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의 일본인전사자 유체의 절단

경고! 이 문서는 충격을 유발하는 내용 혹은 표현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사용자에 따라 불쾌감, 혐오감, 공포감을 느낄 수 있는 내용, 이미지, 외부 링크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열람에 주의하시기를 바랍니다. 이 문서를 열람하여 발생한 피해는 바다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읽고 싶지 않으시면 즉시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파일:American mutilation of Japanese war dead4.jpg

1944년 5월 22일 라이프매거진에 실린 금주의 사진.아리조나의 전쟁동원된 여성 노동자가 그녀의 남자친구가 선물로 보낸 일본인 두개골에 감사의 편지를 적고 있는 모습이다.

1 개요

영어:American mutilation of Japanese war dead
일본어:米軍兵による日本軍戦死者の遺体の切断

제2차 세계 대전기간 동안 있었던 전쟁범죄 행위중의 하나.전쟁이 얼마나 인간성을 파괴하는지 보여주는 일례로 소개되고 있다.

2 내용

태평양전쟁에 참전한 미군중 일부는 의 신체 일부를 기념품으로 여겨 수집하기도 하였다.이중 가장 일반적으로 행해진 행위는 금니를 취득하는 것이었는데 비교적 거부감도 적고 약간의 금전적 이득도 챙길수 있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 정도에서 그치지 않고 신체를 훼손하고 그 일부를 전리품으로 간주하고 장식품,장난감으로 사용하였다.

그중 가장 대중적으로 수집된건 일본군의 두개골이었다.이러한 두개골들은 trophy skull 로 칭해졌으며 이미 백골화된 유골을 취득하기도 하였으나 유체를 훼손,절단하여 인위적으로 수집하기도 하였다.

400px

일본군의 두개골로 전면을 장식한 미군차량

400px

수집한 일본군 두개골을 들고 해맑게(...) 웃고 있는 미군병사들

이러한 트로피 수집행위는 의외로 널리,그리고 공공연하게 행해졌는데 이미 이러한 인체수집 행위는 전쟁중에도 미국과 일본 양쪽에 언론매체를 통하여 널리 알려져있는 사실이었으며 심지어는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미연방하원의원이 일본군의 팔뼈로 만든 지칼을 선물로 보내기도 하였다.[1]

물론 미군측에서도 이러한 행위가 야만적인 행위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고 1944년 미군측에서는 이러한 행위를 1929년 재정된 병자와 부상자에 대한 제네바 협약에 대한 위반으로 규정하고 해당 범죄를 저지른 미군병에 대하여 처벌하겠다고 공표하였다.그러나 그럼에도 이러한 행위가 완전히 근절된건 아니었다.

3 원인

당시는 세계적으로 인종에 대한 편견과 증오가 만연하던 시기였고 미국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인종주의적 성향이 강한 일부 백인은 황인종을 백인과 동등한 인간으로 취급하길 거부하기도 하였다.이러한 경향은 전쟁이시작하면서 인종주의적 편견이 포함된 프로파간다가 적극적으로 행해지면서 더욱 증폭되었다.이로 인하여일부에서는 일본군을 자신들과 동등한 인간으로 취급하길 거부하는 인식이 있었다.

또한 일본의 진주만 공습으로 인한 선제공격으로 일본에 대한 미국의 분노는 상당한 수준이었다.그리고 기본적으로 일본군은 미군에 절대 자비로운 군대가 아니었으며 일본군의 행위는 속속히 미국에 전달되어 보도되었다.이러한 분노의 표출 방법중 하나가 적 전사자에 대한 시체훼손이었다.

4 후폭풍

이러한 행위는 당연히 일본군의 귀에도 들어갔고 일본군은 귀축영미의 만행을 보라는 식으로 대대적으로 선전하였다. 정작 자기들은 더한 짓도 했다는 게 함정.이로 인하여 일본측 민간인들은 미국에 대하여 극도의 공포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미군의 상륙작전때 공포심에 사로잡힌 민간인들이 집단자살을 하기도 하였다.

5 기타

현재도 이러한 일본군 전사자의 유해들은 미국내에서 상업적으로 거래되고 있다.미일 관계가 개선됨에 따라 이러한 유골을 일본으로 송환하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Japanese trophy skull finally returning home
  1. 당연히 루스벨트 대통령은 선물을 반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