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사태

1 개요

2003년에 저준위 방사능 폐기장 유치문제를 놓고 벌어진 대규모 유혈사태

2 진행

부안군수가 지역발전이라는 명분으로 주민과 협의도 없이 독단적으로 방폐장 유치를 결정했는데, 이에 반발한 주민들이 거센 시위를 벌였다. 이를 막기 위해 인구 6만 명의 부안군에 무려 1만 명의 경찰이 배치되는 준전시상태가 벌어졌다. 어느 정도였나 하면 전경들이 이동할 때 최소 중대 단위로 뭉쳐다녀야 할 정도였다. 시위지역 부근 골목에 복병(...)이 깔려 있어 이동하는 전경들 측면이나 후미를 기습하는 일도 잦았다.

엄청난 반발에 겁을 집어먹은 부안군수는 산속의 절로 도피를 하고 경찰병력을 배치해서 주민을 막으려 했는데, 분노한 주민 수백명이 경찰의 봉쇄망을 뚫고 들어가 군수를 집단폭행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주민 45명이 구속되고 121명이 불구속 기소됐으며, 경찰과 주민 500여 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렇게 난리를 치면서 부안군의 방폐장 유치는 결국 없던 일이 되었다. 그런데 그후 경주시가 방폐장을 유치하면서 그 대가로 많은 이익을 얻게 되었고, 이에 부안사태가 다시금 조명을 받게 되었다. 결국 니가 잘못했네, 네가 잘못했네 하는 식으로 의견이 갈리면서 지역 분위기가 말이 아니게 되었다고...

3 이후

이 초유의 부안 사태는 행정학계에서 아주 유명한 사건이 되었다. 사전에 충분한 행정PR 없이 일방적인 행정을 추진하면 어떤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는지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로 지목되고 있다. 만약 부안군수가 사전에 충분히 PR을 했더라면 주민을 설득할 기회도 있었을 것이고, 설령 설득하는데 실패했다고 해도 이후 경주시의 유치 성공을 통해서 교훈을 얻기 쉬웠을 것이다. 그러나 주민을 무시한 독단적 결정과 여러 가지 오해가 중첩되면서 사태가 일어났기 때문에 10년이 지난 지금도 뒷맛이 영 개운치 않게 되었다. 부안 사태에 대해 물어보면 주민들은 아직도 손사래를 친다고 한다...
그런데 당시 부안군수는 2014년 6월 전국 동시 지방 선거를 통해 군수직에 복귀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시위를 주도한 환경단체는 지방선거에 나섰다가 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