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가 컨플릭트/베가 연합 함대

상위 항목 : VEGA Conflict

목차

1 행성 베가 화물선

행성 내에서만 등장하는 함대들. 일정 주기로 자원 채굴 구역에서 출발하여 베가 기지에 도착하면 사라진다.

레벨평균 화물량
113,000
216,500
325,500
534,500
752,500
1078,500
13100,000
15173,000
17241,000
20361,000
23480,000
25657,000
27950,000

1.1 일반 화물선

헬륨-3이나 광물 자원을 드랍한다.

1.1.1 레벨 1

Cargo_1.png
진동 광선을 장착한 패스파인더 호위함 2기.

1.1.2 레벨 2

Cargo_2.png
진동 광선을 장착한 보이저 호위함 2기와 패스파인더 호위함 1기.

1.1.3 레벨 3

Cargo_3.png
진동 광선을 장착한 보이저 호위함 3기.

1.1.4 레벨 5

Cargo_5.png
진동 광선을 장착한 보이저 호위함 4기와 패스파인더 호위함 1기.

1.1.5 레벨 7

Cargo_7.png
초보자의 첫번째 난관 진동 광선을 장착한 보이저 호위함 3기와 패스파인더 호위함 1기, 가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롱보우 구축함 1기. 여기서 부터 수동 조작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1.1.6 레벨 10

Cargo_10.png
진동 광선을 장착한 보이저 호위함 2기와 패스파인터 호위함 1기, 가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롱보우 구축함 2기, 분산 미사일을 장착한 해리어 추적함 1기. 처음으로 6대를 모두 채운 적 함대다.

1.1.7 레벨 13

Cargo_13.png
레벨 10에 등장하는 해리어 추적함이 가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제네시스 순양함으로 바뀌었다. 패스파인더 호위함은 이 레벨부터 볼 수 없다.

1.1.8 레벨 15

Cargo_15.png
훌륭한 샌드백이었던 보이저도 이 레벨부터 사라졌다분산 미사일을 장착한 해리어 추적함 4기와 가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제네시스 순양함 2기. 사실 거슬리는 롱보우 구축함이 없어져서 조합만 맞추면 레벨에 비해 어렵지 않다.

1.1.9 레벨 17

Cargo_17.png
롱보우 재등장 앙대 가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제네시스 순양함 2기, 그리고 흔히 보이는 해리어 추적함과 롱보우 구축함이 각각 2기.

1.1.10 레벨 20

Cargo_20.png
제네시스 순양함 3기와 롱보우 구축함 2기와 더불어 처음으로 헥스 미사일을 장착한 랭커 전함이 등장한다. 초반 함대가 맞아주기엔 조금 많이아프니 주의.

1.1.11 레벨 23

Cargo_23.png
롱보우 구축함이 한 기 줄었지만 그 대신 랭커 전함이 들어왔다.

1.1.12 레벨 25

Cargo_25.png
선봉의 제네시스 순양함이 분열 광선을 장착한 엑소더스 순양함으로 바뀌었다. 맷집이 꽤 좋으므로 오토로 돌렸다가 이거 한 기 잡는다고 진형이 꼬여 불필요한 수리 시간이 발생할 수 있으니 조합을 잘 해보자.

1.1.13 레벨 27

Cargo_27.png
제네시스 순양함을 밀어내고 또 랭커 전함이 들어와 총 3대가 됐다. 마찬가지로 오토 돌렸다가 진형 꼬이기 쉽다. 27~33 행성/섹터 화물선단 설계도를 입수하기 위해서 자주 사냥당한다.

1.2 반물질 화물선

반물질을 드랍한다. 30분마다 스폰 되며 동레벨의 일반 화물선보다 강한 편이다.

레벨평균 화물량
20304,000
23425,000
25651,000
271,102,000
301,493,000

1.2.1 레벨 20

AM_20.png
아포칼리파 순양함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마이너 버전인 에제키엘 순양함과 마찬가지로 서로 똑같이 생긴 데스티니 순양함과 콜로니얼 호위함이 등장한다. 각각 고온 레이저와 헥스 미사일을 장착했는데 이 고온 레이저가 굉장히 흉악하다! 절대 초보자 함대가 받아낼 만한 화력이 아니니 무조건 에제키엘 순양함을 다굴 쳐야 한다. 양학하러 온 거면 상관없다 하지만 나머지는 별 존재감 없다는 것이 다행. 헥스가 안아파요

1.2.2 레벨 23

AM_23.png
레벨 20 강화 버전. 잔챙이들이 더 강해지고 단단해졌다.

1.2.3 레벨 25

AM_25.png
시스 구축함의 마이너 버전인 마울 구축함 2기가 데스티니 순양함과 콜로니얼 호위함 대신 등장한다. 가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했지만 당당하게 선봉에 있으니 그냥 잡으면 된다. 쉴드도 없다(...).

1.2.4 레벨 27

AM_27.png
마울 구축함 한 기가 또 생겼다. 마찬가지로 더 쉬워졌다.

1.2.5 레벨 30

AM_30.png
매우 어렵다. 짝퉁(...)이던 에제키엘 순양함과 더불어 진퉁아포칼리파 순양함이 등장한다! 비슷하게 생겨서 모르겠다면 사정거리가 더 긴 쪽이 아포칼리파 순양함이다. 콘도르 추적함의 마이너 카피인 벌쳐 추적함 1기와 드레드 전함의 마이너 카피인 레이스 전함이 1기 추가되었다. 헥스 미사일을 장비했으며 나머지는 모울 구축함과 그 상위 버전인 클레이모어 구축함이다. 앤 둘 다 짭퉁 모두 부스터를 장착해서 컨트롤이 잘 안 먹힐 수도 았으니 주의해야 한다. 차분히 추적함과 순양함을 먼저 처리하면 편하다. 이 정도 함대를 칠 플레이어라면 장비를 꽤 업그레이드 했을 것이므로 체력이 약한 전함이나 구축함은 공격을 허용하지 않고 빠르게 제거 할 수 있을 것이다.그냥 공격 하든 말든 순양함으로 밀어버리는데?

2 섹터 베가 화물선

모든 자원을 드랍한다. 각 태양계의 행성들에서 일정 주기로 네 함대, 총 스물 함대를 섹터로 워프시킨다. 섹터에 등장하는 베가 함대들의 공통사항으로, 등장한 후에는 웜홀을 향해 이동하며 들어가면 사라지고 파괴당한 베가 함대들은 잔해가 더 오래 남는다. 이 쯤 부터는 AI 보정 덕분에 레벨 차이가 아주 많이 나지 않는 이상 행성 화물선과는 달리 수동 컨트롤이 필요하다. 안 그러면 수리비가...

레벨평균 화물량
301,298,000
331,688,000
352,876,000
374,827,000
406,371,000
456,743,000
5010,000,000
5313,000,000
5515,000,000

2.1 레벨 30

함대 구성 자체는 행성에서 출몰하는 레벨 30 반물질 함대와 똑같다! 그저 서로의 위치가 좀 바뀌었을 뿐. 달려드는 순양함과 추적함을 뒷걸음치며 먼저 상대한 다음 후방의 전함과 구축함을 상대하면 된다.

2.2 레벨 33

2.3 레벨 35

2.4 레벨 37

구축함이 전부 사라지고 전함 세대와 추적함 한대, 순양함 두대로 이루어진 함대이다

2.5 레벨 40

2.6 레벨 45

고온 레이저를 쓰는 아포칼리파 순양함이 사라지고 하이드라 미사일을 쓰는 랩쳐 순양함으로 대체되고 HEX 미사일을 쓰던 토먼트 전함 3대중 2대가 고온 레이저를 사용하는 드레드 전함 2대로 대체되었다.

2.7 레벨 50

이 레벨부터 이름에 Elite가 추가되었다.

2.8 레벨 53

레벨 50과 진형은 동일하다. 스펙 상승이 이루어졌다. 콘도르 추적함의 장갑이 강화되고 랩처 순양함이 반물질 탄두 V를 장착하게 된다.

2.9 레벨 55

현존 최강의 VEGA 화물선 함대이자 익숙해지기만 하면 최고의 물주. 컨트롤 미스 한번에 눈 앞에 훤해지는 수리 시간... 콘도르 추적함이 또 다른 랩처 순양함으로 대체되었으며 전체적인 장갑 수준이 증가하였다. 또? 하지만 현재 자원을 가장 많이 드랍하는 화물선 함대이므로 그 만큼 도전가치는 있다. 실패의 댓가는 무한의 수리 시간

3 VSec

모든 자원을 드랍하지만 동레벨의 섹터 베가 화물선보다 적게 준다. VSec 출몰 및 관련 이벤트 도중 주로 웜홀에서 나타나지만 행성에서 섹터로 이동하는 식으로 스폰되거나 아예 행성 내의 자원 채취 구역에서 나오기도 한다. 한 함대에 언제나 6대 이상의 함선이 들어가 있으며 독특하거나 변형된 진형을 사용한다. 타 함대보다 청사진을 드랍할 확률이 높다. 이벤트로 인해 출몰하는 VSec 변종을 제외한 함대들은 플레이어에게 선공을 한다.

3.1 레벨 27

SICO 미사일을 단 코린티언 순양함 3대와 ECHO 광선을 단 이글 추적함 2대, AP 드라이버를 단 질 전함 2대가 나온다. 질 전함 수가 적은 탓에 아직까진 할 만하다. 아직까지는.

3.2 레벨 30

ECHO 광선을 장착한 이글 추적함 6기의 호위를 받는 AP 드라이버 질 전함 3대가 등장하는 배치로, 무려 9대의 함선 수로 Vsec 사냥을 나온 초보들에게 충격을 안겨준다. 그리고 순식간에 죽는다. 물론 Vsec 함대가 /위 함선들이 정품이 아닌 마이너 버전일 경우 속히 수정 바람

3.3 레벨 33

레벨 30과 진형은 동일하다. 스펙 상승이 이루어졌다.

3.4 레벨 35

레벨 33보다 강해졌다.

3.5 레벨 37

SICO 미사일을 장착한 코린티언 순양함 2대, ECHO 광선을 장착한 이글 추적함 2대, AP 드라이버를 장착한 랜스 구축함 4대가 등장한다. 질 전함이 없기 때문에 약간의 컨만 해주면 35보다 오히려 이쪽이 더 쉽다(...). 항모를 빨리 따라는 킥스아이의 배려

3.6 레벨 40

레벨 37과 진형은 동일하다. 스펙 상승이 이루어졌다

3.7 레벨 45

브섹 폭동 함대의 최고의 베스트셀러.... 점수는 9900점에 멍청한이글 추적함만 제거하면 더 멍청한 랜스 구축함을 순양함이나 추적함으로 방향을 돌리게 한뒤 뒤를 전함으로 쳐 버리면 간단하게 되기 때문이다.
드레드-라그 조합으로 50이상을 잡기전 중저렙 유저들이 가장 많이 찾는 함대로 리젠이 되었다하면 순식간에 달려들어 잡는다 이로 인해 웜홀안에 함대가 여러대가 몰려 서로 교통사고를 내는 주범이 되기도 한다;;

3.8 레벨 50

3.9 레벨 53

레벨 50과 진형은 동일하다. 스펙 상승이 이루어졌다.

3.10 레벨 55

현존 최강의 VSec. 더러운 AI 보정과 최상위 티어 장비들로 떡칠했다! 적은 수십대를 맞아야 흠집나는 기분이지만 플레이어 측은 한방 맞기만 하면 수리 시간이 뭉텅뭉텅 늘어만 간다(...).

4 일반 재료 함대

마크 업그레이드로 떡칠한 OME를 유발시키는 함선들로 이루어진 특수 함대로, 함대마다 상성이 적용되며 사냥 시 일정 확률로 무기나 코어, 부품 상자를 획득할 수 있다. 대신자원량은 베가 화물선보다 적으며, 설계도도 드랍하지 않는다. 으아니 차! 그보다 번역이 너무 괴악하다[1]

4.1 대포(Artillery)[2]

내가 대포라니
기본적인 구성은 순양함 1척+ 구축함 6척으로 구성된다.

4.1.1 레벨 10 저항세력

고온 레이저를 장비한 레벌레이션 순양함 마크 5 1척 +매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트라이던트 구축함 마크 5 6척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어 우회와 순양함 추뎀 탓에 좀제로 맞아주기에는 꽤 아프지만 그래봤자 FvF에선 호구인 구축함의 함급특성은 어디 안 가니 가볍게 학살하면 된다. 단, 발사체 무기의 최소 사거리가 없는 베가 함선 특유의 무기 밸런싱이 있으므로 닥돌했다간 그대로 갈려나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4.1.2 레벨 30 저항세력

행성내의 구성과 같으며, 구축함에 넷 격퇴포가 추가 무장으로 들어가는것 외에는 체력과 DPS등 세부 수치만 조정되었다.

4.1.3 레벨 37 베가

베가의 경우 ECHO광선을 장비한 아포칼리파 순양함 마크5 1척 +글라디우스 드라이버/ 넷 격퇴포를 장착한 시스 구축함 마크5 6척으로 구성되는데, 글라디우스 드라이버의 탄속이 엄청난데다 근접 격발 신관까지 추가로 딸리는 옵션이므로 고티어 추적함이나 쾌속정 같은 매우 빠른 미끼함이 필요하다.

4.1.4 레벨 53 VSec

VSec은 (장비 추가바람) 코린트 순양함 마크 5 1척 +글라디우스 드라이버/ 넷 격퇴포를 장착한 랜스 구축함 마크5 6척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시 순양함만 초반에 잘 제압하면 구축함 사냥은 쉬운편.

4.2 스카우트(Scout)

기본적인 구성은 순양함 1척+ 추적함 6척으로 구성된다.

4.2.1 레벨 13 저항세력

저항세력의 경우 분산 미사일을 장착한 나이트호크 추적함 마크 5 6척 +고온 레이저를 장비한 레벌레이션 순양함 마크 5 1척이 나온다. 근접 시에 분산 미사일이 꽤나 강력한 파괴력을 가지고 있지만, 화력 우선의 함대로 사냥한다면 샤프슈터와 마찬가지로 딱히 위협적이진 않다. 그 전에 공격 몇 대 맞으면 우수수 떨어져서 의미가 없다

4.2.2 레벨 23 저항세력

4.2.3 레벨 33 저항세력

4.2.4 레벨 50 VSec

4.3 침입자들(Raiders)[3]

기본적인 구성은 추적함 1척+ 순양함 6척으로 구성된다. 특이하게도 저항 세력이 가장 어려운 함대. 다른 침입자들은 에코 광선을 달고 나와서 데미지가 분산되는데 저항 세력은 고온 레이저가 워낙 AI빨을 잘 받는지라 한눈팔면 구축함이나 전함 하나가 사라진다.
순양함의 컨셉이 강력한 장갑이라는 특성화 답게 고티어로 갈수록 마구 쏴도 체력이 더럽게 안 다는 광경을 볼 수 있으니 슬슬 마크업된 구축함이나 고티어 전함을 부르는 게 정신 건강에 이롭다.

4.3.1 레벨 15 저항세력

저항세력의 경우 분산 미사일/하이드라 미사일을 섞어서 장착한 나이트호크 추적함 마크 5 1척 +고온 레이저를 장착한 레벌레이션 순양함 마크 5 6척으로 구성된다. 좀제로 잡을 경우 스펙트럼 방어막 4만 있으면 죽을 일은 없으나, 순양함의 종특은 어디 안가는지 잘 안죽기 때문에 랭커 전함을 부르는게 클리어에 더 효율적이다.

4.3.2 레벨 20 저항세력

같은 구성에 수치만 조정되어 있다.
특히하게도 20 레벨 구간에 침입자 함대만 둘이 존재한다. 20은 코어를 드랍하지 않지만 25는 코어 금고가 추가되는 형식.차라리 레벨 20은 대포로 하지

4.3.3 레벨 25 저항세력

래벨 20 침입자들에서 아주 조금 상향된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4.3.4 레벨 35 저항세력

4.3.5 레벨 40 베가

베가는 분산 미사일을 장착한 콘돌 추적함 마크 5 1척 +ECHO광선을 장착한 아포칼리파 순양함 마크 5 6척으로 구성된다. 이쯤 되면 매우 강력한 떡장을 자랑하기때문에 드레드 또는 질 전함을 2척이상 불러야할 정도.

4.4 바탈리언(Battalion)

기본적인 패턴은 추적함 1척+ 전함 6척으로 구성되며

4.4.1 레벨 17 저항세력

저항세력은 매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퓨리 전함 마크 5 6척 +분산 미사일/하이드라 미사일을 섞어서 장착한 나이트호크 추적함 마크 5 1척으로 구성된다. 좀제로도 잡을 수는 있지만 무기가 매스 드라이버 따위라도 무기슬롯 6개에서 쏟아져나오는 화력은 절대 겉치레가 아니니 그냥 랭커로 맞상대하자.

4.4.2 레벨 27 저항세력

4.4.3 레벨 45 베가

배가는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드레드 전함 마크 5 6척 +분산 미사일을 장착한 콘돌 추적함 마크 5 1척으로 구성된다. 글라디우스 드라이버의 탄속이 대포의 그것처럼 빠르지는 않기 때문에 콘돌만 시작 직후에 잘 잡아내고 평행 포격전을 이어가다 보면 어느새 전멸한 베가를 볼수 있을것이다.

4.4.4 레벨 55 VSec

4.5 헌터

4.5.1 레벨 65 아이언 스타

사거리가 좀 더 길어진, 파열 광선을 장비한 파이썬 쾌속정 5기와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장비한 비절랜티 전함 2기, 사거리가 길어진 레이더 중대를 장비한 프레이자 항공모함 구성으로 되어있다. 레벨이 높은 만큼, 역상성인 함대로 맞으면 수리시간이 폭주한다. 거기다 비절랜티의 글라디우스는 전탄 명중시 폭격기 중대를 삭제시키는 만큼, 각도 조절을 잘 해서 풀체력으로 밀어넣지 않는 이상 한 틱 남기고 살아남는다. 그리고 항공모함이 맞고 터진다.

5 몰려드는 시리즈 함대

VSec을 제외한 마크 4,5 및 알골 상점 업뎃 후 시간 한정 이벤트로 몰려드는 시리즈[4]가 추가되었는데 이 놈들은 해당 함종의 부품을 100% 확률로 드롭하는 대신 난이도가 매우 미쳤다 매우 높다. 다만 LXC는 패치 이후 하향 되었다고 주장하는 상황. 비슷한 레벨 대 함선에 비해 스펙이 올라 있는 데다가 사기항모가 추가로 등장하기 때문에 어지간하게 함대가 갖춰진게 아니라면 도전하지 않는 것을 추천. 그나마 스카우트나 고온 레이저의 폭딜을 버틴다는 가정 하에 침입자들은 각개격파가 쉽지만 대포나 바탈리언은 너무 느려서(...) 항모랑 대열을 잘 맞춰서 오기 때문에 함부로 도전했다간 지옥을 볼 수 있다. 몰려드는 항모 함대는 그럼 항모가 2대가 되나 6대라면 지옥을 맛볼수 있겠군

5.1 대포(Artillery)

몰려드는 대포의 경우 기본 구성에 요격기 중대를 장착한 각 진영별 항공모함 마크 5가 추가로 등장한다! 레벨보고 낚여서 닥돌하다 폭사하는 좀제와 랭커들이 눈에 선하다 제발 행성 내 함대만이라도 미드가르드로 해줘
기본 구성은 구축함 6척+순양함 1척+항공모함 1척이다.

5.1.1 레벨 15 저항세력

발할라 항공모함 마크 5 1척 +매스 드라이버/넷 격퇴포를 장착한 트라이던트 구축함 마크 5 6척 +고온 레이저를 장착한 레벌레이션 순양함 마크 5 1척으로 구성된다.
몰려드는 시리즈의 경우는 행성 내 함대도 넷 격퇴포를 달고 있어 초보들에겐 답이 안 나온다. 중반대 레벨쯤 되는 유저부터나 잡을만한 수준. 이럴거면 왜 굳이 행성 내 함대로 만든 건데

5.1.2 레벨 25 저항세력

위의 구성과 같으며, 체력과 DPS등 세부 수치만 조정되었다.

5.1.3 레벨 33 저항세력

마찬가지.

5.1.4 레벨 40 베가

라그나로크 항공모함 마크 5 1척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넷 격퇴포를 장착한 시스 구축함 마크 5 6척 +ECHO 광선을 장착한 아포칼리파 순양함 마크 5 1척으로 구성된다.
저항세력과는 다르게 더러운베가는 라그나로크가 구축함들에게 이속 버프를 주기 때문에 안그래도 깨기 어려운 구축함+항공모함 진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계속 달려오게 된다. 이때문에 체감상의 난이도는 40 이상이라고.

5.1.5 레벨 53 VSec

VSec은 발키리 항공모함 1척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넷 격퇴포를 장착한 랜스 구축함 마크 5 6척 +ECHO 광선을 장착한 떡장코린트 순양함 마크 5 1척으로 구성된다.
VSec은 정규 베가처럼 철벽 진형으로 플레이어들을 엿먹이지는 않지만, 이번에는 레벨이 높아서 각 함선들의 떡장(...)으로 승부한다. 미끼함이 주의를 끄는사이 딜러들이 처리를 해야하는데, 화력이 부족하다면 제시간에 처리를 못해서 돌아선 랜스 구축함에게 얻어맞는 상황도 나오게 된다.

5.1.6 레벨 60 아이언 스타 탈영병

5.2 스카우트(Scout)

몰려드는 스카우트는 엄청난 사거리[5]를 가진 폭격기 중대를 장착한 항모가 등장한다. 속도가 워낙 느린 탓에 항모와 보조를 잘 맞춰 각개격파하기 나빴던 구축함과 달리 그런 거 없는데다 항모 빠진 스카우트는 잉여잉여한지라 그나마 몰려드는 대포에 비하면 쉬운 편이다.
기본 구성은 추적함 6척+순양함 1척+항공모함 1척이다.

5.2.1 레벨 15 저항세력

5.2.2 레벨 25 저항세력

5.2.3 레벨 33 저항세력

5.2.4 레벨 40 베가

5.2.5 레벨 53 VSec

5.3 침입자들(Raiders)

기본 구성은 순양함 6척+추적함 1척+항공모함 1척이다.

5.3.1 레벨 15 저항세력

고온 레이저 장착 레벌레이션 순양함 6기+분산 미사일 장착 나이트호크 추적함 1기+발할라 항공모함 1기로 구성되어 있다. 사실 여기까지는 렙이 낮아서 별 문제가 안 되지만......

5.3.2 레벨 25 저항세력

5.3.3 레벨 25 베가

ECHO 광선 장착 아포칼리파 순양함 6기+분산 미사일 장착 콘돌 추적함+폭격기 중대 장착 라그나로크 항공모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그나로크 항공모함이 너무 느려서 이속버프 받은 아포칼리파 순양함을 따라잡질 못해서 잘만 유인하면 각개격파가 가능하다. 물론 순양함답게 꽤 튼튼한 편이긴 하지만 저항 세력처럼 고온 레이저 달고 다니는 것도 아니라서 아프지도 않다.
드랍 재료는 데스티니 순양함 마크 2~3 재료.

5.3.4 레벨 33 저항세력

5.3.5 레벨 40 베가

5.3.6 레벨 53 VSec

5.4 바탈리언(Battalion)

기본 구성은 전함 6척+추적함 1척+항공모함 1척이다.

5.4.1 레벨 15 저항세력

5.4.2 레벨 25 저항세력

5.4.3 레벨 33 저항세력

5.4.4 레벨 40 베가

5.4.5 레벨 53 VSec

5.5 헌터(Hunter)

사냥꾼이 아니라니
몰려드는 시리즈 이벤트 함대만 존재하는 쾌속정 함대. 저항군 쾌속정이 생겼지만 아직까진 몰려드는 시리즈가 업데이트가 안된 관계로 40 이상의 함대만 존재한다. 기본 구성은 쾌속정 5척+전함 2척+항공모함 1척이다.

5.5.1 레벨 40 베가

라그나로크 항공모함 마크 5 1척 +고온 레이저를 장착한 개리얼 쾌속정 마크5 5척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드레드 전함 마크5 2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리얼의 체력이 낮아서 처리하기가 쉽고,
드레드도 라그나로크의 필드 버프 덕분에 쾌속정, 전함, 항공모함의 속도가 제각각인 상태로 플레이어에게 달려들게 되므로 각개격파 하기에 안성맟춤인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5.5.2 레벨 53 VSec

VSec은 발키리 항공모함 1척 +파열 광선을 장착한코모도 쾌속정 마크5 5척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질 전함 마크5 2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레벨이 레벨인지라 체력이 높기때문에 왠만한 화력공세로 빨리 처리하지 않으면 역으로 털리기도 한다.
게다가 항공모함이 민첩필드를 지원하지 않는 발키리다 보니 후위의 질 전함 두척이 진형을 유지하며 오기때문에 코모도를 다 잡아놓고도 이것 때문에 골탕을 먹기도 하는 상황.

5.5.3 레벨 60 아이언 스타 탈영병

전부 마크 업된, 요격기 중대를 장비한 프레이자 항공모함 1기, 개틀링 광선+넷 격퇴포를 장비한 파이선 쾌속정 4기, 글라디우스를 장비한 비절랜티 2대, 글라디우스+넷 격퇴포를 장비한 마체테 2기로 이루어져 있다. 매우 딱딱하다.

5.6 커맨더(Commander)

몰려드는 시리즈 이벤트 함대만 존재하는 항공모함 함대. 아직까진 업데이트 내역의 로그로만 존재한다.

6 이벤트 베가 함대

오래된 이벤트 순으로 작성된다.
이벤트 베가 함대들은 유저들의 여러가지 꼼수(대표적으로 글라디우스 데스티니 마이크로)를 막기위해 일반 베가 화물선 또는 VSec과는 스텟이 다른 무기를 들고나오는경우가 있다.(글라디우스급 사정거리를 가진 시코미사일, 요격기 중대보다 사거리가 긴 전투비행대대 등)

6.1 교란 (Countermeasures)

6.1.1 VSec 원정대 (VSec Augment Fleet)

작성중

6.2 대치 (Face-off)

6.2.1 VSec 레귤레이터 (VSec Regulator)

선두에 ECHO 광선을 장착한 코린트 순양함 1척과 SICO미사일을 장착한 질 전함 2척, 그 뒤에 요격기 중대를 장착한 발키리 항공모함과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질 전함 2척이 포진한 구성. 제작진에서 유저들이 이벤트 함대를 부술때 항공모함의 함재기에 많이 의존하는걸 의식한 모양인지 질 전함이 비행중대를 녹여버릴만한 무장 구성으로 나온다. 덕분에 항모가 없는 유저는 피눈물이 나왔다

6.3 교화 (Reclamation)

6.3.1 VSec 파견대 함대 (VSec Detachment Fleet)

레벨에 상관없이 ECHO광선을 장비한 이글 추적함 4척, SICO미사일을 장착한 코린트 순양함 3척, 글라디우스를 장비한 랜스 구축함 2척과 요격기 중대를 갖춘 발키리 항공모함 1척이라는, 총 10척의 거대 함대를 보여준다.

6.3.2 VSec 포위 함대 (VSec Siege Fleet)

플레이어의 레벨에 크게 상관없이 항상 50레벨 고정으로 등장하며, 방어함대고 방어 매트릭스고 다 무시하고 플레이어들의 기지에 쳐들어오는 함대. 레벨은 다 같지만 체감 난이도가 다르게 티어가 나뉘어져있다.

  • 1티어: 콜로니얼 호위함 5척, 파열 광선 장착 코린트 순양함 5척
가장 쉽다고 할수있는 전형적인 개돌함대.
  • 2티어: 콜로니얼 호위함 2척, 파열 광선 장착 코린트 순양함 2척, 기뢰형 격퇴포 장착 질 전함 2척, 시즈 드라이버 장착 랜스 구축함 4척
조금더 상향된 난이도의 함대. 질이 기뢰를 뿌리고 랜스가 시즈 드라이버를 쏘면 전투모듈의 체력이 쉽게 깎여버린다.
  • 3티어: 콜로니얼 호위함 4척, 시즈 드라이버 장착 랜스 구축함 6
최종 난이도급 함대. 콜로니얼 호위함이야 금방 녹지만, 시즈 드라이버를 장비한 랜스 4척과 AP를 장비한 랜스는 무지 아프다! 워낙 어거지로 밀고 들어오기 때문에 어지간한 고랩들의 기지도 전투모듈 한두개는 내줘야 할 정도.그리고 이녀석들만 3연속으로 들어오면 기지 수리시간은 안드로메다로

6.4 출현 (Emergence)

6.4.1 VSec 예비대 (VSec Auxiliary Fleet)

선두에 ECHO 광선을 장비한 이글 추적함 1척과 SICO미사일을 장착한 코린트 순양함2척,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질 전함 2척, 전투비행대대를 장착한 라그나로크 항공모함이 나온다. 야비군예비대라는 설정때문인지 저항군에게 설계도가 털려 퇴역했다던 라그나로크가 재등장한다. 게다가 이벤트 출현 Vsec치곤 비교적 소규모의 함대이다.

6.5 복수(Revenge)

함대 이름은 교화와 같으나 구성과 난이도는 꽤나 달라졌다.

6.5.1 VSec 파견대

SICO 미사일을 장착한 코린티언 순양함이 앞장서며 그 바로 뒤에 SICO 미사일을 장착한 질 전함 2대와 ECHO 광선을 장비한 이글 추적함 3대가 2진을 형성하고 최후방에는 AP 드라이버를 장착한 질 전함 2대와 AP 드라이버를 장착한 랜스 구축함 2대가 위치해 있다. 배치가 앞에서부터 플레이어 함대를 감싸안는 형태인데다 질전함의 무기들이 무지하게 아프기때문에 매우 어렵다고 말이 많았었다. 특히나 11,000m의 사거리를 가진 전투 비행대대 등... 그런데도 킥스는 잠수함 패치로 난이도를 올렸었지
참고로 60레벨짜리 VSec이 처음 출현했으며, 함대의 레벨이 전부 5배수이고, 중간 난이도를 담당하는 레벨이 없다.(33, 37, 53등) 분명 사전에 공개한 점수표에는 등장했는데 말이다

6.5.2 VSec 포위 함대

교화때의 함대와 비슷한 구색이지만 어째서인지 무장은 훨씬 빈약하다.이딴 함대로 복수를 하겠다니, 가소롭구나 비숍:복수는 파견대로 하는겁니다 유저들은 그걸 몰라요[6] 함대 레벨은 기지 레벨에 맞춰서 온다.

  • 1티어: 레일 드라이버 장착 콜로니얼 호위함 5척, 파열 광선 장착 코린트 순양함 5척
가장 쉽다고 할수있는 전형적인 개돌함대.
  • 2티어: 레일 드라이버 장착 콜로니얼 호위함 2척, 파열 광선 장착 코린트 순양함 2척, 레일 드라이버 장착 질 전함 2척, 매스 드라이버 장착 랜스 구축함 4척
조금더 상향된 난이도의 함대...이지만 랜스가 시즈 드라이버 대신 매스 드라이버를 쏘며, 질이 기뢰대신 레일 드라이버 따위를 들고오기때문에 교화에 비해 훨씬 쉬운편.
  • 3티어: 레일 드라이버 장착 콜로니얼 호위함 4척, 매스 드라이버 장착 랜스 구축함 6척
최종 난이도급 함대라지만 이번에는 콜로니얼 호위함이야 금방 녹고, 랜스도 시즈를 쏘는게 아니다 보니 체감상 거의 아프지도 않다(...)

6.6 철수(Evacuation)

6.6.1 VSec VIP

장교들만 신나게 튀다니 역시 베가도 주적은 간부 괜찮아 유저들이 천벌을 내려주잖아
밀집 대형으로 ECHO 광선을 단 이글 추적함 1대와 AI 보정용 사거리 5,000m짜리[7] SICO 미사일을 단 코린티언 순양함 2대가 전방에,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단 질 전함 2대와 전투비행대대를 단 라그나로크 항공모함이 1대 있다. 신나게 깨져서 튀는거다 보니 병력이 적은 듯 하다.그리고 급할때마다 써먹히는 야비군 라그나로크 에코는 그렇다고 쳐도 나머지 무기들은 꽤 아프고 특히나 일반 전투 비행대대가 아닌 AI보정용 사거리 11,000m짜리라 엄청 아프고 딜로스도 심하다! 단 라그나로크가 터지면 나머지는 의외로 호구니 25파밍을 끝낸 초보(?)들이 제미니 드라이버 1티어를 따는 데는 문제 없는 난이도.[8]
참고로 이벤트 함대는 설정상 베가 중앙 처리시설에서 도망치는 간부들의 함대이므로 웜홀이 아닌 행성에서 출연한다.

6.7 전선(Warfront)

6.7.1 VSec 잔당

본격 장교 호위부대보다 잔당이 더 흉악한 VSec
잘자
맨 앞에 AI 보정을 받는 사거리 5,000m짜리 에코 광선을 단 코린트 순양함 2대, 그 뒤에 사거리 보정 150%를 받는 엄청난 사거리의 벡터 격퇴포를 단 이글 추적함 2척과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단 질 전함 2척이 있고 맨 뒤에 이제 안 나오면 섭한 사거리 11,000m짜리 전투비행대대 장착 라그나로크 항공모함 1척이 존재한다. 복수 이벤트 때처럼 끌어안는 형태의 진형인데다가 벡터 격퇴포와 전투비행대대의 화력이 흉악하다. 게다가 KIXEYE의 주작 덕분에전함급 사거리를 가지게 된 벡터 격퇴포 역시 무시 못할 요소.
설정상 털리고 남은 잔당이므로 철수 때와 마찬가지로 행성에서 나온다. 그리고 잡는사람이 적어서 대부분 웜홀로 도망갔다

6.8 반발(Backlash)

6.8.1 VSec 탈환 함대

복수 때의 VSec 파견대를 Ctrl+C+V한 구성으로 등장하지만, 매우 흉악한 건 변함 없다. 그리고 거지같은 젠률도 변함이 없다 아무래도 파견대랑 포위 함대는 별도의 형식으로 자리잡은듯 하다. 당연하지 이벤때마다 진영 새로 짜기 귀찮으니까

6.8.2 VSec 포위 함대

복수때랑 똑같은 성능호구력과 무장을 보여준다.

  • 1티어: 레일 드라이버 장착 콜로니얼 호위함 5척, 파열 광선 장착 코린트 순양함 5척
가장 쉽다고 할수있는 전형적인 개돌함대.
  • 2티어: 레일 드라이버 장착 콜로니얼 호위함 2척, 파열 광선 장착 코린트 순양함 2척, 레일 드라이버 장착 질 전함 2척, 매스 드라이버 장착 랜스 구축함 4척
조금더 상향된 난이도의 함대.
  • 3티어: 레일 드라이버 장착 콜로니얼 호위함 4척, 매스 드라이버 장착 랜스 구축함 6척
최종 난이도급 함대라지만 이번에도 매스 드라이버라(...)

단 난이도 공통으로 코린티언은 주의. 포탑이나 기타 시설에 접근을 허용하면 순삭시켜버리는 괴랄한 화력을 자랑한다.

6.9 섀도 스트라이크(Shadow strike)

6.9.1 VSec 섀도

철수 때 구성 복붙이지만 좀 더 강력흉악하다. 철수 때의 잉여로운 진영이라지만 선두의 이글 추적함[9]과 코린트 순양함에게 사거리 125%로 추정되는 버프가 주어져 기존의 사냥 방식에 익숙하던 고랩들은 당황했다는 후문이 있다.

6.10 음모(Conspiracy)

이벤트 최초로 아이언 스타 컴퍼니 함대가 적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설정상으로는 붉은 호박에 홀린 아이언 스타 컴퍼니 함대가 공격을 오기 때문에 웜홀에서 나오는 게 정상이나 어째서인지 행성에서 나온다.

6.10.1 아이언 스타 컨스피레이터[10]

역 쐐기 진형으로, 임펄스 레이저 장착 허리케인 추적함과 에코 광선 장착 헤러틱 순양함2대를 선두로 글라디우스 드라이버 장착 비절랜티 전함 2대와 레이더 중대 장착 프레이자 항공모함이 뒤를 따른다. 여담으로 허리케인은 뭔가 해 보기도 전에 증발하고 헤러틱은떡장인 대신 딜이 형편없으며 프레이자의 레이더 중대는 가뜩이나 사거리가 엄청짧은데[11] 사거리 보정 같은 것도 다행히도 없다 보니 비슷한 구성의 VSec 섀도보다 여러모로 허접하다. 그나마 비절랜티는 글라디우스의 높은 명중률과 빠른 회전 속도, 그리고 고레벨 함대 한정으로 프레이자는 그럴리는 없겠지만 잘못 얻어걸리면 고티어 함선이 증발하기 때문에 빡침을 유발하지만 그뿐.

6.11 핏자국(Blood trial)

파일:Blood Trial.png
특이하게도 전 함선이 마크업 된 상태로 쳐들어온다.

6.11.1 VSec 침략자

에코 광선을 단 콘돌 추적함 1대와 파열 광선과 피뢰 레이저(!)를 단 스웜 쾌속정 호위함[12] 4대 앞, 개틀링 광선을 단 아포칼리파 순양함 2대와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드레드 전함 2대, 요격기 중대를 단 라그나로크 항공모함이 뒤에 위치한 10대의 거대 함대를 자랑한다. 데스티니 순양함의 경우 엔진에 무슨 마개조를 했는지 라그 버프 범위를 벗어나도 후방 추진기 4를 단 쾌속정을 따라잡는 괴악함을 자랑한다.
여담으로 최초로 63레벨과 65레벨 함대가 등장했다.

6.11.2 VSec 포위 함대

파열 광선을 단 데스티니 쾌속정 순양함 3대, 개틀링 광선을 단 아포칼리파 순양함 4대, 괴랄한 탄속의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단 시스 구축함 1대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하게도 시스 구축함이 앞에 있다. 시스와 데스티니의 딜이 괴랄한데다가 아포칼리파가 다수의 모듈을 치기 때문에 포위 함대에게 별을 따이는 유저들이 속출했다.

6.12 아이언 블러드 (Iron Blood)

6.13 제로 아워 (Zero Hour)

6.14 십자 포화 (Crossfire)

6.14.1 데몬 코어 사단

파일:십자포화.jpg
전방에는 에 스톰 드라이버를 장착한 바실리스크 쾌속정2대가 있고 후방에는 좌우에 베요네트 미사일을 장착한 비절랜티 전함이 중앙에는 스톰 드라이버를 장착한 콘버넌트 순양함과 카이팅 하기 쉬운레이더 중대를 장착한 프레이자 항공모함이 배치되어 있다. 스톰 드라이버를 피하기가 매우 어려운 데다가 딜도 무식하게 센데 쾌속정까지 떠서 손이 정교하지 못하면 피해가 심각해진다. 의외로 비절랜티는 아크 미사일에서 의미불명하게 개악된 베요네트 미사일의 탄도 때문에 그다지 위협적이지 않다.

6.14.2 데몬 코어 포위 함대

전방에는 중앙에는 스톰 드라이버를 장착한 바실리스크 쾌속정 2대나 스톰 드라이버를 장착한 코버넌트 순양함2대가 배치되었고 좌우에 파열 광선을 장착한 데스티니 순양함으로 고정되어있다. 그리고 후방의 함선은

  •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마체테 구축함 4대
  • 중앙에 베요네트 미사일을 장착한 비절랜티 전함 2대에 좌우에 마체테 구축함이 각각 1대씩
  • 스톰 드라이버를 장착한 코버넌트 순양함 4대

의 3종류 중 랜덤으로 정해진다.

6.15 초토화(Scorched earth)

6.15.1 데몬 코어 사단

십자포화와 구성이 똑같지만 딜이 미묘하게 하향되고 특히 함재기 AI가 바보가 되어버려[13] 난이도가 낮아졌다.

6.15.2 데몬 코어 포위 함대

구성이 조금 바뀌어 십자포화 때 나왔던 바실리스크 쾌속정은 더 이상 등장하지 않고, 대신 개틀링 광선을 장착한 토네이도 추적함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종합해 다음과 같은 패턴 중 하나가 선택되게 되었다.

  • 파열 광선을 장착한 데스티니 순양함 2대+개틀링 광선을 장착한 토네이도 추적함 2대/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장착한 마체테 구축함 2대+아처 레이저를 장착한 마체테 구축함 2대[14][15] 요약하면 호구
  • 파열 광선을 장착한 데스티니 순양함 2대+스톰 드라이버를 장착한 코버넌트 순양함 2대/유황 격퇴포를 장착한 헬파이어 전함 2대+아처 레이저를 장착한 마체테 구축함 2대
  • 파열 광선을 장착한 데스티니 순양함 2대+스톰 드라이버를 장착한 코버넌트 순양함 2대/스톰 드라이버를 장착한 코버넌트 순양함 4대

6.16 철수 (Incursion)

6.16.1 데몬 코어 하빙거

파일:데몬코어 하빙거.png
중앙에 요격기 중대를 장착한 라그나로크 항공모함 1대와 바로 양옆에 템페스트 드라이버와 NET 격퇴포를 장착한 바실리스크 쾌속정 2대
그리고 양쪽 끝에 리버브 광선을 장착한 코버넌트 순양함 2대와 유황 격퇴포,벡터 격퇴포 그리고 NET 격퇴포를 장착한 헬파이어 전함 2대 그리고 아처 레이저를 장착한 마체테 구축함 2대의 총 9척의 함대가 나온다. 라그나로크 항공모함의 함재기가 딜이 자비가 없는 수준이라 잡을때 제대로 요격하지 않으면 피해가 심각해진다.항모와 전함으로 구성된 함대라면 그냥 호구지만 물론 그 항모가 미가면 호구가 아니게 된다

6.16.2 데몬 코어 포위함대

저번이벤트와 그렇게 차이가나진 않는다.

6.16.3 미확인 신호[16]

450x300px
LXC가 이벤트함대가 바뀔수 있다고 말한시간인 이벤트 시작 2시간정도 후에 출현한 불안정한 웜홀에서 등장한 함대로 60~70레벨을 가진 함대이다. 섹터상에서는 녹색피라미드형태이고 전투 돌입시 방해전파로 함선의 사정거리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배치는 플레이어함대를 중심으로 삼각형의 대형을 이루고있으며 다행이도이들은 움직이지는않지만 최대사거리 1만 5천미터로 추정되는 함재기를 탑재하며 접근할시 거리에따라 다른 종류의 함재기 뿜어내듯이 사출한다. 게다가 이함재기들은 일직선으로 움직이지않고 우회해서 움직이기때문에[17]요격하기도 쉽지않다. 거기에 이놈들은 선공을 하기때문에 운이 없으면 강제로 이벤트를 쉬어야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딜도 상당해서 순양함 이외엔 딜을 버티지 못하고 녹아내린다.

6.17 탐색 및 파괴(Search&Destroy)

6.17.1 데몬 코어 파괴 함대

파일:데몬코어파괴함대.png
진형은 저번이벤트와 동일하나 코버넌트 순양함이 바실리스크 쾌속정의 위치로 이동했으며 원래 코버넌트 순양함이있던 자리에는 토네이도 추적함으로 바뀌로 마체테구축함이 다모클레스 구축함으로 바뀌면서 아이언 스타제함선들은 이벤트함대에서 사라지게되었다.
라그나로크 항공모함은 저번이벤트와 동일한 요격기중대를 장착하고있으며 코버넌트 순양함은 리버브광선을 장비하고 토네이도 추적함은 열구 격퇴포와 NET 격퇴포를 장착하며 헬파이어 전함은 벡터 격퇴포, 유황미사일, NET 격퇴포를 장착하며 마지막으로 다모클레스 구축함은 중성자드라이버를 장착하고있다.

6.17.2 데몬 코어 포위 함대

구죽함이 중성자드라이버를 장착한 다모클레스 구축함으로 바뀌게되어 그나마 약하던 후방구축함4대 조합도 더 강하게 바뀌었으며 공격하는 함대의 종류는

  • 전방양쪽에 각각 1대씩 파열광선을 장비한 데스티니 순양함과 중앙에는 열구 격퇴포와 NET 격퇴포를 장비한 토네이도 추적함 2대가있으며 후방에 중성자 드라이버를 장착한 다모클레스 구축함 4대조합
  • 전방양쪽에 각각 1대씩 파열광선을 장비한 데스티니 순양함과 중앙에는 열구 격퇴포와 NET 격퇴포를 장비한 토네이도 추적함 2대가있으며 후방에 스톰 드라이버를 장비한 코버넌트 순양함 4대조합
  • 전방양쪽에 각각 1대씩 파열광선을 장비한 데스티니 순양함과 중심에 스톰 드라이버를 장비한 코버넌트 순양함 2대와 좌우 양쪽에 각각 한대씩 중성자 드라이버를 장착한 다모클레스 구축함2대와 중앙에 벡터 격퇴포, 유황미사일, NET 격퇴포를 장착한 헬파이어 전함2대조합

의 3종류이다.어째 코버넌트빼고전부 파괴 함대의 복붙이다

6.17.3 미확인 신호

저번이벤트와 동일
  1. 사실 인터페이스 업데이트 이전까진 지극히 정상적인 번역이었다. 업데이트 이전의 번역은 별도 각주에 있다. 일단은 업데이트 이후 영문 버전에서도 명칭의 변동은 있었긴 했다. 그렇다 해도 어째서 업뎃을 했더니 번역이 오경화수월+강철미사일이 된 거냐 대답해라, 킥스아이! 대포가 아니라 포병대, 침입자들이 아니라 습격자들이라고 했으면 자연스러웠을것을
  2. 구 번역은 샤프슈터.
  3. 한글판 구 명칭은 스커미셔.
  4. 일반 화물선과 별도의 리젠타임을 가지며, 연분홍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일반 재료함대와는 다르게 항공모함이 따라붙는다.
  5. 라그나로크 항공모함의 지원범위인 11,000m보다도 긴 사거리라 측정 불능이다.
  6. 사실 게임 하다보면 헬륨은 함선 한두대 찍으면 순삭인 반면 광물은 렙이 오를수록 더 썩어나니 현명한 전략일지도.
  7. 물론 데스티니 마이크로 방지를 위해 제작진이 글라디우스와 동일 사거리인 4,750m까지는 보정을 했고 유저들도 적응했었지만, 이제는 한술 더 떠서 시즈 드라이버와 동급의 사거리가 되어버렸다!
  8. 스펙트럼 방어막 4가 있는 진동 좀제 1부대로 30 이하의 함대에 공격 걸고 잊어버리면 알아서 오토로 깨져있다. 33도 라그나로크 일점사 후(이글 추적함까지 깨고 죽는다.) 후속 함대로 몰아치면 클리어.
  9. 양심은 있는지 전함에 달린 ECHO 광선과는 사거리가 아주 약간 딸린다. 보정을 받는 대신 랜즈를 끼우지 않은듯.
  10. 저번 이벤트떄 처럼 아예 번역을 안하고 음독으로 처리했다.
  11. 정말 유저들이 사용하는 레이더 중대랑 똑같은 스펙을 보유해서 항공모함이 전함에게 짤짤이를 당하는 상황도 연출되었다.
  12. 생긴건 데스티니와 똑같다. 그런데 호위함 주제에 포각이 270도라 진짜 데스티니같다
  13. 원래는 항모 터져도 스크램블 시간이 끝날 때까지 계속 때렸지만 이번 이벤트부터는 항모가 터지면 항모가 있던 자리로 귀환한다.
  14. 무기 종류가 확실치 않다. 다른 종류의 레이저라면 수정바람.
  15. 렌즈 레벨이 낮은지 사거리가 짧다.
  16. 베가연합의 함대는 아니지만 편의상 해당항목에 서술한다
  17. 450x300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