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국

1 개요

金炳國
1825년 ~ 1905년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

2 생애

철종의 장인이 된 김문근이 그의 숙부다. 형으로 김병학이 있다.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일원이었다. 그러한 세도가의 자제 답게 1850년 과거 급제 이후 1853년 대사성에 특진되었고, 1857년에는 예조판서, 1858년에는 병조판서와 호조판서를 맡았고, 1860년에는 훈련대장에 이르렀다.

1863년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면서 안동 김씨 세도 정치의 세가 껶었으나 그는 흥선대원군과의 친분이 두터운 편이어서 1864년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형인 김병학이 철종실록이나 대전회통 같은 편찬사업에 힘을 썼던 것과 같이 그는 흥선대원군의 주요 정책 중 하나였던 경복궁 중건에 중책을 맡았었다. 1874년 흥선대원군이 실각한 뒤에도 계속 집권하여 우의정이 되어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때 중도적 입장을 취했다. 1878년 좌의정이 되었고, 1880년 김홍집이 가져 온 조선책략에 따라 연미국론을 주장하며 미국과의 수교에 찬성했다.

1882년 임오군란의 수습을 계기로 집권한 흥선대원군이 통리기무아문을 혁파하고 설치한 삼군부의 영삼군부사가 되었고, 흥선대원군 실각 이후에도 계속 살아남아서 호조판서와 총리통리내무아문사무를 거쳐 12월 총리군국사무가 되었다. 1884년 영의정 세자사 총리군국사무가 되었고, 1885년 영돈녕부사가 되었다가 벼슬 자리에서 물러났다.

한마디로 평가하자면 안동 김씨 세도 정치로 정치에 입문했지만 그의 행적 상당수는 오히려 근대사에 집중되어 있었다. 형 김병학도 마찬가지로 흥선대원군과의 친분으로인해 안동 김씨 세도 정치 이후에도 살아남았고 형제 모두 최고 관직에 올랐다는 점에서 그야말로 보기 드문 처세를 보인 인물들이다. 다만 형제의 성향이 달라 형 김병학은 위정척사에 가까웠으나, 그는 개화에 중립적이거나 우호적인 입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