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틀필드: 카운트다운

213956705g.jpg

배틀필드 4 정식 소설. CIA 현장 요원 라즐로 W. 코빅이 차세대 전쟁을 막기 위해 미국과 중국 양측 정부에 닿아있는 음모를 파해치는 내용이다. 2014년 2월 6일 제우미디어에서 한글판으로 출시되었다. 미국판 원제는 <BATTLEFIELD: COUNTDOWN TO WAR> 게임 상에서 생략됐던 정치적인 묘사를 소설이 밀도있는 스토리로 매꿔주기 때문에 배틀필드 4 본 게임과 비교해 가며 읽으면 좋다. 전작보다 정치적인 묘사에 보다 치중했기에 조금은 루즈 한 편이나 여전이 국내에 찾기 힘든 밀리터리 스릴러 장르로서 수작이라는 의미가 있다. 근데 번역이 이동훈이다. 망했어요?

이하 소개글.



영하 20도의 어둠 속에서 CIA 현장요원 라즐로 코빅은 북한 국경에서 곧 지옥으로 추락할 합동 미션을 지휘하였다. 미국 군인들은 몰살 당하고, 중국측 안내자는 달아났다. 코빅만이 유일한 생존자이다. 상하이에 있는 기지로 돌아가는 여정에서, CIA소속의 그의 상사는 기적적인 그의 귀환을 의심한다. 하지만 코빅은 복수만을 원할 뿐. 그는 그 임무에서 수 많은 친구를 잃었다. 그는 중국의 지하세계의 인물들을 모아 파쇄팀을 만든다-해커, 전문 도둑, 올림픽 우승 저격수. 그리고 중국과 미국, 두 정부의 고위층에게까지 닿아있는 음모를 파해치기 시작한다. 이곳에서 그는 절망적인 플롯을 발견한다. 전세계를 전쟁으로 이끌 단 한가지 플롯...

스토리는 코빅이 자신이 이끈 미해병대 수색대대(포스 리컨) 부대가 북한에서 몰살당한 이유를 상해에서 추적하는 내용.
북한에서 팀이 몰살당한후, 아무런 지원없이, 거의 죽어가는 남은 생존자들을 데리고 기적적으로 북한을 탈출해 중국 국경에 도착한 그는 마지막 힘을 내어 통신으로 도움을 요청하지만, 연락을 받고 도착한 듯한 군사조직이 생존자들을 살해하고, 자신만 생존한체, 겨우 상해에 도착한다.


그는 상해에 도착후, 해병대가 북한에서 몰살당한 사건이 너무 빠르게 대중에게 누출된 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국경에서의 사건은, 작전 수행중 중국 국경에서 중국군을 상대로 공격을 한것으로 조작 되었으며, 국경 현장에서 일방적으로 살해당한 자신의 팀의 생존자들의 사진이, 조작된 사망한 중국 병사의 사진과 함께 퍼져나가고 있는 것을 본다.

그로 인해 중국의 반미 감정이 격해진 상태였다.

그는 사망한 군인들의 사진이 누출되어 반미시위에 사용되고, 이어지는 자국민에 대한 테러 등을 보며, 자신이 겪은 북한의 사건이 의도된 사건들의 연쇄의 시발점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자신을 되레 압박하는 CIA, 중국 보안국, 창 제독이 매수한 준 군사 범죄조직들의 추격을 피해 자신의 현지인 팀과, 취조 받는 도중 신뢰를 따낸 보안국의 한나의 협력으로 진실을 밝혀나가는 것이 주 내용이다.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사실 정보를 누설한건 라즐로 코빅의 CIA 직속 상사인 커틀러와 미국의 극단적인 사상의 보수주의자 의원이었다. 해당 의원은 중국이 미국에 대립하여 자멸하길 원했고, 마찬가지로 권위주의자인 창제독 또한 중국에서 진졔를 위시로한 평화주의와 민주주의 바람을 부는 것을 혐오했기에, 둘은 원하는 것이 일치하였고, 커틀러는 출세하려고 여기에 줄을 댄것.

즉 라즐로 코빅이 이끈 미해병대 포스 리컨들이 북한에서 몰살당한 것은 이 셋이 짜고 친것이며, 창 제독의 군사조직이 남은 생존자를 마저 국경에서 죽여버리고, 사건을 조작한것. 곧이은 진졔가 미국에 의해 암살됐다는 거짓 선동과, 자국민을 노린 무차별적인 테러로 반미 감정이 극단적으로 올라갔으며, 결국 게임 본편의 중국의 EMP 공격을 계기로 미국과 중국은 결국 전면전에 돌입하고 만다. 코빅은 끈질길게 사건에 붙어 한나와 함께 이를 밝혀내고 커틀러를 죽이지만, 이미 전쟁은 일어났으며, 창 제독 측의 테러로 부상당한 진졔를 한나와 함께 보호하면서, 남중국해에서 주시중이던 미 제 7함대의 제독인 개리슨에게 탈출 지원을 요청한다. 탈출을 지원하기 위해 코빅이 있는 건물에 사복 차림으로 도착한 7함대 소속 미해병대 특수전사령부(MASOC) 소속 레이더스 부대원들이자 레커 일행인 툼스톤 분견대를 묘사하며 책은 끝난다. [1]
  1. 씁슬하게도 본편에서 보여주는 비정한 모습은 마지막까지 임무를 완수하력 발악하는 모습으로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