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의 붉은 비

근육맨, 근육맨2세에 나오는 필살기.

ベルリンの赤い雨
일어로 읽으면 '베르린노아카이아메'. 일본 팬들 사이에선 줄여서 '베르아카'(ベル赤) 라고 종종 불리며 작중에서도 그렇게 칭하는 경우가 있다.

1 설명

브로켄jr, 제이드 두 사제의 필살기이지만 사용하기 편한 기술이라 그런가 다른 인물들도 잠시 쓸 때가 있다.


브로켄 가문에서 대대로 전해지는 기술이라는 설정. 기술명의 유래는 2차대전 베를린에 있던 대폭격으로 도시 전체가 피비가 내린 것처럼 이 기술을 맞은 초인의 피가 비처럼 내린다는 것에서.

기술은 단순한 손날 치기. 하지만 초인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상대가 베이며 손날 부분이 칼날로 변하는 연출이 있다. 브로켄은 주로 연타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칼날로 안변한다는 착각을 일부 팬들에게 불러일으키는데. 미스터 카멘전과 프리즘맨전 때 처럼 빠른 움직임을 표현한 경우를 제외하고 첫등장시나, 더 닌자전등에선 확실하게 손날부분에 칼날 모양이 있다. 작화력이 상승한 유데타마고가 다시그린 궁극의 초인태그편에선 칼날로 변하는것으로 보아 작가가 그리다 까먹지 않는 한은 변하는것이 맞는듯.

파일:Attachment/베를린의 붉은 비/eb.jpg
점프 40주년 기념으로 연재된 근육맨의 결혼전야 에피소드에서도 브로켄이 칼날로 변한 베르아카를 근육맨한테 날린다. 그런데 신 근육맨에선 손뼈가 다 부서진 상태에서 사용해서인지 다시 칼날이 사라진다(...)

2세에서 유데의 작화력이 대폭 상승하면서 제이드가 사용하는 버전은 손 부분이 칼날처럼 변하는 연출이 확실하게 부각된다. 또한, 불꽃이 타오르는 연출이 추가되었다. 초대에서 브로켄이 사용할 때는 주로 연타, 난무로 사용했지만 제이드는 이 기술을 한 번에 베어버리는 일격필살형 기술로 사용한다.

게임 등지에서도 브로켄은 불이 안 나가고, 제이드는 불이 나가는 식으로 묘사가 되었는데 궁극의 초인태그에서는 설정이 바뀌어서 브로켄의 베르아카도 제이드식 연출이 되었다.

사실 1부에선 필살기라고 하기에 약간 무리가 있는 기술인데 브로켄의 경우 이 기술을 주로 견제기로 사용했다. 덕분에 마땅한 피니셔라 부를만한 기술이 없었다. 2부에선 제이드가 필살기로 쓰지만 명중율이 낮다는 치명적 문제가 있다. 그러나 아직 성장중인 초인 이란 묘사가 있는 브로켄의 경우, 나중엔 일격 필살형으로 사용하는것으로 보아 일격필살이 완성형 일지도 모른다.

c0021563_50cb7a2bdcca2.png

왕위 쟁탈전 직후를 다룬 신 근육맨에서는 브로켄 주니어도 일격 필살형 기술로 사용하며 자신을 비웃은 완벽초인 크러셔맨을 확실하게 두동강 내서 승리한다.

2 궁극의 초인태그에서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브로켄jr가 시간초인과의 시합에서 오른팔이 잘려버리는 중상을 입어버리면서 그만 미래가 바뀌어져서 베를린의 붉은 비도 제이드에게 전수되지 못해버리게 역사가 변해버렸다.

하지만 그 와중에서도 베를린의 붉은 비를 대신할 기술을 개발했는데 그것이 브로켄의 귀환이다. 이것은 자신의 왼쪽 다리를 잡고 회전해서 다리를 같은 형태로 바꿔 상대를 베는 기술.

c0021563_50cb7e1051d7c.jpg
이것이 브로켄의 귀환(ブロッケンの帰還)이다.

하지만 나중에 완전무비의 구근의 힘으로 오른팔이 부활함으로써 베를린의 붉은비도 전수할 수 있게 되었다.

3 기타

기술명이 멋있고 근육맨에 나오는 모든 기술 중에서도 가장 따라하기 쉽고 안전한 기술최소 빨간 장갑을 끼면 된다이었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 따라한 사람도 많았고 평판도 좋다.

참고로 FC용 머슬 태그 매치에서는 베를린의 붉은 비 대신 입에서 독가스를 뿜는 '나치스 독가스 살법'이 들어가게 된다. 이건 브로켄맨이 쓰던 기술인데? 이 장풍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트라우마를 주었다... 여기에 그래픽 문제인지 입이 아니라 에서 발사한다(...)]그덕에 이 게임의 브로켄 Jr은 게임내에서 사기 캐릭터로 악명을 떨쳤다.

어쨌든 인기가 많아서 수많은 곳에서 패러디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