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42년 윤동주가 지은 시.[1] '육첩방'으로 상징되는 일본 유학 생활 가운데 자아성찰을 통한 암울한 현실의 극복 의지를 드러낸 시이다.
2 내용
창(窓) 밖에 밤비가 속살거려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한 줄 시(詩)를 적어 볼까.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보내 주신 학비 봉투(學費封套)를 받어대학(大學) 노트를 끼고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講義) 들으러 간다.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를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여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창(窓) 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握手).
3 트리비아
- 윤동주의 마지막 시이기도 하다. 이 시를 쓰고 한 달 뒤에 윤동주는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어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복역하다 옥사한다.
- 2017학년도 6월 수능 모의평가 필적확인란 문구가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였다.
- '남의 나라'와 같은 표현 때문에 저항시라고 보기도 하지만, 시 속에서 저자가 현실 극복을 이루어내는 수단이 자아 성찰('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握手)')라는 점에서 일반적으로는 자기성찰, 미래지향적인 성격의 시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 제목이 현대 맞춤법 상으로는 이중 피동으로 틀린 표현이다. '쓰다'에 피동 접미사 '이'가 붙어 '쓰이다'가 되었고. 여기에 피동 접사 '-어지다'가 붙어 '쓰여지다'가 되어서 이중 피동이다. 물론 시적 허용 이겠지만
시적 허용보다는 맞춤법의 병폐로 보는 것이 옳다.
- ↑ 일반적으로 윤동주가 남긴 다른 시들과 달리, 이 시는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