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등호

<, >, ≤, ≥ ><

1 개요

영국 수학자인 윌리엄 오트레드(William Oughtred ,1574~1660)가 처음으로 부등호 개념을 만들었으며, 그때는 <, >같은 부등호보단 [, ]같은 부등호를 만들었다. 참고로 오트레드는 원래 수학 교수는 아니였으나 그의 저서 《수학의 열쇠 Clavis Mathematicae》(1631)에서 산술과 대수를 논하여 수학 역사에 크게 공헌하였다. 개다가 이 책자부터 곱셈에 쓰이는 X라든지 ~ 같은 수학 기호도 처음 쓰였기에 수학 역사에 전설이 된 셈이다.

현대 개념의 <, > 부등호는 역시 같은 시대 영국 수학자이자 천문학자[1]인 토머스 해리엇(Thomas Harriot, 1560-1621)이 창안했다.

수와 식 물건 등의 양변이 같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를 뜻하며 주로 <, >, ≤, ≥ 라는 순서와 우월함과 왜소함 크고 작음을 비교하고 나타내는 기호를 뜻한다. ≤와 ≥는 원래 부등호와 등호(=)를 합쳐 만든 것으로 아랫줄이 두 줄이었지만, 현재는 한 줄짜리를 사용한다.

방정식에서 등호 대신 부등호가 들어간 것을 부등식이라고 한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 참조.

나무위키에서는 인용문을 쓸 때 사용되는 문법으로 "> 인용문" 이런 식으로 입력한다.
예술 작품의 제목을 쓸 때에도 사용된다. 본래 홑화살괄호를 써야 맞다.

한글 윈도우 기준으로 ㄷ + 한자에서 나오는 특수 기호 목록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2 종류

  • <: 왼쪽보다 오른쪽이 크다. 영어로는 'Less then ~'
  • \>: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다. 영어로는 'Greater then ~'
  • ≤: 왼쪽보다 오른쪽이 크거나 같다.
  • ≥: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거나 같다.
  • ≠: 등호슬래시를 그은 것으로 식이 성립되지 않을때 쓰지만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영어로는 'inequality'

3 여담

흔히 굵직한 떡밥을 논할때 자주 나오는 기호 중 하나이다.

인터넷에선 이런 부등호 놀이가 유행하는데, 일본 인터넷에서 출발했다는 설이 있으며 특히 A > 벽 > B, A < 벽 < B같은 부등호 놀이가 있다(..) 이것이 진화(?)하면 넘사벽이 된다.
예) 호랑이 < 사자 호랑이 > 사자, 남자 > 여자, 남자 < 여자 혹은 호랑이 < 벽 < 사자 사자 < 벽 < 호랑이
<<<<<<<<<<<<<<넘사벽<<<<<<<<<<<<원빈 그럼 원빈은 어떻게 되는거지
이모티콘에 쓰이는 경우가 있다. 감정이 격해졌을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 물론 애니메이션이나 일러스트에도 자주 나온다.

또한 부등호 중 '<'의 경우에는 대화창의 왼쪽에 자신의 닉네임이나 프로필 사진이 상대방한테 표시된다는 점을 이용해 자신이 그렇다는 것을 알려주는 용도로 현대 SNS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백수' 와도 같이 예시를 들 수 있다. 예시가 너무 슬프잖아

<퍽
  1. 지금은 수학자로서 더 유명하지만 태양 흑점을 단독으로 발견(다만 흑점 항목을 보면 발견자는 오래전부터 있었으며 무엇보다 중국만 해도 후한 시대,, 즉 1500년도 더 된 옛날에 흑점을 발견하고 연구한 기록이 있다!)하고 목성 위성을 연구한다든지 당시에 천문학자로도 유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