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제 명칭

1 개요

무협소설에서 주로 등장하는 같은 동문의 사람들을 부를때의 명칭에 대해서 기술한다.

기본적으로 각 명칭은 사(師)+가족 명칭으로 되어 있다. 이는 스승을 곧 아버지와 동일시하며 동문은 곧 형제이며 나아가선 한 동문이 한 가문과 동일시되기 때문이다.

서열을 따지는 중요한 건 입문시기와 스승의 배분이다. 아무리 나이가 많다고 해도 입문시기가 늦으면 막내취급 받으면서 자기보다 나이어린 사람들을 윗사람으로 모셔야하며[1] 어리더라도 은거한 노고수의 말년에 제자로 들어갔으면 그 노고수가 이전에 키운 중년 제자와 똑같은 배분이다.

2 예시

2.1 일반적인 경우

보통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은 아래와 같다.

  • 사부(師父) : 말 그대로 스승을 가리킨다.
  • 사모(師母) : 스승의 아내를 가리킨다. 여자 스승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 사부(師夫) : 여자 스승의 남편.
  • 사형(師兄) : 같은 사부를 모시는 제자 중 자신보다 입문시기가 빠른 남자를 일컫는다. 사형 중 가장 위의 사형은 따로 '대사형'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
  • 사저(師姐) : 같은 사부를 모시는 제자 중 자신보다 입문시기가 빠른 여자를 일컫는다. 사형과 거의 동일. 동의어로는 사자(師姉)가 있는데 보통 사자는 부르는 사람이 여자일때 주로 쓴다.
  • 사제(師弟) : 같은 사부를 모시는 제자 중 자신보다 입문시기가 늦은 남자를 일컫는다.
  • 사매(師妹) : 같은 사부를 모시는 제자 중 자신보다 입문시기가 늦은 여자를 일컫는다.
  • 사백(師伯) : 사부의 사형을 일컫는 말.
  • 사숙(師叔) : 사부의 사제를 일컫는 말.
  • 사고(師姑) : 사부의 사매/사저를 일컫는 말.
  • 사조(師祖) : 사부의 사부를 일컫는 말. 큰 문파에서는 장문인의 사부쯤 되는 위대한 인물에게만 사조라는 명칭을 붙인다. 사조참치
  • 사손(師孫) : 제자의 제자를 일컫는 말.

2.2 응용

사숙조(師叔祖)나 사백조(師伯祖) 같은 것은 우리가 할아버지의 형을 '큰 할아버지'라고 부르는 것 처럼 적당히 응용해서 만들어진다.

  • 대사부(大師父), 태사부(太師父) : 사부의 사부가 되는 인물. 사조와는 성격이 약간 다르다.
보통 작은 문파에서는 사부가 1인이나 소수지만, 큰 문파의 경우 특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자신이 막 입문해서 배정된 사부도 해당 문파의 제자중 일인이므로 당연히 사부의 사부가 있으며 그 수도 많다. 이런 경우에는 대사부라고 부르지만, 보통은 문파의 직책으로 부르는 경향이 많은데, 대사부에 해당되는 인물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이런 인물중 문파를 대표하거나 그에 준한 인물은 태사부란 명칭을 붙이기도 한다.
  • O대제자(O代弟子) : 제자가 많을 경우에 입문시기와 실력등등을 따져서 붙이는 명칭. O에는 보통 숫자를 넣어서 1대제자, 2대제자 하는 식으로 만든다. 보통 숫자가 적을수록 높은 위치를 가진 제자다.
큰 문파에 따라서는 앞서 설명한 대사부처럼 스승이 난립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서 스승을 장문인이나 그 이상의 지위를 가진 사람으로 한정하고, 나머지는 다 제자로 호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자간의 구별이 필요해지므로 이런 구분법을 만든 것이다.
이럴 경우에는 막 입문한 사람을 이미 있는 제자들이 교육하더라도 그들이 스승취급을 받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조교로 보는 것이며, 매우 중요한 가르침의 경우에는 날을 잡아서 장문인들이 제자들을 다 모아놓고 가르치는 것으로 정하는 경우가 많다.
  • 대제자(大弟子) : 제자중에서 가장 위치가 높은 제자를 말한다. 대사형과 비슷하지만 약간 뜻이 다르다.
보통 대제자는 제자중에서 향후 문파를 이끌 장문인이 되거나 그에 준한 위치까지 올라가기로 결정된 제자를 말하며, 당연하게도 실력과 인망등에서 모두 최고점을 받은 사람이 선정된다. 따라서 차기 장문인 정도의 위치라고 보면 된다.
위상에 걸맞게 다른 제자들을 직접 가르치며 어느 정도의 명령권도 가지는 등 사실상 선임조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 속가제자(俗家弟子) : 문파의 본산이 아닌 다른 곳에 자리를 잡고 해당 문파의 무공을 수련하는 사람을 모두 통칭하는 말이다. 원래는 문파 특성상 무공을 익히려면 반드시 출가해야 하는 소림사나 아미파등의 문파에서 사용하던 단어지만, 이젠 구파일방쯤 되면 반드시 속가제자가 있는 등 클리세화된 명칭이다.
보통 문파의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번영한 기간이 길수록 문파의 본산에서 교육을 받고 독립하여 타 지역에서 무술도장등을 열고 따로 제자를 받는 일이 흔한데, 이런 경로를 통해 문파에 입문하거나 현지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모두 지칭하는 것이 바로 속가제자다.
속가제자의 경우 위상이나 권한이 문파마다 다른데, 보통 문파의 본산을 이어받을 수 없으며, 문파의 무공중 절정무공을 전수받지 못하는 등의 제약조건이 붙고, 문파 본산의 직계제자보다 등급이 낮아지는 등의 차별대우가 있지만, 거주하는 지역에서 해당 문파의 대표임을 인정받으며, 중요 안건이 있으면 참석할 수 있는 등의 권한도 주어지고, 문파의 위상을 측정하는 바로미터[2]가 되므로 홀대할 수는 없는 등의 설정도 있다.
  1. 군대에서 선임이 자기보다 나이가 어리더라도 선임인 것처럼
  2. 잣대, 지표, 척도와 같은 말. 이런건 좀 주석을 붙여놔야 될거 아니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