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시아드

1 개요

알렉시우스 1세의 장녀 안나 콤네나의 역사서로, 기본적으로 아버지의 전기를 다루고 있다. 동로마 제국의 시각에서 바라본 당대 사회상에 대해 다루고 있다.

2 내용

《알렉시아드》는 동로마 측에서 바라본 제1차 십자군에 대한 시각과 당대의 주변 세계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책이지만, 안나 콤니니는 극렬 파더콤이었던지라(…) 알렉시오스의 문제되는 행동[1]들은 상당수 언급하지 않거나 암시만 주었다. 처음에 자신의 아버지라고 좋게 보지않고 공평히 서술할 것이라고 하지만 몇 페이지만 읽어봐도 그 말은 신빙성이 떨어진다. 차라리 언급안하고 쓰면 몰라도 언급하고 저렇게 써가니 덕후들의 뇌내 망상은 폭주할 수밖에. 뭐 읽다보면 파더콤이 생각나긴 한다(…).

사실 이런류의 지배층에 대한 미화와 같은 요소는 서구 역사가들에게서도 대단히 자주 발견되며 안나 콤네나는 명함도 못내미는 거의 소설가같은 이들도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나 콤니니가 어휴 파더콤'ㅅ' 이런 취급받는데는 서구역사가들의 남존여비 사상, 동방에 대한 나쁜 인식 등이 한몫했던 것으로 추정되곤 한다.

알렉시아드를 읽어보면 그녀의 격렬한 파더콤 성향에 어리벙벙해진다고 말하기도 하나 다른 역사서들을 읽다보면 동서고금을 불문하고 지배층에 대한 빠심이 넘쳐나는 역사서는 많기 때문에 깊게 역사서를 배울수록 뭐 그런가 보다 하고 넘어가게 된다. 안나 콤네나가 딸이라 뇌내망상하기에 더없이 좋을 뿐.

알렉시오스가 뭘 할 때마다 "내 아버지는 훌륭한 계략으로...", "내 아버지는 마치 헤라클레스의 재림과도 같았다"하는 식으로 얘기한다. 아니면 "우리 아버지는 누구누구와 싸웠는데 그 사람은 키도 크고 지휘력도 뛰어나고 힘도 세고..." 하는 식으로 나가다가 결국 "내 아버지가 누구누구를 물리쳤다. 고로 우리 아버지 좀 짱인 듯?" 하는 식의 수사법도 애용한다. 이렇게 보면 안나 콤니니가 객관적 시선이 없는 걸로 곡해 할 수 있는데 그렇지는 않다.

전반적으로 동방측에 우호적이기는 하나 객관적 시선을 유지한다. 파더콤이라곤 하지만 자신의 아버지인 알렉시오스가 처음으로 전쟁에 나가는 장면을 묘사한 루셀 진압전은 초기의 알렉시오스가 군사지휘보다는[2] 뛰어난 재치와 지혜[3], 가문빨로 성공하였다는 등의 암시를 주고있다.

문학적 수사도 매우 많이 사용하고 그 수준도 높기에 역사서임에도 불구하고 문학적 완성도가 뛰어나다. 역사서로만 보자면 이같은 문학적 수사는 좋지않으나 당시의 시류 자체가 전문적 역사서로서 현대와 같이 본격적인 구분은 본격화 되지 않은 때라 그렇다. 다만 글을 정말로 잘 써서 읽기에는 즐겁다. 《로마제국 쇠망사》라든지 《비잔티움 연대기》를 비롯한 각종 동로마 제국사 저서에 단골로 인용되지만[4] 동로마 제국사가 한국에서 마이너한 분야라 그런지 《알렉시아드》는 그 유명세에 비해 아직까지 한국어 번역본이 없다. 읽고 싶다면 여기를 참조하자.[5] 단, 원서 자체를 읽고 싶다면 펭귄 클래식의 비양장본 알렉시아드는 오직 글자만 빽빽하게 적혀있어 가독성이 심히 떨어지므로 다른 걸 구입하도록 하자.
  1. 밤중에 암살자를 보내거나 약속을 어기거나 하는 등의.
  2. 알렉시오스와 니키포로스 브리엔니오스(안나 콤니니의 남편인 니키포로스 브리엔니오스의 아버지, 혹은 조부)의 전투에서는 알렉시오스가 깨졌고, 노르만의 로베르 기스카르와의 전투에서도 알렉시오스가 대판 깨졌다.
  3. 알렉시오스는 루셀을 전투로 제압하지 않고 그와 연합한 튀르크인들에게 뇌물을 주고 그를 자신에게로 압송하게끔 뒷공작을 펼쳤다.
  4. 에드워드 기번의 경우에는 안나 콤니니에 대해 몹시 비판적으로, 그녀를 '동방 궁정의 무지한 황녀'라고 혹평하거나 그녀 특유의 수사법을 이용해서 비꼬기도 했다.
  5. 일단 안나 콤네나에 적혀있는 내용을 그대로 옮겨온 것이기에 수정, 추가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