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고여저

남고여저
男高女低

목차

남성이 안정된 직업과 경제력을 갖추고 여성과 결혼하는 것.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존재했던 결혼, 연애에 대한 관점이다.기존 가부장제가 현 시대 청년 남성들에게 부과하는 또하나의 올가미이자 족쇄

다른 이름으로는 승강혼이라고도 한다.

백수나 무직인 여성은 결혼이 가능하지만, 백수나 무직인 남성은 결혼이 불가능했다. 2000년대 이후부터 남고여저 결혼 문화에 대한 반감이 한국 사회에 확산되고 있다.

개요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가부장제 문화의 잔재로 남자가 안정된 직장이나 경제력을 갖춰야만 결혼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왔다.[1] 그러나 취업난에 시달리는 20,30대 남성들의 금전적 부담, 개인주의 성향의 확산, 양성평등에 대한 인식 확대 등으로 인해 남자가 안정된 직장과 경제력을 갖춰야 된다는 풍조에 대한 반발, 반감이 시작됐다.

맞벌이 가정의 확산으로 가사노동 공동 부담, 아이 양육 공동부담 등이 확산되는데 여성들은 그에 걸맞는 경제력,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는 일부 남성들의 불만과[2], 이 공감대를 얻었다. 여성이 경제력과 직업을 갖고 남성을 고르는 일도 2000년대 이후 드물지만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보통 연하의 남성을 선택하는 케이스들이 많다.

또한, 2000년 이후 일부 남성들의 비용은 전부 내가 다 부담했다., 지갑 사정이 열악하다, 자동차 드라이브하는데 들어간 기름값과 차량유지비 등에 대한 목소리도 점차 등장, 초기에는 피해의식이라면서 무시를 당했지만, 금전 문제, 아내강간 문제, 데이트 폭력 문제, 청년 취업난의 확산같은 사회문제가 터져나오면서 여성도 일정부분 비용 부담을 해야 한다는 풍조가 확산됐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일부 농촌을 비롯한 시골지역이나 지방에서는 가부장제가부장제의 잔재인 남고여저 결혼문화를 당연하게 여겨왔다. 그러나, 2000년 초반부터 미디어와 인터넷의 확산 등으로 점차적으로 지방이나 농촌에서도 남고여저 문화에 대한 반발, 반감이 등장하고 있다.
  1. 그 최대의 피해자가 바로 1990년대 초중반에 농약 마시거나 목을 매서 자살한 농촌총각들.
  2.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피로함을 감수하고 설거지와 빨래를 도와주는데, 여성들은 남성들을 돈이나 벌어오는 기계, 경제력만 본다는 불만도 도시지역에서부터 점차 확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