가지고 있어야 들을 수 있으며 선생이 공부를 빡세게 시킨다.[86]

특이하게도 교사가 학생들의 성적을 직접 매긴다. 더욱이 어느곳은 학기 점수들을 모두 합해서 매기는 곳도 있을정도. 이러니 아무리 놀고먹는 학생들이라도 막장이지 않는 이상 공부를 해야할 수 밖에 없는 상황. 그리고 아무리 성적이 좋아도 태도 부분에서 점수를 팍 깎아버릴 수도 있다. 이러니 학생들은 장난 따위를 하기 힘들며 온갖 총기난사 사고가 벌어지는 미국답게 학교내에도 경찰이 있기에 더더욱 신경쓸 수 밖에 없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건 당연히 '미국의 수능'인 SATACT. 그리고 봉사활동 시간, 사회적 활동 등등. 9학년부터 봐도된다. 원래는 11학년부터 봐도 되지만 9~10학년에 최고점수를 받으면 수재라고 불릴 정도. 한국으로 따지만 고1 때 수능을 본 거랑 같다.

물론 자기가 좋아하는 걸 공부한다는 걸 전제로 한다. 아무리 고등학교라도 대학교에 비하면 놀고 먹는거다. 대학교부터가 진짜 헬게이트. 뉴욕주는 공부자체를 빡세게 하는데 고등학교에서 패스시험을 보게해서 미달이면 계속 고등학교를 다니게 한다. 외국 학생이라도 예외는 없다. 학년말마다 시험을 보며 11학년정도에 끝난다. 더욱이 학교자체가 수준 미달이면 학교를 없애버린다. 주로 흑인 및 히스패닉동네에 있던 학교들이며 이런이유로 다른학교로 옮겨지는데 문제는 옮겨간 학교수준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문제로 학부모들은 최대한 좋은 고등학교나 사립 고등학교로 보내려고 아우성이다.

다만 이것도 지역마다 또 달라서 가난한 슬럼가의 고등학교는 출석 체크도 하는 둥 마는 둥. 성적 평가도 대충 하는 경우가 많다. 애들에게 고졸은 줘야 일자리를 구하는데 수준을 못 따라가니까 벌어지는 일. 주로 가난한 흑인 청소년들 중에 이런 케이스가 많은데 졸업하고 1~2년 니트질 하다가 갈 데가 없어지고 부모의 성화를 견디지 못하면 계약서를 쓰고 미군에 입대한다. 그 다음 운과 실력이 따르면 장기 복무 하는 거고 못 따르면 8~10년까지 연장해서 상병 복무를 하다가 제대하여 다시 백수가 된다.

대학의 경우 케이스마다 다르지만 성적, SATACT 점수, 봉사활동 및 기타활동 등등 여러가지를 따진다. 미대의 경우 포트폴리오가 제일 중요하다. 성적이 낮아도 문제없다.[87] 물론 성적이 낮다는 건 태도가 안 좋다는 이야기도 될 수 있지만 학교 성적과 인간성은 비례하지 않는 게 일반적이므로 상관이 없다. 다만 소위 지잡대로 가면 졸업하기 쉬운 건 미국도 마찬가지. 대신 취직이 안 된다.

한국에서 고등학교 졸업한 학생이 미국으로 대학교가는 건 정말로 미친짓이다. 특히나 영어가 안 되면 공부 자체가 굉장히 힘들다.[88] 토플 시험 자체가 미국 대학교 강의 일부분만 퍼온 것이다. 기본적으로 2~3시간 강의인데 토플은 그나마 쉽게 해놓은 것이다. 그래서인지 외국 학생들에게 토플 점수를 요구한다. 보통 iBT 기준 70~80점 이상에, 높은 곳은 100점(!!!)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뭐 하지만 한국에서도 명문대 입학이 가능할 정도의 실력과 영어스펙이라면 실제로 많이 딸리진 않는다. 강의도 잘 알아듣고 애초에 요즈음은 한국의 많은 좋은 대학교들이 영어강의를 하는 추세이기도 하다. 그 스펙은 서연고 스펙을 얘기하는 거냐...

최근 오바마중국보다 학업 성적이 떨어진다는 사실에 분노해 'race to the top'이라는 한국식교육정책을 시행시켰다. 부작용이 심각해 학생과 학부모들이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그럴것이 한국에 비해 미국 교육이 좀 떨어진다는 점이다. 고등학교 졸업율만 봐도 75%밖에 안된다는 점이다. 물론 한국교육 그자체를 본딴것이 아닌 공부 그 자체를 애기하는 것이다. 대부분 흑인히스패닉 학생들로 공부 안하고 놀고 먹는 학생들이 많기에 문제라는 점이다.

동부에 있는 소위 "명문"기숙 고등학교(흔히 말하는 preparatory school이 여기 포함된다.)의 경우는 유럽 레벨로 무리짓기가 심해서 대학교 가서도 그들끼리만 논다는 이야기가 많다. 사실 대학교도 인맥 쌓을려고 가는 것이다라는 애기를 많이한다. 특히 명문 대학교들.

기업에서 스폰서를 많이 하는 편이다.

토마스 파크스에 의해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미국 수학회가 설립되었다.

21.2 고등 교육

최강대국의 면모에 걸맞게 고등 교육 역시도 압도적인 위치를 자랑한다. 세계 최고의 명문대 100개를 줄세우면 그 중 절반 가량은 미국에 위치한 대학들일 정도. 하버드를 필두로 동부 최고의 사립대로 구성된 아이비 리그는 물론, 전 세계에서 이공계로는 따라올 자가 없는 MIT칼텍 같은 대학도 있으며, 중서부에는 경제학경영학에서 세계 최고인 시카고 대학교, 서부에는 미국에서 가장 들어가기 힘든 대학인 스탠포드라는 굴지의 명문대가 전국 곳곳에 퍼져있다. 공립대 역시도 매우 우수하여 캘리포니아 대학교 시스템에는 세계구급 대학이 4~5개씩 존재할 정도. 이들의 학문적인 성취는 미국 내 대학에서 배출한 노벨상 수상자의 숫자로 증명된다. 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지대한데, 베이 에어리어 일대에 실리콘 밸리가 들어선 것도 이 곳이 스탠포드 대학과 UC 버클리 인근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런 대학들은 세계 각 지역에서 우수한 학생들이 들어오려고 경쟁하기 때문에 인재마저도 최고 수준에 달한다.

다만 여기에 따른 함정 하나는 무지막지한 학비. 명문 사립대의 경우는 한 해에 6-7만 달러의 학비가 기본으로 나가며, [89] 여기에 생활비까지 고려하면 4년 다니는데 무려 2억 가까운 비용이 든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래서 금수저나 공립대를 나온게 아닌 이상 대학을 나올 경우 학자금 대출로 인한 빚을 잔뜩 지는게 당연하게 여겨질 정도. 다만 하버드와 같이 엄청난 양의 기금을 조성하고 있는 대학에 들어가는 경우 일정 이하의 소득을 가진 집안에 한해서는 전액 장학금에 숙식 제공, 여기에 용돈까지 준다. 물론 일반화하기는 어려운 이야기지만. 성적이 좋고 이름이 알려진 고등학교 출신이며 재벌수준 소득이 아닌 미국시민이라면 입학시 정부에서 크게 대학비용을 보조해주는 경우가 있지만 미국시민이 아니면 하늘에 별따기.

22 주, 국외영토

22.1 미국의 주(State)

712px-Map_of_USA_with_state_names_2.svg.png

미국은 연방국가이기 때문에 각 주가 하나의 국가와 비슷하다. 쉽게 말해 여러 국가들을 통합해 각 나라별 자치권을 인정해주되 최상위 국가기관인 연방정부가 전반적인 일을 추진하는 꼴. 그래서 각 주마다 정책들이 조금씩 다르고[90], 미국의 프로스포츠 리그들은 사실상 국가대항전과 비슷한 개념을 띈다.

알래스카하와이는 미국 본토 안에는 있지 않지만 미국 본토와 대등하게 취급되며 해당 지역과 미국 본토 48개 주 사이 여객기는 국내선으로 취급된다. 또한 이 2곳의 주에서도 본토 의회의원 및 대통령 (피)선거권이 있다.

현재는 푸에르토 리코51번째 주 승격 떡밥이 나돌고 있다. 2012년 푸에르토 리코 주민투표 결과 찬성이 61%로 통과되었다. 하지만 주 승격은 미 연방이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일이기에 지금으로서는 의미가 없는 투표 결과다. (2014년 기준) 현재 연방 의회는 허가는 커녕 논의조차 할 생각이 없다. 주민 대부분이 히스패닉인데다 영어도 사용하지 않고 스페인어를 쓰며, 공식적으론 영어도 쓸 수 있지만 써봤자 잘 알아듣지도 못한다. 더불어 인구 41%가 빈곤소득선 밑에 있는 푸에르토 리코가 주가 된다면 그것대로 연방에 짐덩어리가 되는 데다, 히스패닉+빈곤함 특성이 겹쳐 민주당 텃밭이 될 것이 뻔하기 때문에 공화당과 보수 미국인들이 달가워할 리가 없다.

22.2 특별구

22.3 속령

이 곳들은 각자가 자치권이 있으며 미국 본토에 대한 대통령 선거권/피선거권이 없다. 다만 표결권이 없는 미국 하원 의원 1명이 배정된다(컬럼비아 특별구도 마찬가지). 또한 올림픽 등 출전도 따로 한다. 미국 본토 및 하와이에서 이 곳으로 올 경우 별도의 출입국 심사가 필요하다.[91] 중국-홍콩의 관계와 매우 비슷하다. 이 지역들은 미국과는 비자 정책도 다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중화민국은 미국 무비자 이전부터 , 북마리아나 제도, 푸에르토리코 등에 무비자로 입국 가능했다.

명칭수도시간대
유인도
American Samoa(사모아) (AS)파고파고 (Pago Pago)UTC-11
Guam(괌) (GU)하가트냐 (Hagåtña)UTC+10
Nothern Mariana Islands(북마리아나 제도) (MP)사이판 (Capital Hill Saipan)UTC+10
Puerto Rico(푸에르토 리코) (PR)산 후안 (San Juan)UTC-4
U.S. Virgin Islands(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VI)샬럿 아말리 (Charlotte Amalie)UTC-4
무인도,환초
Baker Island(베이커 섬)
Howland Island(하울랜드 섬)
Jarvis Island(자르비스 섬)
Johnston Atoll(존스턴 환초)
Kingman Atoll(킹먼 환초)
Midway Atoll(미드웨이 환초)
Navassa Island(나배사 섬)UTC+5
Palmyra Atoll(팔마이라 환초)
Wake Island(웨이크 섬)

22.4 나무위키에 등재된 미국의 도시

23 트리비아

각국의 유명인들이 가장 탐내는 곳이 바로 미국이다. 각국의 사업가들과 비지니스들이 탐내는 곳도 미국이며, 수많은 나라에서 사람들이 오는 곳이다.과장 좀 보태서 말하자면 '미국에서의 성공 = 전세계에서 가장 큰 성공' 정도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94]

또한 학교도 세계 5대 학교 대부분을 차지하는 곳이 미국이다. 모든 사업가, 모든 해외의 기업들이 다국적기업으로 가기 위한 발판의 1순위가 미국이다. 이유는 아주아주 간단하다. 인구가 선진국 중에서 가장 많다. 즉 구매력 있는 계층이 가장 많다는 것. 인구가 3억이 넘으면서 시민들의 대다수가 경제력이 되는 나라는 전 세계에서 미국밖에 없기 때문이다.

인도나 중국이 단순하게 인구만 보면 압도적이지만 그 모든 인구의 상당부분이 경제력을 가진 사람이 아니며, 경제력이 되는 규모의 인구가 많으면서도 인구가 많지 않은 국가에 비해 보다 한 국가에서만 집중적으로 투자해도 잘먹고 잘 살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 이외의 다국적 기업들이 가장 먼저 지사를 세우는 나라가 어디인지 생각해보면 금방 답이 나온다.

더군다나 인구 역시 줄어들 기세도 없으면서 교육수준이 되는 젊은 이민자들도 늘어나니 교육에 관한 세금에 대한 부담도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이민으로 인구를 불리니 일본과 독일을 비롯한 대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해 심지어 중국마저도 장기적으로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고령화 문제에서도 어느 정도 자유롭다. 언어까지 많은 국가들에서 통용되는 영어를 사용하니 미국으로 기업이 진출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국제 문제에 관해서는, 특히 군사 문제에 관해서는 뭘 해도 욕먹는 나라다. 분쟁이 있어서 개입을 하면 패권주의라고 까이고 개입하지 않으면 이기적이라고 까인다. 블랙 호크 다운으로 유명해진 소말리아 내전 개입은 정작 미군이 딱히 얻을 것도 없이 개입한데다 큰 잘못을 저지르지는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패권주의라고 까였고 거기서 욕 좀 먹은데다 희생도 있어서 몸 좀 사렸던 콩고 전쟁의 경우 개입하지 않았다고 이기적이라고 까였다. 지금은 이슬람 국가가 난동을 부리는데 개입하지 않는다고 욕먹는 중이다. 물론 이라크 전쟁이라든지 여러 병크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좀 이중잣대로 까이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달리 보자면 미국이 그만큼 국제사회에 제대로 영향을 미칠 힘이 있다는 인식이 넓게 퍼져있다는 증거이기도 하지만. 한국이 이라크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이기적이라고 까거나 반대로 베트남 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고 패권주의라고 까는 경우가 없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돈지X의 나라의 이미지답게 재무부의 시크릿 서비스(United States Secret Service)가 대통령이나 정부 고위관료의 경호 업무를 맡고 있었다. (2003년부터 시크릿 서비스는 국토안보부 산하 기관이 되었다.) 여기에는 여러 사정이 있는데 건국 당시 미국은 대통령제를 도입하지만 토머스 제퍼슨 등은 연방 정부의 비대화를 반대하였고 대통령과 연방 정부가 주 정부나 시민들을 억압하지 못한다는 명목으로 권력을 대폭 축소시켜서 한동안 대통령 경호실이나 친위 부대 개념 자체가 없었다(…).

그 후 남북전쟁이 터지면서 위조지폐가 돌기 시작하자 위조지폐를 단절하기 위해 재무부에 시크릿 서비스라는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연방 수사 기구를 만든다. 이후 대통령 암살 사건이 끊이지 않고 터지자 대통령 경호의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고 전후 위조지폐 문제가 수그러들어서 할 일이 없어진 시크릿 서비스에 경호 업무를 준 것이다.

또한 수백 년 간의 역사에서 유럽에서도 한동안 빈발했던 쿠데타가 없다.[95]

국민성이 굉장히 보수적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워낙 넓고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보니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주로 서부로 갈수록 개방적, 진보적이며 동부로 갈수록 보수적인데, 진보적인 곳은 심지어 서유럽 빰칠 정도인 도 있다. 다만 보수적인 지역은 선진국 중 꽤나 보수적인 한국보다도 보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가정교육 방식도 엄하며 애니메이션 규제는 총을 물총으로 바꾸는 정도다.[96]

흔히 미국산 게임이나 만화속에서 나오는 과장된 표현등을 보면서 '자유의 나라라서 자유로운 표현이 보장되는구나' 싶겠지만, 자세히 파보면 한국과 맞먹거나 한국보다 더할 정도로 꼼꼼한 검열을 적용하고 있다.검열기준이 어떻게 다른거길래?[97] 방송사가 해당 프로그램의 등급에 맞지 않는 방송을 내보내면 전국의 시청자, 특히 아이를 둔 부모들로부터 산더미같은 고소장을 받기 때문이다(...) 다만 이미 R등급(19금)을 받은 방송은 아동 성범죄같은 민감한 사항을 제외하면(이게 거의 유일한 금기사항) 정말 막나간다(...) 성진국의 물건을 수입해올 때 원본을 초월한 수위의 물건을 따로 요구한다고...모자이크 처리가 되지 않은 성인 애니메이션의 대명사가 북미판으로 불린다는것만 봐도(...)]

명실공히 전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다민족 국가이기도 하다. 그나마 비슷한 민족들 사이에서 생긴 혼혈의 역사 정도나 있었던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미국은 건국 초기부터 다민족 상태로 시작하였으며, 이 때문에 민족간 갈등도 많이 겪었고 이후 다민족에 대한 대우가 좋은 편에 속한다. 물론 미국의 역사가 이제 200년을 갓 넘긴 상태라서 완전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적어도 단일 민족으로 시작해서 다민족 문제를 겪고있는 다른 국가들에 비하면 더 나은 편이라 할 수 있다.

전 인민의 무장화에 성공한 국가지만(...) 영화나 드라마와는 달리 민간인은 총기의 휴대 및 사용이 쉽지만은 않다. 이에 대한 법령은 주나 도시마다 매우 다르기 때문에 딱 잘라 말하기는 힘들지만, 대체로 도시로 갈수록 빡빡하고, 시골로 갈수록 총기 구하기가 쉽다. 또한 사냥에 쓸만한 큰 라이플 등등이 구하기 쉽고, 숨기기 쉬운 권총 등은 구하기가 더 까다롭다

물론 어느 주에 가든 콜라 사듯이 총을 가게에 가서 살 수 있는 건 아니고, 범죄 경력이나 정신병 경력이 있는지 본다음에 허가를 제대로 받으면 살 수 있다. 이것도 완벽한 건 아니라, 한국에서도 유명했던 조승희 사건 같이 일이 제대로 처리됐다면 절대 총을 살수 없었어야 할 인간도 잘만 하면 합법적으로 총을 마음대로 구입할 수 있기에, 여러가지 골치를 썩고 있다. 물론 총기 규제가 빡빡한 한국에서조차 불법 소지 문제가 일어난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국만의 고민이라 보긴 어렵다만.

총기관련 규제 법규는 미국 정치권의 만년 떡밥. 매번 전국민의 총기 무장을 꿈꾸는 모 기관의 로비로 무산된다. 2012년 들어서는 정당방위를 위시한 살인이 무죄로 풀려나는 사건들이 많이 생겨서 말이 많다.

특히 성 문제가 엄해서 이젠 옛날 얘기지만 자정만 넘으면 성인방송이 나오는 한국 케이블에 비해 미국은 새벽 3시가 돼도 15세 이상은 틀어주지 않는데, 법에서도 아동 성범죄에 한정되긴 하지만 말 그대로 치를 떠는 수준이며, 아동 성범죄와 살인죄를 사형만 제외하고 동일 선상에 놓고 있는 주가 대부분이다. 이외 좀 특이한 점은 다른 나라와 달리 아동 포르노 소지자도 거의 강간범에 준하여 다스린다는 것인데, 대부분의 국가와는 확실히 다른 점.[98]

하지만 반대로 성인의 성은 철저하게 자기 책임으로 처리하는 국가이기도 하며, 실제 미국 라스베가스 밀랍인형 박물관에는 전설적인 포르노스타 제나 제임슨도 전시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두 사람이 '합의'하에 하는 경우는 행복추구권을 존중하여 자유를 봐주는 편이다 (2015년 6월 말 이후로 동성결혼이 미국 전역에서 합법화가 된 걸 봐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선 두 사람이 합의하에 주먹다짐을 벌인다해도 둘다 처벌받지만, 미국에선 두 사람이 합의하고 서로 고소하지 않는다면 터치하지 않는다. 사실 한국에서도 서로 합의하에 싸우면 처벌받지는 않는다. 폭행죄가 반의사불벌죄기 때문에 싸우고 나서 서로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되기 때문. 물론 현장에서 걸리면 경찰이 와서 뜯어말리고 둘다 지구대로 끌려간다. 또한 형법 24조에 따라 피해자가 승낙만 하면 때려도 처벌받지 않는다.[99] 물론 상해의 정도가 심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자신의 길거리 싸움 동영상을 유투브에 올려 유명해진 킴보 슬라이스같은 인물도 있고. 마찬가지로 음란물도 둘다 합의하에 찍은거라면 존중해주는 것이고, 단, 성폭행은 남에게 객관적으로 큰 피해를 안긴 것이기에 자비없이 엄벌에 처한다. 아동성범죄를 저지른 범죄자가 감옥에가면 미트스핀 철도에 올려진다는것이 정설이다.

그 외에도 자유로운 나라라서 자신이 어떠한 사상을 가지고 있어도 절대로 국가가 그것을 제한하려고 하지 않는다. 쉽게 말해 오바마의 사진에 히틀러의 콧수염을 붙여도 그것을 이유로 국가반역죄 같은 걸 뒤집어 쓸 걱정은 없다. 하지만 요즘 애국자법이라든가 SOPA같은 법규 이슈나 공공연한 로비 및 검열 탓에 유럽국가들로 부터 "자유의ㅋㅋㅋ나라ㅋㅋㅋ"(...) 같은 식으로 비웃음당할 때가 있다. 게다가 명예훼손을 아예 의식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닌 게 사우스 파크에서 정치인을 재미삼아 풍자하는 건 죄가 안 되지만 대놓고 기사를 써서 깔 경우 민사소송에 걸려 거액을 물어낼 수도 있다. 게다가 불법행위로 인한 것이나 간통 같은 특이케이스가 아니면 어지간해서는 법원에서 안 받아 주는 한국에 비해 미국의 민사소송은 그 범위가 훨씬 넓고 광범위하다. 그래서 미국의 언론 자유는 의외로 한국이나 일본보다 조금 나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남북전쟁 기준의 북부(동북부+중서부)와 서부를 제외한 지역은 미칠 듯이 종교적이다. 가끔 기독교 신정국가가 아닌지 의심이 갈 지경인데 특히 중부나 남부 시골은 중동국가 떠오를 정도로 종교에 집착하는 편. 이 때문에 영 이해가 안되는 이상한 법규들도 많다.

그 때문에 창조론 지지자들이 활개치기도 한다. 유럽의 기독교도들은 과학적 담론과 종교적 입장을 구분해서 생각하는 반면[100] 세계의 첨단과 전통적인 요소가 공존하는 참 특이한 나라다.

특이하게도 미터법을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사실상 유일한 나라이다. 나머지 두 나라가 과거 군사 독재로 악명 높았던 미얀마와 미국의 사실상 속국인 라이베리아니 말할 필요가...

미국도 미터화(Metrication)를 실시하려고는 했었다. 1975년에 U. S. Metric Board가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대중의 반대로 인해서 1982년에 레이건 대통령이 Metric Board를 없애버려서 중단되고 말았다. 미국의 미터화를 지지하는 단체로는 U.S. Metric Association이 대표적. 때문에 전세계에서 아직도 5%는 미터법을 쓰지 않는데 하필이면 그 원흉이... 야드파운드법의 본고장인 영국에서조차도 EU조례 때문이긴 하지만, 주로 공식적인 자리에서 미터법 또한 섞어서 사용하게 된 것에 반해 미국에서는 여전히 미국 단위계를 강력히 고수하고 있다. 병크 항목에 남길만한 찬란한 돈지랄인 화성기후탐사선 폭발도 이 때문에 터졌다.

2016년 민주당 경선 후보 중 하나인 링컨 셰이피(Lincoln Chafee)가 대통령이 된다면 미터화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지율이 바닥을 기기 때문에 머지않아 떨어져 나갈 듯 싶다.

인터넷 도메인도 세계 패권을 잡는 국가답게 일반 최상 도메인만 사용한다. 웬만한 기업은 co.us가 아니라 .com이고 글로벌 기업은 각 국가별 도메인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유독 미국만 .com/us다. 정부 기관은 죄다 .gov이고 군에서는 .mil 도메인을 사용하는 국가는 미국이 유일하다. 사실 이는 상용 인터넷 자체가 미국에서 개발된 것인 영향이 더 크다.

또한 날짜를 월일년식으로 쓰는 특이한 나라. 대에서 소로 가는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 년월일도 아니고 소에서 대로 가는 일월년 (대부분의 유럽국가. 세계적으로는 이 방식이 가장 많이 쓰인다. #) 도 아닌 방식을 채택하는 국가는 미국 외에 캐나다(영어권) 등 몇 나라 안 된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쓰이는 24시간제를 거의 쓰지 않는 나라이기도 하다. 군대 등 특수한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12시간제만을 쓰는 국가는 인도, 필리핀, 미국, 캐나다 (프랑스어권인 퀘벡은 제외), 호주 등 영어권 국가와 미국의 영향을 받은 한국 등 정도이다. 영국도 영어권 국가이긴 하나 일기예보 등에선 24시간제를 쓴다. 구어체에서는 12시간제가 자주 쓰이기는 한다. 일본도 표기시에는 24시간제가 더 많이 쓰인다. 12시간제는 구어체에 한정되는 정도. 심야 애니 시간표를 읽다보면 30시간제인줄 아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파일:Attachment/becauseofamerica.jpg
영국의 밴드 오아시스의 전(前) 멤버였던 노엘 갤러거에 의하면 2010년 경의 세계 경제 문제는 전부 미국의 탓이라고 한다.[101]

여담이지만 대한민국을 제외하면 나무위키 접속량이 가장 많은 해외 국가.

트라이버튼설문에 따르면, 2016년6월26일 현재, 응답자의 18.4%가 다시 태어난다면 미국에 태어나고 싶다고 답변했다.

24 대중매체에서의 미국

너무 많아서 일일이 적기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
미국의 문화력은 세계 제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일
많은 대중매체 속에서 주인공 내지 주된 배경이 된다. 수많은 슈퍼히어로들과 빌런들의 활동 무대가 되기도 하고 각종 굵직한 단체나 대회 주체의 본산지가 되기도 한다. 미국 국적 캐릭터도 굉장히 많이 나온다. 미국 배경이 아닐지언정 미국 출신 캐릭터는 대부분 하나쯤 갖추고 있다.

하지만 당연히 좋지 않게 묘사되는 경우도 많다. 핵 맞고 멸망하는 것 정도는 예삿일도 아니고(…) 좀비 아포칼립스에 국력이 무색하게 쓸려 나가기도 하고 정부가 이상한 것 엄청 많이 해대고 외계인이나 거대 괴수들에게 제일 먼저 선빵으로 두들겨 맞고 타국의 침공을 받아 본토가 뚫리기도 하는 등 수뇌부들이 뇌가 어디로 가출한 건가 싶은 모습도 많이 보여준다.

제일 압권인 것은 홈프론트폴아웃 시리즈. 홈프론트는 이미 영토의 절반 이상을 북한군에게 점령당한 지 오래고 폴아웃 시리즈는 이건 미국이라고 불러주는 것도 미안한 수준이다.

더 무시무시한 것은 정작 이렇게 미국을 개막장으로 묘사하는 작품들은 대체로 미국에서 나온 작품들이란 사실. 자국 디스를 아무렇지도 않게... 자기네 나라를 아무런 거리낌 없이 부수고 또 그걸 발매 허가를 내주는 걸 보면 타국인들의 시선에서 보자면 오히려 경이롭게만 느껴질 뿐이다. 미국만 그런 건 아닌 거 같다

한국의 경우 미국과의 오랜 갖은 국제적 이해관계 때문인지 미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있어도 보통 미국만 그런 게 아니고 전 세계적으로 똑같이 시궁창인 식으로 묻어가곤 한다.) 그나마 일본 대중매체에서 미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우는 종종 있다.대표적인 예시로는 그래플러 바키가 있다(특히 국수주의 성향 작품들이 그러하다.) 미국을 비하적으로 묘사하는 일본 작품들을 보면 8할 정도는 국수주의 성향 작가의 작품이다. 나머진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적으로 시망 상태인 걸로 묘사한다. 맨발의 겐처럼 반미적이지만 국수주의 성향은 아닌 작품도 있다.) 유럽권 대중매체들은 그냥 미국에 대한 묘사 자체가 거의 없다. 미국보다는 오히려 자국을 좋은 소재거리로 굴린다.(우크라이나스토커 시리즈라든지...)

여담이지만 Steele라는 소설에서는 1932년을 전후로 하여 아예 독재국가로 변하기도 한다(...). 물론 그 독재자는 우리가 잘 아는 강철의 대원수 되시겠다. 소련은 레온 트로츠키가 서기장을 해먹고 있다는 설정

또 수련이나 어떠한 사정이런 거 말고으로 미국에 간다.라는 클리셰는 이미 전통 수준이다.

미국이 아니라 하늘나라라고 한다
뭐?

25 같이 보기

  1. 푸에르토리코 및 버진 아일랜드
  2. #
  3. 미국의 국장. 앞면과 뒷면에 새겨진 라틴어들의 뜻은 다음과 같다."E pluribus unum - 다수에게서 하나로"
    "Annuit Coeptis - 신은 우리가 하는 일을 각별히 돌보신다 / Novus Ordo Seclorum - 새 질서의 시대"음모론일루미나티 등의 떡밥에 자주 활용된다.뱀발로, 국장의 앞면에 새겨진 독수리의 발을 보면 올리브 잎과 화살이 있고 독수리의 머리는 올리브 잎, 즉 평화 쪽을 바라보고 있다.
  4. 라틴어로 '다수로부터 하나로' 라는 뜻으로 1782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5. "하나님 아래 서로 신뢰한다"라는 뜻. 미국의 지폐에도 나온다.
  6. 6.0 6.1 네이버 세계국가순위 기준
  7. 공용어는 없지만 미국인이 쓰는 통상적인 언어는 영어이며, 그 외에도 각 주마다 다양한 언어를 쓰고 있다. 예를 들면 루이지애나주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지정했고, 멕시코와 접경하고있는 미국 남부에 위치해 있는 주들은 영어에 이어 스페인어도 많이 쓰인다. 특히 뉴멕시코주는 영어와 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정해놨다. 그리고 캘리포니아 주 등 미국 서부는 중국어나 필리핀어도 많이 쓰인다.
  8. 2015년 IMF 기준
  9. 2015년 IMF 기준
  10. 2014년 IMF 기준
  11. 2011년 5월 기준, 출처 : 여기
  12. 국가 규모에 비해 생각보다 적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자국화폐가 기축통화이고, 가장 신용도 높은 화폐다보니 많이 보유할 필요가 없다.
  13. 종종 미국의 도메인이 없다는 잘못된 정보를 서술하는 경우가 있는데(심지어 교과서에서도 오류가 나오기도 하다) 엄연히 존재하는 도메인이다. 물론 있긴 하지만 잘 안 쓰는 것과 없는 건 전혀 다른 얘기. 주로 미국 각 주와 지방 정부가 .us 도메인을 쓰는 경우가 많다. 그 외의 유명 사례로는 미국의 북마크(즐겨찾기) 공유 사이트인 딜리셔스가 과거에 del.icio.us 도메인을 썼고 지금도 이 주소로 접속할 수 있다. 네이버 밴드 도메인이 [1]이다.
  14. 참고로 인터넷은 미국에서 생겼기 때문에 .gov(미국 정부), .mil(미국 국방부)가 미국 전용이다(...). .edu(고등 교육 기관)은 미국 전용이었다가 현재는 전세계의 모든 고등 교육 기관이 등록할 수 있다.
  15. 미국령 해외 영토들은 별도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푸에르토 리코는 .pr 도메인을 쓴다. 그리고 국가 코드가 없는 지역도 최상위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는 정책이 도입됨에 따라 미국 국내에서도 뉴욕 시(.nyc) 등이 독자 도메인을 등록 준비 중이다.
  16. 자신을 미국 사람이라 말할 때는 일반적으로는 미국에서 왔다는 의미로 "~from the US(유에스)" 혹은 "~from the United States."라고 한다. 혹은 푸에르토리코나 아메리칸 사모아 사람, 혹은 오랫동안 타향살이를 한 사람에게 "from the States."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본토에서 왔다는것을 어필하기도하나, 뒤에 오브 아메리카까지 붙이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물론 스포츠 응원시엔 USA를 외치지만 비유하자면 독일 프랑크푸르트를 가리킬 때 "암 마인"을 굳이 붙이지 않는 것 비슷하다. 아니 평양에서 온 사람이 '저는 공화국에서 왔습니다.' 하는 것과 더 비슷하다. "~ from America"는 약간의 애국심등을 담아 사용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으며, "I am American"과 같은 표현은 미국 내의 화자를 상대로 애국심을 논하고자 하거나 뒤에 더 말하고 싶은 문장이 있을때 사용한다. 사람에 따라 대륙명과 혼동할 수 있는 "아메리카"보다 "유에스"라는 표현이 낫다고 하거나, 바로 밑의 멕시코도 합중국이며 사실상 국가가 대륙사이즈니 "유에스"라는 표현보다 "아메리카"라는 표현을 선호하는 등, 지역과 문화, 화자에 따라 다양한 활용형이 사용된다.
  17. 하와이 주의 공용어
  18. 발음은 '에타쥐니(/e.ta.zy.ni/)이다.
  19. 실제로는 약자로 쓸 때 영어 USA를 그대로 쓰는 게 대부분.
  20. 에스샤아가 아니라 세셰아(сэ-ше-а́, se-she-á)로 읽는다. 강세가 뒤에 있어서 듣기에 따라 세샤아 내지는 스샤아라고도 들린다.
  21. 1984 사라예보 동계올림픽 당시 이와 관련된 기사가 나온 적이 있다. #
  22. 한국과 중국이 '아름다울 미'자를 쓰는 것에 비해 일본은 백여년전부터 항상 '쌀 미'자를 쓴다.
  23. 米合衆国, 合衆国, アメリカ
  24. 성조기를 의미하는 화기(花旗)에서 유래하였다.
  25. 가끔 'Unuiĝinta(하나가 된)' 대신에 'Unuigita(하나로 만들어진)'를, 'Ameriko(아메리카)' 대신에 'Nordameriko(북아메리카)'를 쓰기도 한다.
  26. 미국 국기에 그려진 50개의 별은 각각의 주를 상징한다. 그래서, 만약 미국의 주가 늘어나면 성조기의 별 개수도 늘어난다. 독립 초기에는 줄도 같이 늘어났지만 별과는 달리 국기가 너무 난잡해져서 결국 줄은 13개로 고정되었다.
  27. 2014 영국전략 연구소 발표내용 http://www.iiss.org/en/militarybalanceblog/blogsections/2015-090c/february-8272/2014-top-defence-spenders-bb5d
  28. 2015년 기준으로 하면 1천만명 이상 국가 중 미국이 제일 높은게 맞으나, 2014년 이전 몇 년 동안 호주달러의 강세로 호주가 미국보다 소득이 높았다. 실제로 과거에도 시기에 따라 버블이나 환율변동에 따라 단기간 동안 미국을 넘었던 나라들이 몇 있었다.
  29. CIA World Factbook에 기재된 바로는 미국 9,826,675 sq km, 중국 9,596,961 sq km로 미국이 중국보다 큰 것처럼 나와있으나, 여기 나온 미국의 면적은 땅 면적 + 내수 면적 + 연안 면적 + 영해 면적까지 포함시킨 수치이다. 중국을 포함한 다른 모든 나라 면적은 땅 명적 + 내수 면적만 합산해서 기재했는데 자기네 나라 면적만 영해면적까지 포함해가면서 부풀려놓았다.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땅 면적 + 내수 면적으로만 놓고 보면 미국 국토의 면적은 9,522,055 sq km로, 인도와 분쟁중인 지역은 물론이고 홍콩과 마카오의 면적까지 뺀 중국의 면적인 9,596,961 sq km보다 작다. 참고 영상 CIA World Factbook에 표기된 수치를 놓고 보았을 때 교묘하게도 두 나라는 한반도 면적만큼의 차이다. 출처에 따라 중국 이 더 크다고 하는 데도 있고, 영어 위키백과의 경우 중국과 미국을 둘 다 '3 또는 4' 로 표기해 놓았다. 참고로 미국의 넓이표기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9,522,055km², 국제 연합 통계국 9,629,091km², CIA 9,826,676km²으로 표기차가 심하다. 반면 중국은 9,598,094km², 9,640,821km²으로 큰 차이가 없다. 물론 중국 쪽 문서는 중국이 더 크다고 주장하는데, 20세기에 중국과 국경분쟁이 있었던 인도와의 국경이나 베트남과의 국경에 대한 해석 차이로 보여진다.
  30. 단순히 농업생산량만 봐도 유럽 전체를 초월하고, 농/축산물 경작가능면적은 전 국토의 과반수를 간단히 넘긴다. 다시말해 살기 좋지만 필요없어 안 쓰는 국토가 넘쳐나는데도, 나머지 부분만 쓰고도 남아난다!
  31. 일단 지금 구 소련지역의 인구를 다 합친다 해도 미국보다 낮은 2억 8천 정도지만, 만약 소련 말기의 대혼란을 겪지 않았다면, 무난히 3억을 넘기며 3위를 유지했을 것이다. 실제로 1950~1973년의 소련의 인구증가율은 미국과 거의 같다.
  32. 실제로 2100년 경이면 4억 5천만을 돌파할 예정이다.
  33. 한국에 대입해보면 뉴욕대구광역시, 캘리포니아울산광역시 분리 전 경상남도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만약 뉴욕이 서울공화국 급의 지분을 가지려면 혼자서 중국과 맞먹는 경제규모를 가져야 한다. (...)
  34. 하지만 플로리다는 이 바이블 벨트와도 가까운데도 이주민이 많아 꽤 진보적인 곳이다
  35. 구글, 애플, 페이스북, 인텔 등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
  36. 예를 들면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밸브 코퍼레이션이 이 지역에 본사를 두고 있다.
  37. 삶의 질은 당연히 프랑스독일서유럽에 현저히 밀린다. 스페인, 이탈리아 등 남부 유럽 정도 수준을 보인다.
  38. 당연히 미국 내에서는 가장 높은 축에 속한다. 삶의 질도 차 없으면 못 다닌다는 점 빼면 높은 편으로 날씨가 더운 곳 치고는 쾌적하다.
  39. 더 심한 경우는 미국의 수도를 LA로 알고 있는 사람도 있다(...). DC는 District of Colombia (콜롬비아 지구)의 준말이다.
  40. 히스패닉 이민자의 증가로 영어를 제외하고 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가 되었다.
  41. 스페인어 다음으로 교육과정에서 세번째로 가르치는 언어는 프랑스어가 있다. 프랑스어는 루이지애나에서 영어와 함께 쓰이고 있다.
  42. 가끔가다 "미국(America)에 왔으면 미국어(American)를 써야지!" 같은 소재를 쓰기도 하는데 이때 "니가 쓰고있는건 미국어가 아니라 영어(not American but English)잖아..."로 받아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43. 물론 프랑스 대혁명이 대표적인 민주주의의 출발로 볼 수 있긴 하나, 미국의 독립보다 나중에 일어난 일인데다가 프랑스는 혁명까지 하고 나서 다시 나폴레옹이라는 황제를 모신 나라이다. 처음부터 공화국으로 시작하여 계속 공화국을 유지하고 있는 미국과는 다르다.
  44. 흔히 미영관계를 "Special Relationship"이라며 특별한 관계로 관리하는데, 캐나다는 그걸 넘어 아예 반쯤 국내로 취급한다. 심지어 비행기도 국내선 취급하며, 두 나라는 사실상 거주, 이민 및 상거래가 EU 급으로 자유롭다! 물론 미국의 이런 태도에 대해 캐나다 국민들, 특히 퀘벡의 프랑스계 주민들은 불쾌해 하지만 미국에겐 그런거 없음.
  45. 특히 OPEC 국가들과 대립하는 석유개발 문제는 미국과 영국이 거의 한 몸 수준으로 뜻을 함께 하는 경우가 많다.
  46. 간단히 말해 지배를 당하던 미국이 독립 후 국력 업그레이드가 심각할 정도로 이뤄져서 지배국이었던 영국보다 국제 권력이 훨씬 더 세기 때문에 이런 게 가능한 것이다.
  47. 이 정도면 그냥 변명의 여지가 없는 고도비만이다.
  48. 키도 유럽 대부분의 국가에 비해 큰 편으로 영국 평균과 독일 평균의 가운데쯤 된다. 단, 미국은 (이민 민족을 제외하고 초기 주류 미국인 후손인 백인과 흑인만 봐도) 세계 근대화에 비해 평균키가 잘 안 늘어난 편에 속하는 국가로 150년 동안 4cm 정도 밖에 안 늘었다고 한다. 19세기 중반에도 미국인 평균신장은 현재 한국인과 흡사한 170대 중반으로 알려진다. 구한말부터 100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평균키 10cm 정도가 늘어난 한국과는 다르다.
  49. 이런 싸구려 음식의 주 재료로 쓰이는 옥수수가 연방 정부 차원에서 경작 보조금(Agricultural subsidies)을 대량으로 받는 덕에 산업체에 판매되는 가격이 원가보다 싸기 때문이다. 20세기 이후 미국의 식품 산업은 옥수수가 없으면 아예 작동하지 않을 정도로 옥수수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옥수수는 다른 경작물보다도 비료를 더 많이 요구하므로 환경 파괴 문제와도 엮여있다.
  50. 한국사람들도 일반적으로 알다시피 미국 피자는 100여년간의 미국식 개발을 통해, 빵이라는 걸 제외하면 피자의 원조 이탈리아 피자와는 아예 들어가는 재료나 만드는 방식이 판이하게 다르기에 칼로리도 엄청나게 차이가 난다. 한국 피자는 대체로 미국피자를 따라 만든 것이고, 한국 피자에 옥수수가 자주 들어가는 것도 미국 피자의 영향이지 이탈리아의 영향이 아니다. 미국피자는 그야말로 치즈덩어리 음식.
  51. 미국을 제외한 "영어권" 국가, 즉 캐나다 / 호주 / 뉴질랜드 / 아일랜드 / 영국의 평균 소득은 미국의 85% 정도이다. 그래도 유럽 본토에 비하면 1만 달러 가까이 높다. 당장 캐나다인한테 미국보다 캐나다가 가난하다고 하면 캐나다가 삶의 질이 더 높다며 조악한 의료보험, 불안한 치안, 개발살 난 공교육 등등으로 미국을 줄줄이 까기 바쁘다. 다만 최근 트뤼도 총리가 특별대책을 지시했을 정도로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고 세금이 높은 캐나다의 인재 유출이 심한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19세기 이래 캐나다 인구의 4분의 1은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고, 미 통계청에 따르면 캐나다는 독일, 영국/아일랜드, 이탈리아에 이어 미국 이민자를 많이 배출한 나라이다. 다만 2000년대 이후 아시아와 남미 출신자가 많아지자 신규 유입은 상대적으로 낮아진 편이다.
  52. 다만 요즘 취업난이 심각해지면서 자식이 도덕적인 문제나 개인의 잘못으로 인한 문제가 아닌 이상 집에서 쫓아내는 일은 드물어졌다. 애초에 고딩 졸업하고 바로 독립하는 문화 자체가 2차대전 이후 서벌브 개발을 통해 값싼 집값에 매력을 느낀 미국인들이 대도시를 떠나 이사하면서 생긴 문화다. 집값이 많이 오르고 도심 거주 인구가 다시 늘어나는 21세기에는 현실적으로 더 이상 맞지 않는 문화이다.
  53. 2015년에 여초가 되었다. 물론 아직도 젊은 남녀 성비는 조금 남초로 결혼하는 커플의 나이차가 4살 이상으로 벌어지는 일이 흔하다. 출생성비는 1.05대 1이 정상성비이다.
  54. 다만 성공회 자체는 어디까지나 개신교의 세부 종파 중 하나다. 다른 개신교 종파들과 구분되는 특징이 많을 뿐.
  55. 태국, 사우디아라비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베트남 등에서 많은 이민이 들어왔다.
  56. 우루과이의 대통령. 검소한 생활로 유명하다
  57. 일부이긴 하지만 스위스, 노르웨이, 카타르, 룩셈부르크 등 4개 나라가 이에 속한다.
  58. 캐나다의 인구 구성이 미국과 비슷 (두 나라 모두 독일/영국/아일랜드/이탈리아/프랑스계가 주류이다) 한 건 둘째 치고, 애초에 캐나다 인구의 4분의 1은 미국에 거주한다. 미국 통계청에 의하면 캐나다 계 미국인은 1천만명을 약간 넘는다. 마찬가지로 캐나다 인구의 10분의 1은 미국 국적이나 영주권자 혹은 대상자에 속한다. 애초에 캐나다 최대 주인 온타리오 주 자체가 18세기 후반에 미국독립전쟁의 여파를 피해 건너온 사람들이 세운 지방이다.
  59. 마찬가지로, 멕시코 인구의 절대 다수는 미국에 나가있거나 최소한 친척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멕시코는 역사적으로 미국에 매번 쥐어 터졌음에도 불구하고 반미가 의외로 약한 편이다.
  60. 근데 바로 이따위 지역에다가 만들어놓은 게 저 유명한 라스베가스다. 사막 속 왕국이라니 흠좀무
  61. 게다가 최근에는 태양에너지 잠재력으로도 주목 받고 있다.
  62. 사우디는 미국의 셰일가스 산업이 더 성장하기 전에 미리 저가 경쟁으로 고사시키려 했으나 셰일가스 산업은 잠깐의 위기 이후 기술개발로 생산가격 부담을 낮췄고 이후 사우디는 역관광 당해버렸다. 그 과정에서 두 나라의 저유가 경쟁에 치인 러시아와 기타 산유국들의 경제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63. 화산활동은 하와이 Big island 와 과 알래스카 알류산 열도에서 매우 활발한데, 이 지역을 제외하면 화산 활동은 거의 없고, 이들 지역은 인구도 적은 외곽, 거기다 본토도 아닌 지역이라서, 미국에서 화산활동이 활발하다고 보긴 어렵다. 물론 옐로스톤 처럼 언제 터질지 모르는 슈퍼 화산은 미국 본토에 있긴하지만 그건 한국도 마찬가지.
  64. 굳이 따지자면 남동부 지역은 허리케인과 북부 지역은 폭설이 고민거리이긴 한데, 중위도 지방에서 그런 거 안 겪는 나라는 어차피 별로 없다.
  65. 이 당시 미국의 인구는 500만에 약간 못 미쳤는데, 당시 영국 본토인 잉글랜드나 분열되있던 독일의 인구 역시 700만 정도밖에 되지 않던 시절이었다 (브리튼 섬 전체 인구를 합치면 850만). 괜히 미국독립전쟁에서 영국이 비실댄 게 아니다. 거리도 멀어서 수송도 힘든데, 규모에서도 정작 식민지가 본토에 비해 크게 밀리지 않았으니..
  66. 실제로 지금도 미국에는 도심지에서나 빼곡히 모여서 살고, 시골에는 땅이 텅텅 비어있다.
  67. 다만 국방비 자체는 소련이 더 많이 썼을 때도 있었다. 그러나 소련의 경제력은 최전성기에도 미국의 60% 수준이여서 부담이 훨씬 컸다.
  68. 단적인 예를 들어 2차대전 당시 미국의 공업력은 추축국 전체에 같은 편인 소련을 더해야 간신히 밸런스가 잡혔다. 이걸 실제로 구현하면 망작이 되어버리니...
  69. 도시에서는 무기는 갱스터 멤버들이나 갖고있다.
  70. 영어 위키백과 참고. #으로 다음과 같다.
  71. 다만 미국에서도 미등록 총기가 너무 많아서 문제라는 뉴스가 선거철마다 나오기 때문에, 1위가 맞을 듯 하다...
  72. 총격에 의한 사망 뿐만 아니라 사냥중 사고나 총기를 이용한 자살까지 들어간 통계다. 총기소지가 자유로운 남미 국가들도 총기 이용 자살이 많다.
  73. 특히 텍사스와 같은 지역에서는 집집마다 대대로 내려오는 총을 거실 벽에 걸어놓기도 한다
  74. 수정헌법으로 보장되어 있다.
  75. 농담이 아니라 산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대형 야생동물이 내려오기도 한다. 우리나라나 일본,중국도 최근 산에서 멧돼지들이 도시로 내려와 소동을 일으킨다거나 지리산반달가슴곰이 농가를 덮친다든가 홋카이도만주에서 불곰에 의한 피해가 난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도심지역의 산보다 훨씬 사람의 손길이 덜 닿고, 무엇보다도 산의 스케일 부터가 다른 미국에서 어떤 동물들이 내려올지는 상상에 맡긴다. 플로리다재규어, 콜로라도뉴멕시코퓨마, 산악지대는 불곰 및 흑곰 등 각종 맹수들이 많이 튀어나오고, 사슴도 한국의 노루 수준이 아니라 꽤 덩치가 커서 위협적이다.
  76. 실제로 총기로 무장하고 금품이나 차량을 탈취해 가는 도적단이 있다. 특히 드라마나 영화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외진 도로(주로 사막 지역의 도로) 위의 주유소(겸 편의점)는 항상 강도들에게 공격당하고, 주인이 카운터에서 총을 꺼내서 대항하다 실패하고 이를 본 주인공의 개입해 강도를 제압하는 장면은 정말 흔한 클리셰이다
  77. 특히 Hi-Point사의 권총이 이러한 트럭건으로 인기가 높다
  78. 캘리포니아에만 100만명(!) 가까이되는 한인들이 살고있고 동부에도 30만명이 넘는 한국인이 살고있다.
  79. 청나라 때 처음에는 국기 모양에서 화기국(花旗國)이라고도 했고 이후 咪唎𠼤(미리젠), 米利堅(미리젠), 亞美理駕合衆國(야메이리자 합중국), 美利堅合衆國(메이리젠 합중국), 줄여서 美國(메이궈)라고 불렀으며 기타 표기로는 咩哩干(미에리간), 彌利堅(미리젠), 美利哥(메이리거) 등도 있었다. 일본에서는 米利堅合衆國, 亞墨利加 등을 쓰다가 米国으로 정착했다.
  80. 한자 이외의 언어권에서도 음차 표기 중 대부분이 America의 A를 반영 안하고 있는데, 이렇게 앞 음절을 잘라먹는 경향은 유럽 언어에도 존재한다. 스페인은 원래 발음이 에스파냐(España)지만 영어에서는 Spain, 독일어에서는 Spanien으로 쓰는데, 이 역시 첫 음절이 약하게 들리는 것을 그냥 무시하고 쓰는 것이다.
  81. 미국만 합중국이 아니고 멕시코도 합중국이기도 하고
  82. 반미주의자들은 그밖에도 안 좋은 뜻의 미 자라면 다 붙이는 듯(黴:곰팡이 미 등). 그러면서 지들이 오히려 미국 문화를 더 좋아하는 건 뭐냐 반공을 중요시하던 1970년대, 한 일어일문학과 학생이 미국을 "美國"이 아닌 "米国"으로 썼다가 빨갱이로 오인 받아 경찰서에 끌려간 거짓말 같은 실화도 있다(...)우리나라도 50년대까지 米國이라 했는데?? 그딴 걸 당시 무식한 경찰들이 어떻게 알아? 일단 잡아놓고 조져보는 거지.
  83. 弥는 한자음으로는 "이", 이두용법에서는 "며"로 읽었다
  84. 일본에서 아메리카를 한자로 음차해 亜米利加로 표기했고, 여기서 米를 가져온 것. 한국 또한 순종실록등에서 米國이란 표현이 등장하는 것을 보아서는 한동안은 美와 米를 섞어쓰던 시절이 있었던 듯.
  85. 주로 프랑스어스페인어를 선택한다. 소수는 이탈리아어, 독일어,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등을 택한다.
  86. 왜냐하면 대학교에서 얻을 크레딧을 미리 얻어놓기 때문이다.
  87. 물론 예외는 있다.
  88. 근데 꼭 미친짓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게 많은 대학들이 외국인 학생들을 위해 ESL 수업을 마련해 놓고 있으며 가끔은 1~2년동안 ESL만 듣게하고 영어가 많이 늘었을 때 그제서야 대학교 수업을 듣게 하는 경우도 있다.
  89. 달러당 천원으로 환산해도 3,4천만원이다. 5백만원으로 난리가 나는 한국 대학교의 잠정 6~8배라는 소리. 학비만 해도 그런데 여기에 워낙 대학교들이 미국 전토에 여기저기 떨어져있다보니 한국처럼 수도권내면 집에서 통학하는것도 꿈에서나 가능한 소리인 경우가 많아서 기숙사비에 식사비까지...
  90. 어떤 주의 범죄자가 다른 주로 넘어갔을 때 그 주의 다른 정책 때문에 처벌을 못하는 경우마저 있다.
  91. 물론 미국 시민권자와 외국인 레인은 구별되어 있어 신분증용으로 여권만 있으면 미국 시민권자는 프리패스이다.
  92. 도시 문서는 없고, 이 도시의 이름을 딴 함급의 문서만 있다.
  93. 흔히 산호세라고 알려져 있는 동네의 영어 발음에 가까운 표기이자 표준 외국지명 표기법에 의한 표기.
  94. 아주 틀리다고만 보기도 뭐한게, 일레로 미국의 연예계에서 성공하면 본인이 의도했든 아니든 범세계적인 명성도 얻기 쉬워진다. 반대로 한국의 연예계에서 대성한다고 해도 미국에서까지 메이저급 명성을 얻는게 아니라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95.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적지만 남북전쟁은 내전이다. 쿠테타는 군부에 의한 정권교체를 말하는거지만 남북전쟁은 내전이다 사건의 성격이 다르다
  96. 적어도 아동용 장난감이나 매체에 대해서는 매우 엄격하다.
  97. 이는 영상물 등급 제도를 철저하게 지키기 때문이다. (영화 매체는 1968년에, TV 매체는 1996년부터 영상물 등급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98. 다만 이것이 실제 아동 포르노 소지자들에게 준 영향은 별로 없다.
  99. 형법 제24조(피해자의 승낙) : 처분할 수 있는 자의 승낙에 의하여 그 법익을 훼손한 행위는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벌하지 아니한다.
  100. 비오 12세와 같이 진화론에 비판적이던 교황도 입장은 신중하게 취했으며, 요한 바오로 2세는 진화론이 신앙과 전혀 모순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101.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 발발된 세계 경제 위기인지라 아주 틀린 말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