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 Catholic Church
가톨릭에서 분파된 그리스도교의 종파.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古,復古 가톨릭교회, 한국에서는 古, 復古 가톨릭교회(개신교에서는 舊가톨릭교회)라고 한다.
제1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가톨릭주의를 모토로 하는 종파이다.
그 기원은 1869년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 대한 반발에서 시작되었다. 비오 9세의 주도로 일어난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교황의 무류성과 수위권을 확립했으며 공의회가 교황권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공의회 중심주의와 교황권 제한론을 밀어냈다.
그러자 이에 대한 반발이 독일 등의 가톨릭 교회들에서 터져나왔다. 이들은 공의회가 단지 교황의 자문기관에 불과한 것이냐면서 교황무류성을 부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결국 이런 주장을 펼친 이들은 교황무류성이 결정되기 이전의 가톨릭교회 체제를 고수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871년에 이르러서는 독일의 본 대학교 신학과의 교수들이 교황무류성에 반발하여 시위와 항의를 일으켰고 이것이 독일 각지의 가톨릭 교회들로 퍼져나가면서 결국 독일 가톨릭 교회의 신학자들인 될링거, 프리드리히, 로이시, 슐테 등이 뮌헨에서 구 가톨릭교도 대회를 열고 독립 교단의 창설을 선언했다. 독일에서 고 가톨릭교회가 성립하자 이런 분위기는 유럽 각지로 퍼져나가 오스트리아, 프랑스, 스위스는 물론 교황청이 있는 이탈리아까지 고 가톨릭교회 독립교단이 생겨났다.
결국 1873년 유럽 각국의 고 가톨릭교회들은 교황청과 관련없이 독자적으로 주교를 옹립했고 1889년에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에서 각국의 고 가톨릭교회들이 모여 위트레흐트 연맹을 결성하고 위트레흐트 선언을 통해 교황청의 수위권을 부정함을 공식적으로 천명했다.
교리적으로 제1차 바티칸 공의회의 결정내용들을 인정하지 않는다. 즉 성모의 원죄없는 잉태(무염시태), 교황무류성, 교황수위권 등이 그것이며 사제의 독신제도도 부정한다. 가톨릭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에야 인정했던 자국어 미사도 일찌감치 인정한바 있다.
교회의 조직은 각 나라마다 국교회가 있고 이 국교회를 한 사람의 주교가 관할하며 전세계적으로는 각국 국교회의 주교들이 모인 주교회의가 연합체로서 존재한다. 주교회의가 최고 의결권을 가지고 있으며 성공회의 대표격인 캔터베리 대주교처럼 위트레흐트 대주교가 있으나 어디까지나 명예직에 불과하다.
고 가톨릭교회의 각각의 국교회들은 성직자와 평신도들이 공동으로 구성하는 교구회의가 모든 교회의 일들을 결정한다. 각 교회의 주임사제는 신자들이 선출한다는 독특한 면도 있다.
쉽게 요약하면 교회의 구조와 형태는 성공회와 유사한 측면이 있고, 교리적으로는 개신교 쪽에 좀 더 가까운 특징이 있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개신교의 각 교파들과 동방 정교회들이 가입되어 있는 세계교회협의회(WCC)에 가입된 정회원 교회이기도 하다. 1932년 이후에는 유사성을 지닌 성공회와 활발하게 교류협력을 하며 완전한 상통('서로의 주교가 상대 교단의 서품식에서 서로 안수하며 서로의 성직자를 교환하여 파송할 수 있음'의 의미)을 이루고 있다. 사실 고 가톨릭교회와 현 가톨릭교회 간 차이보다 고가톨릭교회와 성공회 간 차이가 적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