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엑시노스/통신 모뎀 솔루션

1 개요

삼성전자에서 설계한 SoC를 포함한 모바일 프로세서 브랜드인 삼성 엑시노스 시리즈의 통신 모뎀 솔루션 목록.

외부 제조사에도 공급을 간간히하는 모바일 AP와는 다르게 삼성전자 무선 사업부에만 공급되어 사실상 자체 소비만 이루어지고 있다.[1]

2 상세

2.1 3세대 이동통신

2016년 기준으로 흔적도 찾을 수 없다.(...) 다만, 남아있는 언론보도 자료 등을 통해 당시에도 꾸준히 개발 및 생산이 이루어 졌다고 알음 알음 파악될 뿐이다.

대표적으로 2004년도에 삼성전자에서 개발된 3G TD-SCDMA와 2G GSM을 동시에 지원하는 통신 모뎀 솔루션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TD-SCDMA 문서 참조.

2.2 4세대 이동통신

2.2.1 CMC220

4G LTE-FDD Cat.3 지원. 그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지원하지 않으며 최대 다운로드 속도 100 Mbps를 지원한다.

LTE를 지원하는 최초의 삼성전자 모뎀이다. LTE 데이터 통신만 지원하지만, 버라이즌 와이어리스스프린트 코퍼레이션이 일찌감치 LTE 서비스를 시행했기 때문에 삼성전자가 이 시기에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혹은 스프린트 코퍼레이션을 통해 출시한 일부 스마트폰에 탑재되었다.

2.2.2 CMC221S

4G LTE-FDD Cat.3, Release 9 규격의 HSPA+를 포함한 3G WCDMA, 2G GSM 지원. VoLTE를 포함한 음성통신을 지원하며 최대 다운로드 속도 100 Mbps를 지원한다.

퀄컴 고비 MDM9215과 비슷한 사양을 가진 삼성전자의 통신 모뎀이다. 다만, 퀄컴 고비 MDM9200와는 달리 LTE-TDDTD-SCDMA를 지원하지 않는다.

한국 내수용 갤럭시 S III LTE가 사용했다.

2.2.3 CMC221D

4G LTE-FDD Cat.3, Release 9 규격의 HSPA+를 포함한 3G WCDMA, 2G GSMCDMA 계열 이동통신 네트워크 지원. VoLTE를 포함한 음성통신을 지원하며 최대 다운로드 속도 100 Mbps를 지원한다.

퀄컴 고비 MDM9615과 비슷한 사양을 가진 삼성전자의 통신 모뎀이다. 다만, 퀄컴 고비 MDM9600와는 달리 LTE-TDDTD-SCDMA를 지원하지 않는다.

한국 내수용 갤럭시 그랜드 LTE와 갤럭시 팝이 사용했다.

2.2.4 SHANNON222

4G LTE-FDD Cat.4, Release 9 규격의 HSPA+를 포함한 3G WCDMA, 2G GSMCDMA 계열 이동통신 네트워크 지원. VoLTE를 포함한 음성통신을 지원하며 최대 다운로드 속도 150 Mbps를 지원한다.

퀄컴 고비 MDM9615와 같이 사용되었던 통신 모뎀이다. 다만, 이 때는 Cat.3까지만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었으나, 100 Mbps를 돌파하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고, SHANNON222 AP의 통신 사양이 Cat.4까지였기에 실제로는 Cat.4를 만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내수용 갤럭시 S4 LTE SHV-E300S/K, 갤럭시 S4 Zoom, 한국 내수용 갤럭시 그랜드 LTE 리뉴얼 SHV-E275[2]이 사용했다. 이외에도 통신 모뎀 원칩 AP로도 만들어지는 등 여러모로 많이 사용되었다.

2.2.5 엑시노스 모뎀 300 시리즈

2.2.5.1 엑시노스 모뎀 300

4G LTE-FDD/TDD Cat.4 및 2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Release - 규격의 HSPA+를 포함한 3G WCDMA & TD-SCDMA, 2G GSM 지원. VoLTE를 포함한 음성통신을 지원하며 최대 다운로드 속도 150 Mbps를 지원한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는 최초의 삼성전자 모뎀이다. 본래 명칭은 SHANNON300이었으나, 엑시노스 모뎀 300으로 리네이밍되었다.[3]

갤럭시 K zoom이 사용한다. 갤럭시 K zoom의 한국 내수용인 갤럭시 줌 2역시 사용한다.

2.2.5.2 엑시노스 모뎀 303

4G LTE-FDD/TDD Cat.6 및 2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Release - 규격의 HSPA+를 포함한 3G WCDMA & TD-SCDMA, 2G GSM 지원. VoLTE를 포함한 음성통신을 지원하며 최대 다운로드 속도 300 Mbps를 지원한다.

통신 모뎀 업계의 투 톱이라 할 수 있는 퀄컴 고비 MDM9x35와 인텔 XMM7260과 동급인 LTE Cat.6 지원의 최초의 삼성전자 모뎀이다.

갤럭시 알파갤럭시 노트4LTE Cat.6 모델 중 일부가 사용한다. 또한, 삼성전자 모뎀으로는 최초로 글로벌 기기에 탑재된다.[4]

2.2.5.3 엑시노스 모뎀 333

4G LTE-FDD/TDD Cat.10 및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Release - 규격의 HSPA+를 포함한 3G WCDMA & TD-SCDMA, 2G GSM 지원. VoLTE를 포함한 음성통신을 지원하며 최대 다운로드 속도 450 Mbps를 지원한다.

전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지원 통신 모뎀이다. 발표 시기는 동급 모뎀인 퀄컴 고비 MDM9x45와 인텔 XMM7360이 조금 더 빠르지만, 실제로 기기에 탑재되는 것은 이쪽이 더 빠르게 되었다. 또한, 해당 통신 모뎀 솔루션과 인텔 XMM7360이 퀄컴 고비 MDM9x45와 거의 동 시기에 공개되면서 삼성전자가 2015년에 통신 문제로 퀄컴 스냅드래곤강제되는 경우는 사실상 사라졌다. 게다가 실제 상용화시기도 인텔 XMM7360과 퀄컴 고비 MDM9x45보다 더 빠르게 이루어졌다.[5]

갤럭시 노트4LTE Cat.9 모델과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LTE Cat.9 모델 중 일부, 갤럭시 S6 Active, 갤럭시 노트5LTE Cat.9 모델 중 일부, 갤럭시 S6 엣지+LTE Cat.10 모델 중 일부가 사용한다.

기존에는 4G LTE Cat.9까지 지원한다고 알려졌으나, 갤럭시 S6 엣지+의 박스 패키징에 4G LTE Cat.10을 지원한다고 적혀있어 궁금증을 자아냈고, 삼성전자 반도체 공식 사이트가 리뉴얼되면서 4G LTE Cat.10을 지원하는 것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동일한 통신 모뎀 솔루션을 탑재한 갤럭시 노트4LTE Cat.9 모델과 갤럭시 S6 & 갤럭시 S6 엣지LTE Cat.9 모델, 갤럭시 S6 Active도 추후 4G LTE Cat.10을 지원할 지는 불명이며 2015년 8월 28일 기준으로 추후 4G LTE Cat.10을 지원하는 기기는 갤럭시 S6 엣지+LTE Cat.10 모델 뿐인 상황이다.[6]

2.2.5.4 엑시노스 모뎀 335

4G LTE-FDD/TDD 다운로드 Cat.12 & 업로드 Cat.13 및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Release 10 규격의 HSPA+를 포함한 3G WCDMA & TD-SCDMA, 2G GSM 지원. VoLTE를 포함한 음성통신을 지원하며 최대 다운로드 속도 600Mbps를 지원한다.

퀄컴 스냅드래곤 X12 LTE 모뎀과 동급 모뎀으로, 엑시노스 8890에 내장된 통신 모뎀 솔루션이다. 기존에는 명칭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갤럭시 S7커널 소스에서 확인되었다.

3 문제점

삼성전자의 통신 모뎀 솔루션의 경우, 이 우물만 계속 판 퀄컴통신 모뎀 솔루션보다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그러나, 성능 부분에서는 퀄컴을 동급 수준까지 따라잡고 있고, 안정성 부분은 경험이 계속 쌓일 수록 개선되고 있기에 이 또한 큰 문제는 일어나지 않고 있다. 애초에 퀄컴 최신 모뎀대로 속도를 제대로 내주는 이통사가 없다

3.1 보안 문제

2015년 11월, 엑시노스 모뎀 시리즈를 통해 스누핑 공격이 가능하다는 결함이 보고되었다. 엑시노스 모뎀 시리즈 전체에 해당되는 문제로 스누핑 공격을 통해 통화 기록 뿐만이 아니라 통화 녹음, 메신저 내용, 로그인 정보 등을 탈취할 수 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2016년 4월 기준으로도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삼성 엑시노스 문서의 754판, 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엑시노스&action=history 이전 역사 보러 가기
  1. 일단 공식 사이트에서는 통신 모뎀 솔루션역시 하나의 상품으로 다루고 있기에 외부 판매를 생각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실질적으론 자체 소비만 하고 있기 때문에 애초에 자체 소비 목적으로 개발 및 생산하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있다.
  2. CMC221D의 단종으로 인해 나머지 물량은 갤럭시 그랜드 LTE SHV-E270L과 갤럭시 팝이 사용하고 갤럭시 그랜드 LTE SHV-E270S/K가 리뉴얼되었다.
  3. 기존 모뎀은 싸그리 '엑시노스 모뎀'이 되었다.
  4. 지금까지의 삼성전자 모뎀의 경우, 미국 버라이즌LTE 지원 때문에 사용될 뿐 웬만해서는 한국 내수용들이 사용했다. 엑시노스 모뎀 300부터 타 회사 모뎀과 섞어쓰더니 이번에는 비중이 확 커졌다.
  5. 단, 이들은 처음부터 4G LTE Cat.10을 지원한 상태였다. 삼성 엑시노스 모뎀 333의 경우, 처음에는 4G LTE Cat.9를 지원한다고 알려진 상황이었고 4G LTE Cat.9 상태에서의 경쟁 동급 모뎀은 퀄컴 스냅드래곤 X10 LTE 모뎀이다. 그래도 얘보다도 상용화는 빨랐다
  6. 참고로, 4G LTE Cat.9와 4G LTE Cat.10의 차이는 최대 업로드 속도이다. 4G LTE Cat.9는 최대 50 Mbps까지만 가능하고 4G LTE Cat.10은 최대 100 Mbps까지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사가 업로드 대역에서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해야 가능하다. 최대 다운로드 속도는 두 규격 모두 450 Mbps로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