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영선

1 개요

풍종호의 무협소설 『호접몽(胡蝶夢)』에서 마혈방(魔血幫)을 만들고, 실질적으로 무림오염라(武林五閻羅)를 부리는 대야가 바로 그이다. 오염라 중 수혼염라(搜魂閻羅) 고반수와 독수염라(毒手閻羅) 나삼은 본래 그의 수하였고, 남은 셋인 단혼염라(斷魂閻羅) 등천웅, 착혼염라(捉魂閻羅) 초광생, 혈수나찰(血手羅刹) 조심화가 그의 제자이다. 첫째, 등천웅의 별호인 단혼염라는 본래 그의 것이었지만, 제자에게 물려준 것이다. 몽롱한 눈빛을 하는 것이 특징이며, 무공으로는 대표적으로 적염장(赤焰掌)을 익히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무공을 익히고 있는 것 같다.[1]

젊었을 때 매우 고집이 세고 오만하여 천하제일이 되고자 한다. 무공을 익히면 시험해보기 위해 적당한 상대를 골라 비무를 벌이며 승리를 쌓아간다. 그래서 동년배들 중에서는 가장 강하다고 생각할 무렵에 묵린영(墨燐影)과 모용성을 만나면서 두 번의 패배를 겪고 만다. 처음에는 한 사람에게 두 번 패한 것이라 여기고 이 패배를 되갚기 위해 증오를 불태우며 마혈방을 만들고 제자들을 키워낸다.[2] 그러던 차에 모용성이 죽었는데, 묵린영은 살아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이상하게 여겨 도대체 무슨 장난인지 파악하기 위해 모용성의 무덤을 파보기까지 한다. 이로 인해 묵린영과 모용성이 쌍둥이였음을 알게 된다. 그래서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서 대제자인 등천웅에게 남은 사염라와 마혈방까지 맡기면서 계속하여 모용세가를 공격하게 한다.

모용세가에서 열리는 육대세가의 논검회(論劍會)가 끝나갈 시점에 맞춰서 모용세가를 불태울 화계(火計)를 준비하여 실행에 옮기는데, 오행도수와 일사불란(一絲不亂)한 모용세가 가솔들의 대응으로 큰 피해를 입히지 못한다. 이때 몽영선은 당대의 묵린영을 찾아가 자신의 과거를 밝히면서 오랜 증오를 갚고자 하나, 묵린영의 일수일보(一手一步) 앞에 허무하게 쓰러지고 만다.

2 무공

  1. 초광생에게 착혼도를 전수한 것도 그이며, 마지막에 묵린영과 격돌할 때에는 검을 사용한다.
  2. 그가 제자들을 가르친 이유가 자신이 모용성보다 낫다는 걸 보이고자 모용성의 자식들을 제자들로 꺾게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