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딩스타


47c012fb48049&filename=#hangame_RidingstarBI_view.jpg

Fantastic Snowboard
Riding Star!

2016-09-21
현재 서비스 중이다! 한국은 아니지만 해외에서 PSBO 라는 이름으로 작게 운영되고 있다!(내가 해냈다 동지들! 결국 찾아냈어 ㅠㅠ)
여기 링크를 남긴다. PSBO (방금까지 하다 왔는데 서버 점검으로 잠시 껐다. 엉엉 내가 헤치커버를 다시 보게 될 줄이야ㅠㅠ)
들어가면 친숙한 스웨거 스킬의 아이콘이 우리를 반겨준다!

클라이언트를 다운받게 되면 계정과 암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뜨게 되는데, PSBO 홈페이지 하단에 보면
Register InGame Account 라는걸 누르고 가서 가입하면 된다.
홈페이지 계정과 인게임 계정은 다르니 착오 없길 바란다.

2006년 9월 26일 클로즈 베타서비스(실제 시작은 10월 11일)
2007년 1월 4일 (프리)오픈 베타서비스 시작. 24일 오픈 베타서비스 시작.

스노우보드 레이싱 게임.

오리지널 퍼블리싱은 한국.

한게임이 서비스 했었으나 현재는 서비스 종료.

미국으로 수출되어 아웃스파크 라는 회사에서 프로젝트 파우더 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했었으나 현재 서비스 종료.

1 스토리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는 겨울 스포츠가 불가능해지기에 이른다. 그러던 중 인류는 은하계의 끄트머리에서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지고 있는 새로운 행성을 발견하게 된다. 새롭게 발견된 이 행성은 대부분의 지형들이 급경사를 이루는 협곡으로 이루어져 있어 인간이 주거하기엔 부적절했다. 하지만 중력은 낮아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는 보드 라이더들에게 는 보드 라이딩을 위한 행성 ‘라이딩 스타’라 불리기 시작했다.

행성 라이딩 스타는 중력이 낮아 얼음 계곡 ‘오블리비온’을 비롯한 사막이나 잔디, 심지어는 물 위에서도 보드 라이딩을 즐길 수 있었다. 거기에 지구보다 높이 점프 할 수 있고, 긴 체공시간을 가질 수 있어 그 동안 지구에서 선보이지 못했던 화려한 트릭들을 마음껏 펼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라이딩 스타는 보드 라이더들이 평생에 꼭 한번 가보고 싶어 하던 곳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 스토리 설정 상 플래닛 델피너스라는 지구보다 중력이 작지만 지구와 비슷한 환경인 행성이 주 무대. 사실 실제 무대는 라이딩스타라고 명명된 은하계의 몇몇 행성이다. 현실에 존재하는 트릭도 존재하며 조금 어려운것에서 부터 실제로 절대 불가능한 트릭까지 다양하다.
  • 클로즈베타 때부터 지금까지 단 세 캐릭터로만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다가 (설정상 다섯) 2008년 2월 21일 패치로 신 캐릭터가 추가되었다.
  • 게임 스타일은 앞서 말했듯 레이싱.

스피드전, 아이템전, 좌우 방향 리버스 맵, 코인전 팀전/개인전 으로 플레이 할 수 있다.
플레이 시간(맵길이) 은 1분 30초 부터 4분 대까지 다양. 정해진 코스가 아닌 유저가 개척한 지름길이 많았으며 버그 수준에 속하지는 않았다.

무릎을 구부려 좀 더 높게 점프하는 차지점프, 원하는 방향으로 허리를 돌려 빠르게 회전하는 스핀차지 등이 가능하며. 트릭 시전시 부스터 게이지가 쌓이는 게이지 부스터, 착지시 정확한 타이밍에 전진버튼을 누르면 발동하는 착지 부스터 등이 있다.

대기실에서는 바닥을 마우스로 누르면 눈뭉치를 뭉쳐 타 플레이어를 클릭시 공격(?)하는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하이원 스키장과 제휴를 통해 유저가 부풀려졌던 적이 있었다.

플래닛 델피너스 (줄여서 델피너스라고 하겠다)를 기준으로 하는 맵들의 간판은 오블리비온.

설정을 따르자면 랜디시스가 은하급. 델피너스는 그중 한 행성이다. 하지만 게임 내부에선 둘 다 채널명으로 쓰였다.
랜디시스, 헤브니아, 플레네타 라고 하는 이 세 은하(?)만이 현재 이용할수 있는 은하이다.

2 등장 캐릭터

라이딩스타는 캐릭터별로 다른 능력치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그렇게 때문에 자기 취향에 맞게 캐릭터를 선택하고 플레이는 손가락 실력이였기에 역자 개인적으로는 다행이라고 생각.
장비별로 능력치를 올려주는 부분이 있었으나 장비에는 별다른 레벨제한이 없었다.
이후 패치로 스톤시스템이 추가되어 플레이가 끝난 뒤 전리품등으로 스톤을 구할 수 있었으며
타게임과 비슷한 강화 형태나 옵션추가 등의 형태로 사용되었다. Ex)점프력+~ 스핀+~ 스피드+~

캐릭터 프로필 작성 순서는 이름 / 개인 정보 (홈페이지) 소개 - > 플레이어 덧붙임 이다.

(나중에 정 안되거나 실제 내용이 추가가 되거나 누군가 확 바꿔버릴때 밑에 주석도 좀 정리해주기 바란다. -ㅇㅇ 정리하겠다. 또다른 사람이 이걸 읽고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정리해주길 바란다.)

게임 서비스 당시 캐릭터

  • 잭(Jack)
21세 / 황소자리 / 176cm / O
은하 패트롤 초년생
준수한 외모와 무난한 성격의 소유자로 낙천적이지만. 위급한 상황에서 빠른 판단과 용기를 보인다.

준수한 외모는 개뿔... 아니 근데 잘생기긴 했다. 그다음에 나올 에드 설정에서 나오는 정보로는. 서니를 좋아한다 .... 뭐 짝사랑인듯. 목소리가 시원시원 하다.

(그 다음은 잭 플레이어에게 맡긴다...)
  • 에드(Ed.)
16세 / 쌍둥이자리 / 165cm / AB
랜디시스 제 7대학 조기 입학
천재 소년으로 누나인 서니와 함께 신입생이 되었다. 메카닉에 심취해 직접 무언가를 만드는 일도 즐긴다. 누나에 대한 보호본능이 강해 잭을 늘 경계의 눈초리로 바라본다.
적당히 잘하는 플레이어의 7할은 다 에드 ...
설정에도 나오다 시피 앞서가는 지구인 ... 메카닉이 취미인지 옷에도 기계류가 자주 나온다. 특히 장갑. 아예 금속 건틀릿이 있다.
몸이 작다보니 트릭 사용시 충돌 실패 판정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변성기가 오지 않은듯한 목소리라 여자같이 들리기도 했다.
  • 서니(Sunny)
19세 / 처녀자리 / 167cm / A
랜디시스 제 7대학 신입생
명랑하지 일에 나서는것은 좋아하지 않는다. 운동신경이 좋아서 민첩하며, 취미로 바이크를 즐겨 탄다. 잭에게 마음이 있어 앞에서는 착한 여자 콤플렉스가 발동하지만 여전히 실수 투성이.
... 이거 뭐 (먼산)
RA에서는 설정상도짓코 캐릭터. 키에 비해 쭉쭉 뻗은 몸 때문에 실패 판정이 참 잘 일어난다. 하지만 보석 잘 끼우면 완전 미칠듯한 속도를 자랑 .... 얼마전까지만 해도 RA 단독 여성 캐릭터로 입지를 펼치고 있었다. 인기많음.

목소리가 간드러져서 플레이 하는 사람까지 신명나게 하지만 플레이어 일부는 너무 귀에 찔린다고 싫어하기도..

게임 서비스후 이후 패치로 추가된 캐릭터

  • 로즈 (Rose)
22세 / 물병자리 / 172cm / B
핸콕 제단 이사장의 상속녀
라이더스 은하계의 여러 행성. 특히 델피너스 행성을 소유하고 있던 핸콕 제단 이사장의 딸로, 그녀에게 상속된 재산을 노리는 사람들 사이에서 자라났다. 남들에게 기대지 않고 스스로를 무한히 사랑하는 성격이나, 어딘가 한편으로는 알수 없는 외로움이 있다.
흠흠... 원화 이미지 설정상에서는 누님 + 츤데레 + 장발 (+ 거유) 캐릭터였으나, 실제 게임에서는 누님 + 단발이 되어버렸다. 덤으로 머리색도 변경.
현재 RA 캐릭터중 최 연장자.
최근 패치되었으나 음향 지원을 안해줘서 벙어리가 아니냐는 말도 많다. 이후 패치된 목소리팩이 부드러운 목소리여서 인기가 많았다.
  • 비 추가 캐릭터
    • 피비 (Pibi)
~없음~
일단 설정상 (반)거유캐릭터. 아마 구조대의 일원이지 않을까 싶다. 분홍색 반 트윈테일이라는 알수없는 머리를 하고 있다. 그것말고는 더이상 정보를 캘수 없음.

3

  • 초보채널에서 플레이 할 수 있었던 맵이 있었고, 자유채널 또는 고수채널에서 플레이 할 수 있는 맵이 있었다.

채널은 레벨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위채널에는 하위채널 맵들도 포함되어 있다.

  • 미국 아웃스파크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맵이 2~3개정도 있다. 이곳엔 추가되어있지 않다.
※ 랜디시스 채널(Lv. 1~5) 맵

낮은 난이도(별 0.5~2개)의 맵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오블리비언 part 1~2(파트별 구분)
  • 스몰팍스 part 1~3[1]
  • 샤갈 part 1
  • 챠챠포야스 part 1~2
  • 산타크루즈 part 1
※ 헤브니아 채널(Lv. 6~11) 맵

이때부터 어려워진다. 최대 별 3개이며 트랙이탈이 일어나는 맵도 있다.

  • 아이젠수로 part 3
  • 얀센의 숲 part 1
  • 샤갈 part 2[2]

※ 플래네타 채널(Lv. 12~) 맵
최대 난이도 3.5로 구성된 맵들이 있다. 트랙이탈이나 점프중 걸리는 구간도 많고 아예 270도 꺾여 내려가는 뒤틀린 트랙도 존재한다.

  • 아이젠수로 part 1~2[3]
  • 얀센의숲 part 2
  • 챠챠포야스 part 3
  • 이퀼리브리엄
=== 트릭 ===


보정수치상 7부터 부스터를 사용할수 있음(???) 부스터 사용에 레벨제한은 없으므로 이해가 안된다면 오해는 하지말자.
※ 여기서 말하는 보정수치란, 실제로 판단은 할수 없으나 트릭 실패시 운 보석의 효과로 실패한 대신에 받을수 있는 부스터 치수를 말한다.

※밑의 트릭 분류는 임의로 작성한것이므로 오해는 금물.

※그립류 트릭에서 1회 판정으로 부스터를 사용 가능한것은 굵게 표시하였음.

(덤 : 트릭 설명에서 갭이 있는데. 다른 쓸만한 말을 찾을때 까지는 '시간'이라고 봐주면 감사하겠습니..)

  • 그립류
    • 단순 그립류
단순히 기본적으로 배우는 네가지의 그립 트릭을 이용한 트릭
  • 기본형
    • Indy (인디)
    • Stale Fish (스테일 피쉬)
    • Nose (노즈) - W
트릭점수 : 888(?) / 부스터 양 : 2 / 갭 : 매우 짧음
  • Tail (테일)
  • 발전형
  • Mute (뮤트)
  • Mute Bone (뮤트 본)
  • Lien
  • Method (멧호드)
  • 트윅
  • Indy Bone (인디 본)
  • Stale Fish tweak (스테일 피쉬 트윅)
  • Nose tweak (노즈 트윅)
  • Tail tweak (테익 트윅)
  • 변형 그립류 :
양쪽을 잡는다던지 등의 그립 트릭.
  • Gorila
  • Truck Driver
  • 탈출 그립류
한발을 빼거나 하는 식의 그립 트릭

역자2: 트릭에서 얻을 수 있는 부스터 수치까지 정리해놓은건 대단하지만 뭔가 알아듣기 힘들었다..

  • 모션 트릭 : 진정한 묘미는 지금부터! 그야말로 트릭의 꽃
    • Kick Spin 720
    • ClockWork
    • Double Screw
    • Water Mill
    • Fish Hawk
    • High Sharpar
    • Hatch Cover
    • Swagger
    • Breakfall
    • Ice-cream Cone
=== Ost ===
한국에서 서비스 당시 게임Ost 는 실제 가수와 인디밴드의 음악을 라이센스하여 사용하였고, 트랙과 매치가 잘 되어, 서비스를 종료한 지금까지도 Ost만을 찾아다니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
  • 참여한 밴드로는 Kierra Kiki Sheard , Ok Go, Saosin, The Vines 등이 있다.
Saosin - Sleeper, Voice, Bury your head
The Vines - Don't listen to the radio
Ok go - Here it goes again, Don't ask me, A million ways
Kierra Kiki - Let go, You, Closer
Yellowcard - Ocean Avenue, Twentythree, Way away

-외에도 Ost는 많이 있다.

4 etc

  • 서비스종료를 아쉬워하는 사람이 많으며 한국 서비스 종료당시 플레이어 개중 일부는 미국의 프로젝트 파우더 로 넘어가 미국 랭킹 1,2,3,7 위를 차지한 경력이 있다. 트랙별 랭킹 상위권에서도 한국인은 빠지지 않았다.
미국 내에서도 사람이 많지는 않았지만 고정 유저는 있을만큼 사랑받고 있었고 아웃스파크의 프로젝트 파우더 서비스 종료후 재 서비스를 해 달라는 서명운동이 있었을 정도.
  • 게임 플레이 영상등을 참고해도 현재 서비스해도 다른 게임에 뒤쳐지지 않을것이라는 블로그 글들이 많다.
  • 게임엔진을 구해 개인용 서버를 열거나 프리메x플과 같은 형태로 서비스 해보겠다는 사람이 많음에도 아직까지 실제로 실행한 사람은 없다.
  • SP Jam 등과 자주 비교된다. 보통 SP Jam 은 액션,화려함과 게임성에 치중된 반면 라이딩스타는 리얼리티, 스피드, 액션 등이 잘 녹아있고 SP Jam 보다 기능(난간타기 등)이 적지만 플레이 하다보면 조작은 쉬운데 다른플레이어들을 앞지르기는 쉽지않다는걸 알게 되는 게임이다.
  1. 특히 part 2는 초반의 장시간 체공 점프대가 있어 더블스크류, 하이샤파, 브레이크폴, 스웨거 3차라이선스 맵으로 채용되었다.
  2. 헤브니아 채널 맵 중 가장 난이도가 높은데, 정식 루트를 가더라도 낙하로 인한 트랙이탈이 존재한다. 물론 산악지형인 챠챠포야스에도 이건 있었지만 트랙을 따라가다 이탈이 일어나는 경우는 없으므로 논외
  3. part 1 후반과 part 2 중반의 지형이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