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발부 수지부모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
立身行道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 (입신행도 양명어후세 이현부모 효지종야)

"사람의 신체와 터럭과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이것을 감히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다."란 유교의 가르침. 효경(孝經)에 나오는 문구이고 이에 이어지는 문구는 "몸을 세워 도를 행하여서 후세에 이름을 드날려 부모님을 드러내드리는 것이 효도의 끝마침"으로 이어진다. 유교적 효사상의 핵심적인 문구라 자주 인용된다. 여기서 나온 입신양명(立身揚名)은 세속적 출세를 나타내는 단어로도 흔히 쓰인다.

그래서 조선시대에는 머리카락를 자르지 않고 상투를 틀었고 조선말기 단발령에 대한 반발의 논거가 되었다. 형벌도 참수형이나 거열형 궁형 등 신체절단형이 가장 치욕적 형벌로 여겼다. 자살도 당연히 큰 죄악으로 보았다. 현대에도 "몸에 칼을 대는" 외과적 수술을 매우 꺼리고 미용목적의 성형수술을 부정적으로 보는 풍조도 이의 유습이라고 볼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