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장애인에 대비되어 정상인[1], 일반인등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을 통칭하는 표현. 일단은 정치적 올바름 개념이 적용된 단어라 할 수 있다.
국어사전에 공식적으로 등재되지는 않았으나, 국립국어원측에서도
'장애인'은 신체에 장애가 있거나 정신에 결함이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인데, 장애가 없다는 면에서는 '정상인'이 이 말의 반대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정상인'을 '장애인'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쓸 경우에는 '장애인'에 관한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고, 사회적으로 장애인을 배려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정상인'보다는 '비장애인'이라는 말을 쓰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비장애인'은 비록 사전에는 올라 있지 않은 말이나 충분히 만들어 쓰일 수 있는 말이므로, 조어법상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라는 견해를 내 놓고 있는 만큼, 틀린 표현은 아니다. 장애우라는 표현에 비하면 장애인측에서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공인어라고 봐도 무방한 수준. 방송 3사 및 주요 일간지 모두에서도 사용하고 있고, 그 빈도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확실하게 정하지는 않았지만 일단 위키에서 장애인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분야에 한정해서 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일반인/정상인)은 이 표현으로 쓰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2]
2 '비장애인'의 역사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로는 1988년 창간한 한겨레에서 사용되었으며 20세기까지는 주로 진보언론인 한겨레, 경향신문정도에서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다. 장애자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던 1980년대에는 비장애자라는 용어도 사용하기도 했었다.(비장애자라는 용어가 실려있는 신문기사내용)
21세기 이후에 해당 표현이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2000년에는 동아일보, 2003년에 YTN/SBS, 2006년 MBC, 2011년부터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KBS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즉, 표현을 사용하는 곳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또한 네이버 전문정보 기준 약 2600건의 논문이 기록 되어 있을 정도로 사회복지학, 특수교육학, 수화학, 기타 장애인 관련 학문에서는 공인표현으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을 무차별적으로 '비장애인'으로 칭하는 것은 일반인 혹은 정상인 범주에도 나와있지만 되려 역차별적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보통 장애인 관련 기사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물론 좀 더 과격한 사람들도 있긴 하지만, 어느 집단 표본이든 튀는 사람은 있는 법이기도 하고, 특히나 장애인들중에는 정신장애쪽 혹은 사회에서 소외/차별 받고 있는것에 스트레스가 심한 사람들도 은근히 있기 때문에 이런것에 민감한 사람이 있는것도 이해를 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장애인들은 장애 이외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정상인, 일반인에 대한 표현에 민감하지 않은데, 장애인 이외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정상인/일반인의 범주에는 장애인도 포함되기 때문이다.[3]
3 사용되는 이유
1980년대까지 계속 쓰였던 장애자라는 표현을 바꾸려는 노력에 대한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장애자라는 표현에 대해서는 1980년대까지는 장애인 자체에 대한 멸시적인 표현을 바꾸기 위한 노력이라면 1990년대 이후 정상인, 일반인을 비장애인으로 바꾸려는 노력은 장애인에 대비되는 표현의 변경을 통해 장애인이라는 단어의 위상을 제고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을 정상인이라고 칭한다면 장애인이라는 단어는 '비정상인' 으로 간주되며, 마찬가지로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을 일반인으로 칭한다면 장애인이라는 단어는 '비일반인'이 된다. 기타 다른 표현이라 하더라도 다수자인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을 기준으로 만드는 표현은 결과적으로 소수자를 지칭하는 '장애인'에 대비되어 부정적인 효과를 낳기 때문에, 반대로 소수자인 장애인을 기준으로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을 지칭하는 표현인 '비장애인'이 탄생 한 것이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