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 오브 소드3

1 개요

마스터 오브 소드의 3번째 시리즈. 2006년 12월~2007년 1월달에 출시됐다.

마스터 오브 소드를 구작/신작으로 구분할 때 구작의 마지막이 되는 작품으로, 이 다음 시리즈인 마스터 오브 소드4부터는 마을과 포션의 존재 등 RPG요소가 크게 강화된다. 아무래도 구작을 선호하는 사람이 신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만 마스터 오브 소드5가 크게 흥하면서 신작에도 팬층이 많이 붙었다.


마스터 오브 소드2에서 테트라쿤을 쓰러트린 용자 로빈얼티밋 소드를 사자왕의 신전에 안치한뒤 발테임이 그것을 탈취하려는 스토리이다. 사자왕의 신전이 마계와 융합됐기 때문에 마오소2 때와 마찬가지로 퍼즐 맵에서 헤매게 된다.

분량은 전작 마오소2에 비하면 적은 편이지만 절대적으로 보면 결코 적은 양은 아니다. 마오소2가 워낙에 미친 분량을 자랑해서 상대적으로 비교를 많이 당하는 시리즈이기도 하다. 하지만 BGM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역시 좋다. 마오소3 BGM 일람

1의 사람잡으며 후반부에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는 정신나간 밸런스와 비교하면 레벨업과 오브라는 기능이 도입되어 난이도가 엄청나게 낮아졌다. 특히 하드모드를 빨리가서 하드모드 초반에 미논 근처에서 노멀모드보다 더 좋은 능력치를 가진 오브만 모아 미논에게 합성시키면 로빈은 먼치킨이 된다. 특히 럭키오브는 수치를 1000정도만 올려도 능력치 상승 아이템이 넘쳐흐른다. 밸런스 파괴의 주범. 나중에 가면 펫이 알아서 미친 속도로 사냥하고 로빈은 그저 걸어다니기만 하면 보스도 알아서 다 깨준다.

난이도는 높지만 아이템을 적절히 악용이용하면 후반부에 적 보스들을 말아먹을정도로 나쁘지만 마오소 시리즈가 보장하듯 재미는 있는 게임이다.

마오소 6은 절대로 나올수가 없는게 제작사인 놀엔터테이먼트가 이너브로 사명을 바꾼다. 이후 모비클에 인수당한다. 모비클은 매각하고 포트락게임즈로 새출발했지만 망하고 파티게임즈로 갔는데 이 회사의 사정도 좋지 않다.
마오소 3부터2이하는 그걸 해본사람이면 나무위키에 작성을 할수 없는 정도의 아저씨이기때문에.. 3을 해본사람도 20대는 기본적으로 넘기는 시점이니 제외하고 서술한다. bgm이나 적절한 퍼즐요소등이 적절히 이루어진 굉장한 수작이었고, 4는 망했다하지만 5역시 2009년도 치고 굉장한 일러스트를 사용했고 그걸 스탠딩으로 집어넣기까지 하는 명작이었다. 6편이 시리즈의 마지막이었기때문에 안나오는게 아쉬울정도의 게임이니, 착한 나무위키러면 파티게임즈가서 문의한번만 날려주자.

2 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