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식(식객(만화))

분명히 본명이 공개되는데 엔하에는 한동안 창식 형이라는 항목에 있었다. 조향숙 할머니라는 종결자가 있지만

식객의 등장인물. 이혼남에 세금도 안내는 백수다. 하지만 오디오에 대한 지식이 해박하여 그쪽 업계에 전문가로 이름은 널리 떨치고 있다. 능력은 있는 것을 보아 그냥 먹고 살 돈은 벌어놨고 취미 생활에만 힘 쓰는 걸로 보인다.

19권 잔치국수 편에서 첫 등장했다. 인격 모델은 작가의 지인중 선배인 박문윤씨. 다만 박문윤 씨를 모델로 한 캐릭터는 집단 가출편에서 등장해서 벌써 써먹었기 때문에 또다른 후배인 김창식으로 인물만 바꾼것임을 식객 22권 보리밥, 열무김치편의 뒷이야기에서 밝혔다. 실제로 박문윤과 진낙원 이 둘은 서로의 음식 기호에 관해 한치의 양보가 없어 매번 싸운다고 한다. 특히 냉면에 관해서는 이 둘의 영원한 절교가 예상되기까지 한다고 함. 박문윤씨는 이북 출신이라 평양 냉면에 관한 자부심이 있어서 일지도. 다만 실제로 단행본을 보면 진낙원과의 논쟁은 그야말로 한심하다 못해 유치하고 찌질하다.

이후 보광레스토랑이 해체되면서 레귤러진이 된다. 후배인 낙원과 음식으로 티격태격하는 사이로, 자신의 입맛에 절대적인 자신을 갖고 있다. 냉면에 대해서는 정도가 더욱 심해서 진낙원, 김창식 이 둘이 영원히 절교 한다면 그 원인은 십중 팔구 냉면 때문이라고 진주냉면 편에서 성찬이 밝혔다. 진주냉면을 먹다가 "냉면에 해물 육수라니! 그리고 면이 너무 질기고 육전을 넣어서 궁합이 개판이구만"하고 까대다가 자운 선생에게 호통을 들었다. 그런데 옆에서 낙원이 "(그동안 고기 우린 육수나 동치미 국물로 냉면을 먹어서인지는 몰라도)해물 육수의 맛이 너무 강해 면의 맛을 찾기 어렵다."라고 평가 하는 것을 자운 선생이 "네 말이 맞다."라고 수긍까지 하며 그냥 넘어가는 걸 보고 왜 그러는지 묻자, 자운 선생이 "넌 아집이지만 쟨 취향이다."라는 소리를 듣고 데꿀멍한 적도 있다. 하지만 그 전까지는 사실상 모든 싸움의 원인은 진낙원으로 매번 고집을 부리고 자신이 져도 정신승리를 시전하는데 이번이 좀 특이한 케이스이다.

새벽 2시에 집으로 찾아오는 낙원과 같이 술을 섞다가 잔치국수를 먹는것이 일과의 시작이랄 정도로 술을 좋아한다. 대단한 오디오 파일러. 직업도 없으면서 그 비싼 오디오들은 어찌 사는지가 의문. 그 바닥에서는 엄청난 인지도를 쌓은 전문가로 보리밥, 열무김치편에서는 웨스턴사의 오디오를 보유한 부자[1]의 집에 초청되어 청음후 시스템 평가를 내렸는데, 골동 오디오 기기 사이에 생뚱맞게 들어앉은 마크 레벤슨사의 프리 앰프로 인해 전체적인 음이 흐트러진다고 까서 "남의 오디오를 들었으면 무조건 좋다고 칭찬해야지 당신은 예의가 없군요. 나가시오!"라고 언제는 기탄없이 말해달라고 하더니만 속 좁은거 봐라 쫒겨나지만 후에 주인이 웨스턴 일렉트로닉 오디오 전문가에게 감정 받았는데 같은 지적을 했다고 사과하러 왔다. 그리고 주인은 언제든지 집에 와서 오디오를 듣고 가라고 자기 집 열쇠까지 복사해서 줬다![2] 이 정도의 실력자라서 보리밥, 열무김치 편에서 성찬의 집에 자신이 쓰던 오디오 한 세트를 설치해 주러온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창식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8억(!!)을 질러 장만한거란다. 실제로 작가의 지인이 모티브 오래전부터 알고 지내던 후배고 CEO(최고경영자 즉 사장 아니면 회장쯤되는 인물)란다.
  2. 이 부분은 작가가 골치 썩던 부분으로 오디오의 결점을 찾아내는 스토리를 넣는데 박문윤, 진낙원 두 오디오 파일러의 의견이 엇갈렸다고 한다. 박문윤씨는 마크 레벤슨 프리를 넣는게 낫다는 의견을 냈는데 과거 본인이 만화를 그려본 사람이니 스토리 진행법상 상용 교류 AC 전원을 직류 DC 전원으로 바꾸는 장치, 즉 PC스피커 등에 쓰이는 전원 어뎁터와 같은 통가밴드를 등장시키는건 너무 전문적으로 이 분야에 관심없는 독자들은 머리만 아프다다 주장했고 진낙원은 마크 레벤슨 프리는 너무 의도적이다. 8억씩이나 들인 사람이 그런 실수를 할리가 없으니 통가밴드에서 언밸런스의 부분을 찾는게 낫다는게 의견이었고 결국은 마크 레벤슨 프리앰프 등장으로 낙찰. 아주 잘한 선택이었다. 통가밴드가 나왔다면 온갖 전문 용어의 등장으로 오디오를 모르는 독자들은 이게 요리 만화인지 오디오 만화인지 햇갈렸을것이다. 반대로 마크 레빈슨 프리는 빈티지 오디오와 최신형 오디오간의 궁합이 맞지 않는 것으로 간단하게 설명이 가능하고 예시도 요리 만화다운 예시를(전통한식에 콜라를 마시는 느낌 같다) 넣을수 있어 이해하기도 쉬웠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