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JTBC)

1 프로그램 소개

누군가를 떨어뜨려야 내가 산다! 최후로 살아남는 자에게 커다란 상품이 주어진다면?? 상품에 대한 욕심과 빠져나갈 수 없는 공간의 공포가 만났을 때 인간은 어떤 심리를 드러내게 될 것인가? 심리의 민낯을 확인할 수 있는 극한 밀실 서바이벌 버라이어티 BOX. '박스' 안에 갇힌 이들의 룰은 오직 하나! 제한시간마다 1명씩 탈락해야 하는 것!

1.1 개요

2015년 9월 5일부터 2015년 9월 19일까지 JTBC에서 총 3부작으로 편성되었다. 관찰자인 이상민표창원의 출연 소식이 알려졌다.

초기 이 프로그램이 극한 밀실 심리 서바이벌 이라고 홍보되어 더 지니어스 팬들이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지니어스처럼 머리를 쓰는 것이 아닌, 이른바 날방송에 가까운 프로가 되다 보니 망작 테크를 타 버렸다. 아래에서 설명하듯 이상민과 표창원이 따로 관찰을 한다는 점으로 보아 게임부터 탈락자까지 출연진들끼리 결정하는 혼돈 혹은 질서를 뽑아내려는 것 같았으나... 제한시간 외엔 아무것도 정해주지 않고 '탈락자 결정하지 않으면 너네 다 탈락(수정바람)'이란 규칙으로 몰아붙이기만 했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분량때우기가 되어버렸다. 당장 1화 첫 번째 게임이라는 게 농구공 던져서 상자에 넣기. 그리고 이걸로 정말로 1회전 탈락자를 결정했다. 그나마 2회때 부터는 머리를 쓰는 게임을 하거나 출연진들이 직접 탈락 선정 할 게임을 연구해서 준비하는 등 치밀함을 보여서 전편보단 많이 나아졌다.

하지만 당연히 정규 편성은 실패했고 이 프로를 잘 다듬어 2016년 1월에 공개된 게 코드 - 비밀의 방이다.

1.2 박스 구조

  • 박스는 기본적으로 정육면체에 천장은 뚫려있다. 그리고 바닥 가운데에는 게임의 특성[1]과 게임 제한시간을 알려주는 전광판이 존재한다. 4개의 벽 중 하나는 플레이어들의 위시 상품[2]이 진열되어있는 공간이 유리문 뒤로 존재하고[3], 또 나머지 3개의 벽에는 거울이 존재하는데, 거울이 아닌 경찰서에서 쓰는 그 관찰용 창문이다.
  • 특별히, 위시상품 진열 공간 왼쪽에 있는 벽 뒤로는 탈락자들이 게임상황을 관전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물론 박스 안에서는 탈락자들을 보지 못한다.
  • 위시상품 진열 공간 반대 벽 아래쪽에는, 작게 서랍처럼 열고 닫을 수 있는 상자가 존재한다. 이 상자를 통해 게임에 사용할 소품이 오기도 하고, 식료품이 오기도 한다. 2화에서는 이 상자안에 공을 던져 넣는 것이 게임이었던 적도 있다.

1.3

  • 룰의 제한은 없다. 그냥 게임을 시작하는 경보음이 울리고 나서 제시되는 제한시간 안에 아무게임이나 진행해 탈락자를 선정하면 되는 것.
  • 만약 제한시간 내에 탈락자를 선정하지 못할 경우, 플레이어들의 수 만큼 흰색 공 하나, 나머지는 빨간색 공들이 밀실 벽 상자에 배달된다. 플레이어들이 공을 번갈아 가며 뽑아, 흰공을 선택한 플레이어가 탈락자를 선택하게된다. 물론 이 때문에 더러운 일도 생겼지만[4]
  • 탈락하게 되면 해당 플레이어에게는 팔로우 룰이 적용된다. 우승할 것 같은 플레이어를 선택해 자신의 위시상품을 준다. 만약 위시상품을 받아 위시상품을 두개 이상 가지고 있는 상태로 탈락할 시, 자신에게 있는 모든 위시상품이 모두 자신이 우승 예측한 플레이어에게로 간다.
  • 결승전 : 결승전의 룰은 정해져 있다. 바로 데스노트. 두 결승 진출자에게 전광판을 통해 자신에게 있는 위시상품 개수와 위시상품이 자신에게로 이동한 경로[5]가 표기된다. 물론 경로에 팔로워들의 이름은 공개되지 않는다. 두 결승진출자들은 번갈아가며 상대에게 위시강품을 줬을 것 같은 플레이어를 선택한다. 해당 플레이어의 위시상품은 제거되며, 팔로우 경로에 이름이 공개된다. 이런 식으로 계속 게임을 진행해서, 상대의 팔로워(위시상품을 준 사람들)을 모두 맞쳐, 상대편 위시상품을 먼저 모두 제거하면 승리하여, 자신에게 남은 위시상품까지 모두 흭득한다. 다시말해, 우승자 편에 서서 끝까지 이름을 불리지 않으면 자신의 위시상품을 흭득가능한 것이다.

2 출연진

  • 관찰자 : 박스 안을 관찰하고 플레이어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 이상민 : 상대의 심리를 간파하고 촉으로 승부하는 이상민이 관찰을 하러 왔다. 플레이어들의 심리를 잘 간파 하기 때문에 관찰 시, 시청자들에게 현재의 심리상태를 알려준다.차라리 직접 참여하지 1회에서 우승 후보 3인을 선정하는데 그동안 예능 프로그램에서 활약한 최고의 인물 3인을 선정한다. 그런데 정확히 그 순서데로 탈락한다. 누구인지는 스포일러. 2회에서도 우승 후보 3인을 선정하는데 역시 전원 첫번째로 탈락한다.
  • 표창원 : 국내 최초 프로파일러이다. 크라임씬을 시작으로 예능에 얼굴을 내밀던 표창원 교수가 관찰을 하러 왔다. 플레이어의 작은 몸짓 하나하나를 간파해 시청자들에게 현재 플레이어의 욕망을 나타내준다. 우승 후보 3인 선정에서 좀 의아한 인물을 선정하는데, 예상외로 대활약 한다.

이외에 플레이어들은 각 회차마다 다르므로 방영정보에서 확인하길...

3 방영기록

  1. 이동 이번 라운드에는 두 명을 탈락시켜라, 준비된 소품으로 게임을 진행하라 등등
  2. 이동 100만원은 훌쩍 넘는다.....
  3. 이동 게임 중 언제든지 출입이 가능하다
  4. 이동 1화에는 이 방식을 몰라 유상무가 장도연을 살릴려고 버티다가 이 방식이 실행됐다. 하지만 2화에서는 이를 알고 일부로 뻐기는 경우도 생겼다. 대부분 이런 경우 이런 일을 자초한 플레이어보다 자신이 견제한 플레이어가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
  5. 이동 A가 B에게 주었는데 B가 결승진출자인 C에게 줄 시, C는 팔로워 2명, 그리고 경로는 ? -> ? -> C 이런 식으로 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