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항목 : 일본/문화
1 개요
다다미(たたみ)[1]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전통식 바닥재를 말한다. 한자로는 첩(疊)으로 쓴다. 속에 볏짚으로 5cm 정도 두께로 채우고 겉은 골풀[2]로 만든 돗자리를 씌워 꿰매 직사각 형태를 띤다. 둘레에 선을 두르는 단(緣)을 붙이고 단은 명주 ·삼베 ·무명 같은 천을 이용한다.
다다미의 종횡비는 2:1로 된 장방형과 그 반인 정방형(정사각형) 2종류가 있다. 크기는 3자×6자[3]로 된 것이 기본으로 보통 체격 남자가 누울 정도 크기이지만, 방 크기에 맞추어 주문 생산하는 때도 있어 크기는 일정치 않다.
대한민국에서는 다다미로 주로 부르지만 돗짚요, 돗짚자리, 왜돗자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북한에서는 누비돗자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초기에는 straw mat로 영역했으나 현재는 tatami라는 원어대로 표기가 더 유명하다.
아시아 주거 문화 중 가장 유명한 것이다 보니 북미나 유럽권에서 일본 여타 아시아권[4]을 묘사할 때 실내를 다다미로 묘사하는 실수가 잦다. 자료가 부족하거나, 조사하더라도 대한민국 온돌방은 기름종이를 먹인 장판지나 비닐 장판을 까는데 이 규칙성을 띤 장판 경계를 다다미로 착각하는 때도 잦다.
'다다미 넉장 반'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것은 극도로 작은 공간을 말한다. 물질상 청빈을 추구했던 다도 문화에서 다실은 보통 이 정도 크기로 만들어졌다.
2 장점
- 충격 흡수와 소음 감소
- 통풍의 용이함
- 언제라도 방과 방 사이를 틀 수 있도록 만들어진 미닫이문[6]과 얇은 벽 구조에서 엿볼 수 있듯 고온다습한 해양성 기후로 인해 지옥불이라고 표현해도 족할 일본의 후텁지근한 여름을 조금이라도 시원하게 나기 위해 전적으로 통풍이 잘 되는 구조로 설계되었던 일본의 가옥 특성의 마지막 방점을 찍는 것이 바로 이 다다미 바닥재.
3 단점
- 먼지 문제와 약한 항오염성
- 표면의 결 사이에 먼지가 쌓이거나 끼기 쉽고 담뱃재 같은 가루가 떨어지면 청소하기가 번거로운 데다 낡으면 다다미 자체가 부스러지면서 먼지가 된다. 일본의 진공청소기에는 아예 다다미 청소 기능이 있을 정도다. 청소를 자주 하면 조금 낫지만 구조상 내부에 집먼지진드기가 대량 서식하기 알맞은 물건이라서 카펫과 함께 천식 환자가 피해야 할 물건 중 하나이다. 게다가 관리가 엉망으로 위생 상태가 심각한 경우 한국인들이 다다미 벌레라고 부르고 일본에서 다니(ダニ)라고 부르는 응애가 생긴다. 정확히는 응애(mites)류의 발톱진드기(Cheyletus malaccensis)로 이 종류는 사람을 문다. 한 번 물리면 엄청나게 가려워 날을 새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때문에 주기적으로 다다미 전용 살충제를 써줘야 한다. 관련 증언들.
- 흡습성과 약한 방수성
- 재질상 흡습성이 커서 장마철 같이 습도가 높을 때에는 곰팡이가 피기 쉽고 방수성이 없으므로 위에서 생활하면서 물을 위시해 여타 액체를 엎지르면 지옥을 보게 된다. 표면을 닦아내도 내부까지 스며든 수분은 두께 수 cm 탓에 건조하기 어렵다. 응급 조치로 탄산나트륨을 뿌리거나 에틸 알코올로 소독이나 건조를 시도 할 수 있지만 성공하더라도 다다미의 내구성은 작살난다. 맑은 물이라면 그나마 건조시켜 회복할 가능성이 있지만, 음식 국물이나 아기의 대소변이라면 망했어요. 내부가 젖으면 결국 다다미가 썩으면서 볏짚 썩는 냄새, 그러니까 퇴비 냄새가 온 집안을 휘감는다. 이 정도면 해당 다다미 교체 말고는 방법이 없다.
- 약한 항압 축력과 내구력
- 가구에 눌리면 자국이 남는다. 젖은 수건으로 살짝 불린 뒤 다림질하면 일부 회복되지만 이사하거나 가구 배치를 바꿀 때 매우 성가신 문제다. 다다미 표면 결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다다미가 손상되는데 무거운 가구를 다다미 위에서 끌면 다다미가 작살난다. 이러면 다시 교체 크리.
- 볏짚 냄새
- 새로 만든 다다미는 구수한 볏짚 냄새가 나나 조금 호오가 갈리는 냄새로 나이든 세대는 향수를 느끼지만 젊은 세대와 외국인 중에는 불쾌해 하는 사람도 있다.[7] 게다가 오래된 다다미는 퀴퀴한 냄새가 난다.
- 난방 문제
- 앞서 언급한 대로 거의 전적으로 한여름만을 대비한 구조이니만큼 겨울철에는 맨바닥에 앉아 있기조차 힘들 정도로 춥다. 자체적인 열 전도율이 낮아 보온성이 좋다고는 하나 그 자체로 겨울철 난방비 절감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4 현대 일본에서 다다미 위상
부자들의 과시용 인테리어 놀이나 관광지에 있는 료칸 같은 시설에나 남아 있을 뿐 수요가 대폭 감소했다. 볏짚과 골풀로 만드는 전통 다다미가 일본에서는 높게 쳐 주지만 유지하거나 관리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워서 최근에는 종이나 섬유 같은 복합 재료를 쓰거나 심지어 플라스틱으로 만든 다다미도 있고 대한민국 업체에서 만드는 다다미 중에는 황토 다다미라는 왜색정체 모를 물건도 있다. 심지어 다다미처럼 보이는 주택용 장판도 있다.
전통식 다다미 이외 복합 재료로 제작된 다다미는 청소가 쉬워 숙박업소에서 선호한다. 유명인의 생가나 기거한 이유로 보존 대상이 되는 사택조차 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 예산이 모자라면 복합 재료 다다미를 깐다.(어차피 촉수 엄금이라 들통날 염려도 없고) 가고시마에 있는 사이고 다카모리의 생가도 은근슬쩍 플라스틱 다다미를 깔았다가 들통나서 지역 신문에서 욕 먹고 전통 다다미로 다시 갈아 넣은 일도 있었다.[8] 외국인이 가끔 평범한 일본인의 집에 놀러갔다가 다다미가 없어서 아쉽다는 소리하기도 하는데 대한민국으로 치면, 창호지문이 없어서 아쉽다는 소리랑 똑같은 매우 깨는발언이다.
5 기타 잡다한 사항
- 8.15 광복 직후에는 대한민국에 남아있는 적산가옥에서 다다미가 상당수 남아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적산가옥에서 다다미가 남아있는 것은 극소수다. 일제 잔재 청산 영향이지만, 그보다도 대한민국에서 다다미가 사라진 최대 이유는 생활하기 불편해서다. 전통 온돌방은 콩기름을 먹인 질긴 장판지를 구들 위에 바르는 콩댐이나 송진을 발라 방수작업을 하였고, 현대 온돌방은 비닐 장판을 깔아서 한국인에게 방바닥 기본 속성은 방수성 및 내수성이었기 때문이다. 재일교포 작가인 유미리의 소설 『8월의 저편』 초이레 부분에서도 주인공이 온돌방 기름 장판 위에 흐른 아기 똥오줌을 치우면서 다다미를 디스한다.
- 1970년대에서 1980년대 후반까지 대한민국에서 다다미를 만들어 일본에 역수출했었다. 1990년대부터는 중국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 일본인의 청결 집착을 다다미로 말미암아 아주 어릴 때부터 철저하게 배변 훈련하게 하여 일어난 '항문기 고착'으로 해석하는 의견도 있다.
- 시인 윤동주의 「쉽게 쓰여진 시」의 시구 "육첩방은 남의 나라"의 "첩"이 바로 다다미를 뜻하는 첩(疊)이다.
- 다다미가 깔린 방을 '다다밋방'이라고 표기하기도 하는데 외래어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으므로 '다다미방'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다.
- 검도, 거합도, 일본 고류 무술 등의 일본도나 나기나타 같은 칼날 무기를 다루는 무술에서 대나무에 다다미 한 장을 말아서 시참을 하는 경우가 있다. 시참 재료 중에 가장 비싸서 자주 사용 할 수는 없지만, 다다미와 대나무가 각각 살과 뼈의 역할을 하여 베는 감각을 느끼기에 가장 좋다고 한다.
- ↑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다타미
- ↑ 등심초(燈心草)라고도 부름.
- ↑ 910mm×1,820mm
- ↑ 대한민국, 중국, 동남아시아 등.
- ↑ 개화기 배경 작품에 등장. 다다미를 2장 겹치면 당시 리볼버의 총알을 막는 클리셰도 있지만, 현실은 총알잡기처럼 현시창. 무술가들은 관수를 단련해서 뚫기도 한다.
- ↑ 障子 (しょうじ)쇼지 문
- ↑ '다다미 냄새'라고 한글로 검색하면 나오는 기나긴 불평불만을 보면, 한국인이 상당히 불쾌하게 느끼는 모양.
- ↑ 단, 이건 사이고 다카모리가 워낙 유명한 사람이라 생긴 조금 특수한 사례. 보통은 이런 사적으로의 가치가 있는 전통 가옥에 전통 다다미를 쓰든 플라스틱을 쓰든 별 관심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