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작을 치는 곳마다 다른 리치마작의 룰을 설명하는 페이지.
리치마작이 리치마작의 전신인 이십이마작까지 포함하면 생긴지 오래 되었고, 리치마작을 치는 지역이 좀은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룰의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목차
1 점수
1.1 시작점수
동1국을 시작할 때 가지는 초기점수.
25000점, 27000점, 30000점 중 하나가 보통이다.
시작점수가 다르더라도 반환점수는 대체로 3만점으로 하기 때문에, 시작점수가 낮을수록 1등에게 가는 점수인 오카가 커지게 된다.
삼인마작은 큰 점수가 나오기 쉬워서 시작점과 반환점을 5천점이나 1만점 올려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올리는 점수도 다를 수 있다.
작룡문과 천봉에서는 반장전 기준 25000점(동풍전은 20000점 시작 25000점 반환), 한국에서는 이수에서 25000점, 신림에서 30000점이 시작점수이다.
대회에서는 오카가 없기 때문에 3만점이 보통이다.
1.2 우마
순위에 따라 주어지는 점수이다.
5-10(1등 +10,000 2등 +5,000 3등 -5,000 4등 -10,000) 우마, 10-20 우마, 10-30 우마등이 쓰이며, 이외에도 일본프로마작연맹 A룰과 같이 특이한 우마 제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1.3 백의 자리 처리
만약 +12000점이라면 +12로 기록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때 백의 자리가 존재하여 +12300과 같은 점수라면, 소수점 이하의 수를 처리하는 방식이 다르다. 그냥 +12.3 식으로 기록하기도 하며, 반올림/올림/버림 등의 방법이 있다.
이러면 1234등의 점수의 합계가 0이 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때 합계가 0이 되도록 점수를 조정하기도 하고, 합계가 0이 되지 않아도 그대로 적는 경우도 있다.
1.4 들통(하코텐, 붓토비)
점수가 마이너스가 되었을 때 게임을 종료하는 룰이다.
천봉은 들통 있음(0점은 들통 아님), 작룡문은 들통 있음(0점도 들통)이다.
1.5 동점자 처리
오카나 우마를 계산할 때 동점자가 나올 때의 처리 방식이다.
기가를 기준으로 동남서북 순, 오라스 친 기준으로 동남서북 순의 방법이 있으며, 두 명이 나눠가지는 룰도 있다.
2 연장조건
친이 친을 계속하기 위한 조건.
리치마작은 텐파이렌짱(친이 화료하거나 유국시 텐파이었다면 연장)이 보통이나, 드물게 아가리렌짱(친의 화료만으로 연장이 가능), 노텐렌짱(자의 화료 이외로는 친이 넘어가지 않음)을 적용하거나, 아니면 아예 연장 없이 진행하기도 한다.
2.1 아가리야메, 텐파이야메
오라스에서 친이 1등이고 연장가능한 상태일 경우, 연장하지 않고 끝낼 수 있는 룰이다. 친의 화료로 연장가능한 상태일 때만 중지 가능(아가리야메), 친의 화료뿐 아니라 유국시 텐파이로도 중지 가능(텐파이야메) 등의 룰이 있으며, 강제적인지 임의인지도 룰마다 다르다.
텐파이야메를 채택한다면 오라스의 도중유국에서도 텐파이야메가 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천봉과 작룡문에서는 텐파이야메를 채택하나, 오프라인에서는 아가리야메를 채택하는 경우도 많다.
3 서입
오라스 종료 후에도 아무도 반환점을 넘지 못했을 경우 서장으로 넘어가는 룰.
없는 경우도 있으며 서장 종료 후에도 반환점에 도달한 사람이 없을때 북입을 인정할지[1], 서든데스(중간에 반환점을 넘기면 종료) 형식일지 서4국까지 도는 형식일지도 룰마다 다르다. 동풍전에서도 비슷하게 남입 룰이 있지만 동풍전은 애초에 얼른 한 판을 하고 끝내려는게 목적이고 아니면 처음부터 반장전을 하기 마련이라 거의 쓰지 않는다.
천봉은 최대 서4국까지 서든데스 형식으로 진행하며, 작룡문은 서입이 없다.
4 잔류공탁금
오라스가 유국으로 종료되어서 리치공탁금이나 벌점공탁금이 남았을 경우 처리하는 방법이다.
1등이 가져가는 룰이 보통이나, 주인에게 반환, 오라스 친이 획득, 아무도 가져가지 않은 채로 처리 등의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5 도라
앞도라, 뒷도라, 깡도라, 깡뒷도라 등이 있다.
보통 전부 채용하지만, 대회에서는 깡뒷도라 등 일부 도라를 채용하지 않기도 한다.
5.1 깡도라
깡도라를 채용할 경우, 깡도라를 공개하는 타이밍이 다르다.
깡 성립 직후에 공개하는 룰, 깡 선언 직후의 다음 깡 또는 타패 후 공개하는 룰이 있다.
후자의 경우 영상개화나 깡 직후의 버림패로 론 화료시 깡도라를 인정하는지 여부도 다르다.
천봉은 안깡은 전자, 밍깡은 후자(영상개화시 깡도라 인정 안함, 깡 직후 론 화료시 깡도라 인정)의 룰이며, 작룡문은 안깡, 밍깡 구분없이 전자의 룰이다.
5.2 적도라
전부 빨간색으로 된 패. 가지고만 있어도 도라 취급이다.
적도라의 채용 여부, 채용 장수가 다르다. 심하면 수까지 다르다(5가 아닌 3이나 7 등. SIMPLE DS series vol.1에서 채용).
천봉과 작룡문은 5만, 5통, 5삭 1장씩 3장의 적도라를 사용한다.
6 2판묶기
5본장 이후로는 1판이 아닌 2판 이상이 있어야 화료가 가능한 룰.
이 룰을 채용하는지, 채용한다면 친만 대상인지 자가 대상인지의 차이가 있다.
천봉과 작룡문 모두 채용하지 않는다. 천봉은 과거에는 적용했으나 현재는 폐지했다.
7 부수
부수의 계산법이 룰마다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다.
영상개화로 화료했을 경우 쯔모 2부를 인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연풍패(더블동, 더블남 등)가 머리일 경우 4부인지, 2부인지도 다르다.
8 올림만관
만관에 가까운 점수인 4판 30부, 3판 60부를 만관으로 계산하는 룰이다. 점수봉을 주고 받는 오프 마작에서는 편의상 채용되기도 하지만 컴퓨터가 알아서 점수를 계산해주는 넷마작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천봉, 작룡문 모두 채용하지 않는다.
9 헤아림 역만
보통 역만역이 없어도 판수의 합계가 13판 이상이면 역만의 점수를 받지만, 헤아림 역만을 인정하지 않고, 13판 이상도 삼배만의 점수로 계산하는 경우도 있다.
10 역만의 복합
역만이 중복할 때, 복합이 가능한지, 아니면 복합을 인정하지 않는지의 차이가 있다.
천봉, 작룡문 모두 복합이 가능하다.
11 동시화료 시의 처리
동시에 화료 선언이 나왔을 경우, 쏘인 사람으로부터 쯔모순서가 가까운 사람의 화료만을 인정하는 아타마하네, 두 명의 화료를 모두 인정하는 더블 론 두 가지 룰이 있다.
더블 론을 채용할 경우, 공탁금과 연장봉은 아타마하네, 절반으로 나누어 지불, 전부 지불 등의 여러 가지 룰이 있고, 연장조건도 친이 화료자에 포함되면 연장, 친이 상가여야 연장으로 룰이 나뉜다.
대회에서는 거의 아타마하네지만, 천봉과 작룡문은 더블 론을 채용하고 있다. 단, 작룡문 리그전은 아타마하네이다.
12 도중유국
구종구패, 사깡산료, 사풍연타, 사가리치, 삼가화료 5종류 중에서 어느 도중유국을 인정할지, 인정한다면 연장인지 친이 넘어가는지의 여부가 다르다.
천봉은 5종류 모두 인정하며 모두 연장이다. 작룡문은 리그는 5종류 모두 인정, 일반방은 구종구패 사깡산료 사풍연타의 3종류만을 인정하며, 사깡산료와 사풍연타는 친이 넘어간다.
13 책임지불
책임지불 자체를 인정할지, 인정한다면 어떤 역에 한해서 인정할까의 여부가 다르다.
대명깡 영상개화 책임지불을 인정할 경우, 쯔모화료의 점수로 계산할지, 론 화료의 점수로 계산할지의 여부도 다르다.
천봉과 작룡문 모두 대삼원과 대사희에 한해 인정한다. 천봉은 스깡쯔도 인정하였으나 폐지하였다.
14 쿠이탕
마작의 역/1판역인 탕야오가 멘젠이 아니어도 되는지 여부에 따라 나뉘는 룰.
천봉과 작룡문 모두 쿠이탕을 인정하는 방과 인정하지 않는 방이 따로 있다.
15 쿠이핑후
파일:Attachment/8wan.gif 파일:Attachment/8wan.gif 파일:Attachment/3piny.gif 파일:Attachment/4pin.gif 파일:Attachment/5pin.gif 파일:Attachment/5pin.gif 파일:Attachment/6pin.gif 파일:Attachment/7pin.gif 파일:Attachment/4souy.gif 파일:Attachment/2sou.gif 파일:Attachment/3sou.gif 파일:Attachment/6sou.gif 파일:Attachment/7sou.gif
대기패 파일:Attachment/5sou.gif 또는 파일:Attachment/8sou.gif
위의 경우 핑후 형태여서 부수는 20부이지만 멘젠이 아니라 핑후 역이 없어 1판 20부로 700점이 되어 1000점보다 낮은 점수가 된다. 울어서 만드는 탕야오나 찬타, 일기통관이 이런 형태가 될 수 있다.
이것을 막기 위해 30부로 올려서 계산하기도 하는데, 무조건 30부로 올림, 1판 20부만 30부로 올림, 자의 1판 20부만 30부로 올림, 그냥 20부로 계산 등의 룰이 있다. 드물지만 1판 20부는 화료불가인 룰도 있다.
천봉과 작룡문 모두 무조건 30부로 올림 룰을 채택한다.
16 리치
점수가 1000점 이하/미만이면 리치가 불가능한 룰과, 1000점 이하/미만이어도 리치가 가능한 룰로 나뉜다.
후리텐리치/가라텐리치를 인정하는지의 여부도 다르다.
천봉과 작룡문 모두 1000점 미만 리치 불가능 룰이다. 또한 작룡문은 가라텐리치를 인정하지 않는다.
17 유국만관
화료로 인정하는지, 유국취급인지 룰에 따라 다르다.
유국 취급일 경우, 노텐벌점 지불 여부, 친 연장 조건이 룰에 따라 다르며, 화료 취급일 경우 두 명 이상의 동시 달성시의 처리방법이 다르다.
18 역
18.1 역의 판수
치또이쯔는 2판 25부가 보통이지만, 1판 50부나 2판 30부를 채용하는 곳도 있다.
혼노두의 경우 2판이 아닌 3판으로 계산하는 곳도 존재한다.
18.2 단독 역에 의한 더블역만
단독 역에 의한 더블역만을 인정하는지의 여부가 다르다.
보통 스안커 단기대기, 국사무쌍 13면대기, 순정구련보등, 대사희 4종류를 인정하며, 드물게 발 없는 녹일색이나 스깡쯔, 아니면 대칠성 같은 로컬 족보를 더블역만으로 인정하기도 한다.
천봉은 인정하지 않고, 작룡문은 리그전을 제외하고 인정한다.
18.3 녹일색
발을 필요로 하는 룰이 있고, 발이 필요없는 룰, 발이 없으면 더블역만인 룰이 있다.
과거에 만관이 최고점일 때 발이 없으면 청일색(3판)+탕야오(1판)로 녹일색 없이도 만관이었기 때문에 발이 필요한 룰이 생겨났다.
일본프로마작연맹 A룰은 발이 있어야 인정하나, 천봉과 작룡문은 발이 없어도 인정한다.
18.4 천화, 지화, 인화
천화, 지화는 대부분 역만으로 인정하나, 룰에 따라 다른 역만과의 복합을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인화는 룰에 따라 인정하지 않음, 역만, 배만, 만관, 4판 등의 다양한 룰이 있다.
또한 지화의 정의는 보통 자의 첫 쯔모로 화료이지만, 드물게는 친의 첫 타패로 론 화료[2]를 지화로 인정하기도 하며, 인화의 정의도 보통 자의 첫 쯔모 전 론 화료이지만, 드물게 1순 이내의 론 화료, 자의 첫 쯔모 또는 첫 쯔모 전 론으로 화료 등 다양한 정의가 있다.
천봉, 작룡문 모두 천화, 지화를 인정하고 역의 복합도 인정한다. 천봉은 인화를 인정하지 않고, 작룡문은 역만으로 인정한다.
18.5 로컬역
어느 역을 인정하는지의 여부가 다르다.
천봉은 일체 인정하지 않고, 작룡문은 통수의 대차륜만 인정한다.
한국마작연맹은 만/통/삭수의 대차륜과 파렌짱을 인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