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컴: 롱 워/전술병과

1 전투병

1.1 돌격병

1.1.1 개요

원작과 비슷하지만 EXALT 미션의 난이도가 대폭 오름에 따라 스프린터+런앤건으로 초장거리 해킹이 가능한 돌격병은 정찰병과 더불어 최고의 잠입요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저티어 샷건들의 강력한 딜링으로 초반 UFO강습[1]에서 활약할 수 있다.[2]

대신 후반에는 전투력에 있어 타 병과들에 비해 밀리는 편이다. 로봇 계열의 적은 샷건에 대응하는 DR 수치가 높기 때문에 직접 뎀딜을 하려면 폭발탄이 필수라서 아이템 슬롯을 1개 날려먹기도 하며, 극딜로 키워도 강력한 로봇들을 상대로는 HEAT탄을 보유한 거너가 더 강하다. 한편 롱워에 와서는 적들이 너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좀 때려보겠다고 들이대면 바로 추가 인카운터가 떠버려서 마음 놓고 전진을 시키기가 쉽지 않다.[3][4] 레인저와 약점조준 스킬이 각종 생존스킬과 겹치는 등 스킬배치 상으로도 이전보다 나빠졌기 때문에 바닐라에서 혼자 최전방에서 날아다니며 외계인들을 제압하던 것과는 다르게 탱킹, 우회, 생존, 딜링 등 컨셉 몇개에 맞게 제한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히려 바닐라에서 흔히 하던 난입후 샷건 난사는 무아지경 찍은 정찰병이 훨씬 더 잘하게 되었다. 근접전 전문가 스킬이 근거리에서도 종종 빗나가게 되어 안정성도 떨어졌으며, 외계인이 50마리씩 나오는 미션에서는 어설프게 돌격하다간 경계사격 탄막에 갈려나가는 경우가 부지기수라 거의 눈치만 보다가 끝날 정도. 대신 스킬로 오르는 의지가 제일 많기 때문에 사이오닉 소총병으로 키우면 후반에 밥값을 할 수 있다.아니면 그냥 갈아서 머라우더로 만들면 막강한 돌격병이 나온다 시작 능력은 런 앤 건.

계급HP 상승치HP 누적명중 상승치명중 누적의지 상승치[5]의지 누적
이병11335~65~6
일병01255~610~12
상병12383~413~16
병장022103~416~20
하사133133~419~25
중사032153~422~28
상사143183~425~32

1.1.2 스킬

  • 이병
런 앤 건을 활성화한 턴에서 돌진 후에도 사격이나 경계를 선택 가능합니다. 2턴이 지나면 다시 사용 가능합니다.
런 앤 건

- 런 앤 건: 원작과 동일. 속사와의 조합은 여전히 강력하다.

  • 일병
부상을 입거나 아군이 혼란에 빠지거나 다치거나 죽거나 위협 능력에대해 혼란에 걸리지 않습니다.[6] (의지 +5)
부동심
경계 상태 중이 아니라도 4칸 안에 있는 적에게 반응 사격이 가능합니다. 주의: 은신상태에서도 발동합니다.
근접전 전문가
비행중이 아닌 적이 다른 엄폐물로 이동하게 합니다. 명중시키기 쉬우나 낮은 데미지를 주고 추가적인 탄을 소모합니다. 잠복중인 적은 이동하지 않습니다.
엄폐 해제 사격

- 부동심: 의지를 5나 올려준다. 롱워에서는 돌격병이 개돌할 타이밍을 잡기 어려우므로 중거리에서 사이오닉 역할을 해주면 적절하다. 또한 초반에 밥먹듯이 패닉에 걸리는 상황에서도 든든한 보험이 된다. 의지가 높은 돌격병을 얻었다면 반드시 찍어주자.
- 근접전 전문가: 샷건 사용시 여전히 쏠쏠한 도움이 되는 스킬. 전반적으로 몹들의 체력이 크게 늘어난데다 경계사격 자체에 명중률 30% 페널티[7]가 있기 때문에 원작처럼 사각지대에 숨어서 오는 족족 때려잡는 건 무리다.
- 엄폐 해제 사격: 권총으로도 쓸 수 있다.

  • 상병
엄폐 상태에서 측면이 노출되지 않은 경우 1에서 2의 데미지 감소 보너스를 부여합니다[8]. (의지 +3)
생존 의지
시야에 있는 적 하나당 +10% 치명타율이 증가합니다.(최대 +30%). 분대 시야로 보이는 외계인은 제외됩니다.
호전성
주무기, 로켓 발사기 및 MEC주무기, 보조무기에 +1 데미지 보너스를 부여합니다. 14칸 이상의 보조무기 장거리 사격에 대한 페널티를 무효화합니다.
레인저

- 생존 의지: 철인 모드의 경우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스킬이다. 실수로 인한 적과의 조우 발생시 자신의 생존력을 극대화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에게 근접하여 어그로를 끌어 아군의 데미지를 대신 받아낼 수 있다.
- 호전성: 크리티컬 극딜 빌드라면 찍는다.
- 레인저: 무난하다. 권총을 조금 더 잘 써먹을 수 있어서 어떤 거리에서도 나쁘지 않은 딜을 뽑을 수 있다. 순간 딜량은 호전성에 밀리는 감이 있지만 가우스 자동권총쯤 되면 적당히 먼 거리에서도 딜 서포트가 충분히 된다.

  • 병장
4칸 안에 있는 적에게 하는 첫 번째 기본 사격은 행동을 소모하지 않습니다. 런 앤 건과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의지 +3)
가깝고도 먼
하나의 목표에 대해 빠르게 두 번 연사합니다. 각 사격 당 -15 명중률 패널티를 부여합니다.
속사
측면노출이나 노엄폐인 적을 공격할시 첫 번째 기본 사격은 행동을 소모하지 않습니다. 공중 유닛에는 적용 되지 않고 런앤건과 같이 쓸 수 없습니다.
히트 앤 런

- 히트 앤 런: 샷건이 아닌 다른 무기를 쓸 경우 효과적이나 중거리 직접교전은 보병이 훨씬 강력하며 중거리 우회타격은 스카웃이 우월하다. 비행유닛에게 효과가 없다는 것도 문제라서 돌격병이 쓰기에는 애매한 스킬. 다만 기동성이 우수한 병사일 경우 거의 매턴 이 스킬을 발동시키며 1턴2킬씩 쓸어먹고 다닐 수 있다.
- 가깝고도 먼: 샷건과 잘 맞는다. 적이 엄폐중이든 비행중이든 상관없이 발동한다. 의지 보너스 때문에 사이오닉이라면 무조건 이 스킬을 찍는다. 스프린터를 찍을 수 있어서 원작에 비해 기동성이 늘어난지라 여러모로 버프를 많이 받은 스킬.
- 속사: 아쉽지만 런 앤 건과 조합하려면 이 스킬밖에 없다. 크리티컬 빌드를 타면 로봇 빼고 다 썰어버릴 수 있다.

  • 하사
치명타 명중을 무효로 합니다.
충격 회복력
런 앤 건을 활성화하면 나머지 턴 동안 치명타 데미지가 +50% 증가합니다.
킬러 본능
남은 체력이 50% 이하인 적을 공격할 때, +10 조준 및 +10 치명타율 보너스가 추가됩니다. (조준 +2, 의지 +2)
처형인

- 충격 회복력: 치명타 면역은 후반부에 한턴에 훅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실수로 몇 대 맞아서 병원 신세를 지더라도 쉽게 죽지는 않으니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찍자.
- 킬러 본능: 극크리 빌드는 런앤건+호전성+속사+살육본능+호승심+약점조준까지 완벽한 시너지를 보여준다! 그야말로 뒤가 없는 남자의 빌드. 단일딜 능력은 최강급이나 롱워의 전투는 개돌이 아니라 조금씩 끌어와서 잘라먹는 방식이라 애매하다.
- 처형인: 딱히? 처형인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병과가 아니다. 다만 약간의 스탯 보너스가 있기는 하다.

  • 중사
시야에 있는 적 하나당 +5 방어 보너스를 부여합니다. (최대 +20)
전술적 감각
분대가 볼 수 있는 범위에 있는 적의 수에 따라 치명타 데미지가 추가됩니다. (최대 +6)
호승심
추가로 4칸 (약3칸)을 더 이동할 수 있습니다.
스프린터

- 전술적 감각: 베타 15에서 생존 의지 대신 전술적 감각으로 변경. 돌격병이 어그로를 덜 받게 해 주지만, 이것은 뒤에 있는 보병 등의 딜러에게 어그로가 더 갈 수도 있다는 뜻이므로 양날의 검이다. 탱커라면 오히려 찍지 않는 것이 낫다.
- 호승심: 치명타 빌드로 간다면 당연히 찍는다. 부족한 기동력은 런 앤 건으로 보완할 수 있다.
- 스프린터: 치명타 빌드가 아니라면 그냥 필수이다. 원작에 비해 돌격병은 뎀딜에서 너프를 먹은 대신 기동성이 좋아진 셈.

  • 상사
장착한 방어구의 종류에 따라 추가 방어 포인트 보너스를 획득합니다. 중량 방어구일수록 더 많은 보너스가 추가됩니다. (조준 +4, 의지 +4, 이동 +1)
특별 방어구 적응 훈련
해부한 종류의 인간이나 외계인 목표에 입히는 데미지가 주무기가 2데미지, 보조무기가 1데미지 추가됩니다. 부수적 피해에 데미지 보너스를 주지 않습니다.
약점 조준
이 유닛에 가해진 첫 반응 사격은 90%, 추가적인 사격은 70%의 명중률을 감소시킵니다. 이 스킬을 가진 대형 기계 유닛들은 반응 사격을 당할 확률이 더 이상 높아지지 않습니다.[9]
예리한 반사 신경

- 특별 방어구 훈련: 의지와 맷집이 오르기 때문에 사이오닉에게 적합하다. 탱커에게도 좋은데, 생존 의지 + 충격 회복력 + 특방 + 타이탄 아머 + 강화 방어구 + 충격 흡수 조끼 + 완전 엄폐 + 장교 스킬[10]까지 하면 DR이 엄청나게 높아져서 맞으면서 버틸 수 있다...
- 약점 조준: 뎀딜에 필수적인 이 스킬이 하필 이 자리에 있다는 것이 돌격병에게는 너무나도 뼈아픈 부분이다. 때문에 이걸 찍는다면 무조건 극딜 빌드가 된다.
- 예리한 반사 신경: 데미지 2를 포기하고 약간의 안전함을 추가하려면 이 특성도 결코 나쁘지 않다. 다만 카멜레온 수트는 정찰병 전용이라서 정찰병도 경계사격에 완전 무적인건 아니지만, 돌격병은 약간 더 높은 확률로 가끔씩 한두대 얻어걸리는 경우도 있다는건 잊지 말자.

1.1.3 스킬 트리

  • 아래서 설명하는 스킬은 예시이며 개개인만에 최적화된 스킬 트리가 가능하다.
  • 사이오닉/탱킹 빌드
32px-ASSAULT_CLOSECOMBAT.png32px-HEAVY_WILLTOSURVIVE.png32px-ASSAULT_CLOSEPERSONAL.png32px-ASSAULT_RESILLIENCE.png32px-SUPPORT_SPRINTER.png32px-ASSAULT_EXTRACONDITIONING.png

최전선에서 적의 시선을 끌어 아군을 보호하고 적을 교란하는 역할에 최적화된 스킬 트리다. 스킬로 추가되는 의지를 바탕으로 해서 사이오닉 능력을 통한 중거리에서 보조도 뛰어난 편.

  • 극딜 빌드
32px-ASSAULT_CLOSECOMBAT.png32px-ASSAULT_AGGRESSION.png32px-ASSAULT_RAPIDFIRE.png32px-ASSAULT_KILLERINSTINCT.png32px-ASSAULT_BRINGTHEMON.png32px-ASSAULT_LIGHTNINGREFLEXES.png
런엔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전면돌격보단 우회기동을 노리는 역할이다. 런엔건으로 빠르게 접근하여 속사를 갈겨준다.

1.2 보병

1.2.1 개요

인간 포탑, 총덕후.
크레이그 부운
소총을 들고 우월한 명중률로 한땀한땀 안정적인 DPS를 뽑아내는 딜러, 또는 경계사격 트리를 타는 예리한 기회주의자. 기본적으로 보병으로 설정할때 조준이 좀 되는 인원을 뽑기 때문에 언제나 50%의 명중률로 왼전엄폐에서 적들에게 꾸준한 딜링을 하는 병과다. 원작의 불렛스웜 중화기병과 라이플 돌격병의 요소가 합쳐젔다. 스킬구성이 좋아서 키우기도 쉽고, 주무기가 소총이라 연구의 압박도 적다. 시작스킬은 총알 세례[11]이다. 총알세례는 비록 보병의 소총이 기관총병의 기관총에 비해 좀 대미지가 약하더라도 두 번 행동이 가능하게 하므로 전술적 유연함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 스킬에 초기 능력이 전부 들어가있다고 보면 된다. 제자리 사격후 행동력이 하나 남는데 한 번 더 쏠 수도 있고 무기안정화를 해서 다음턴 사격의 적중도를 20 추가할 수도 있고, 잠복을 해서 방어력을 2배로 올릴 수도 있다.(완전 엄폐에서 잠복을 하면 무려 90의 방어력을 얻게된다.) 따라서 생존력과 공격 방식을 택일 가능하므로 유동적이면서 굉장히 전술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아주 각잡고 의지, 탱킹스킬들만 찍어서 장교로 쓰기에도 상당히 좋은 병과이긴 하지만 사격하기도 바쁜 병과라서 의지 수치에 관계없이 사이오닉 적성은 없다고 보는게 좋다.

계급HP 상승치HP 누적명중 상승치명중 누적의지 상승치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은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설명적인 이름을 사용하세요
의지 누적
이병11335~65~6
일병01365~610~12
상병01393~413~16
병장123123~416~20
하사023153~419~25
중사023183~422~28
상사133213~425~32

1.2.2 스킬

  • 이병
첫 행동에 사격을 하여도 턴이 끝나지 않습니다.
총알 세례

- 총알 세례: 원작을 해봤다는 가정 하에 따로 설명할 필요는 없겠지만.. 첫 행동을 사격으로 했을 경우 턴을 그대로 끝내지 않고 행동력을 1만 소모하게 된다. 즉 사격 후 재차 사격을더블 탭 가하거나 혹은 이동, 장전, 경계 상태 돌입, 정조준 등.. 다른 행동을 취할 수 있다는 뜻.

  • 일병
부상을 입거나 아군이 혼란에 빠지거나 다치거나 죽거나 위협 능력에대해 혼란에 걸리지 않습니다.(의지 +5)
부동심
이동하는 적뿐만 아니라, 적들의 다양한 행동에도 경계 사격 및 근접전 전문가가 발동합니다.
엄호 사격
남남은 체력이 50% 이하인 적을 공격할 때, +10 조준 및 +10 치명타율 보너스가 추가됩니다.
처형인

- 엄호 사격: 경계사격 보병을 간다면 찍는다. 다만 엄호가 터지는 경우는 대부분 적이 엄폐하고 있기에 명중률이 낮고 기회주의자를 찍었어도 치명타를 기대하기 힘들다.
- 부동심: 진형의 중심축에 있을 확률이 가장 높은 병과인 보병은 의지 판정할때 해당 인원 대신 가까운 장교의 의지를 끌어다 쓰는 솔선수범(Lead by example) 패시브를 가장 잘 활용할수 있다. 다만 보병은 소총을 쏘는것 만으로도 충분히 바쁘기 때문에 어떤 특성트리를 타든 의지 보너스를 활용한 사이오닉 운용은 포기해야 한다. 장교로 키울게 아니라면 찍지 말자.
- 처형인: 직접사격 위주로 키운다면 찍는다. 피통 수십칸 짜리 괴물들에게는 특성트리, 클래스 상관없이 유용하다.

  • 상병
엄폐 상태에서 측면이 노출되지 않은 경우 1에서 2의 데미지 감소 보너스를 부여합니다. (의지 +3)
생존 의지
반응 사격의 조준 패널티가 사라지고, 반응 사격으로도 치명타 발생이 가능합니다.
기회주의자
시야에 있는 적 하나당 +10% 치명타율이 증가합니다.(최대 +30%). 분대 시야로 보이는 외계인은 제외됩니다
호전성

- 생존 의지: 생존력 상승에 큰 도움을 준다. 근데 하필 경쟁 스킬들이 너무 좋아서... 사격이 떨어지는 대신 체력이나 의지가 높은 보병을 탱커 겸 장교로 키울 용도라면 괜찮지만 딜러로 키울거라면 버리자.
- 기회주의자: 반응사격 트리라면 꼭! 찍는다. 엄호 사격 + 기회주의자 + 경계병 트리는 상당히 강력하다. 그정도면 그냥 포탑 아닌가
- 호전성: 보병은 크리티컬 빌드도 가능하다. 경계사격이 아닌 일반사격으로 제대로 된 딜을 박으려면 이 스킬이 거의 필수. 전투소총이 DMR이나 저격총에 비해서 밀리는게 크리 확률 하나뿐인데(전투소총 8%, DMR 12%, 저격총 20%) 그 모자라는 크리 확률을 메꾸는데 좋은 특성.

  • 병장
비행중인 유닛을 상대로 +15 조준 보너스를 부여합니다.
죽음의 시선
대상을 총알 공세로 몰아 붙이고 대상이 움직일시 엄폐물을 무시한 기회주의자 반응사격을 합니다. 제압된 대상은 -30 조준 패널티를 부여하고 수류탄 같은 범위 공격의 던지는 거리를 감소시킵니다. 샷건, 저격총 및 지정사수소총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제압 사격
주무기, 로켓 발사기 및 MEC주무기, 보조무기에 +1 데미지 보너스를 부여합니다. 14칸 이상의 보조무기 장거리 사격에 대한 페널티를 무효화합니다.
레인저

- 죽음의 시선: 비행 유닛에만 적용된다. 모두가 조준이 낮은 초반에는 매우 유용하지만, 후반에 보병의 총합 조준이 90을 넘기면 비행으로 생기는 엄폐 보너스 정도는 우습게 뚫어버리기 때문에 좀 빛이 바래는 편.
- 제압 사격: 제압을 해줄 다른 병과들이 많다. 기관총병, 기술병, 상황에 따라서는 의무병도 제압을 할 수 있으며 주조실의 SHIV 제압 업그레이드를 완료한 SHIV도 제압 사격을 쓸 수 있다. 다만 탱커 겸 장교 보병이라면 어그로를 끌기에 너무 좋다. 탱커 보병에겐 필수 스킬.
- 레인저: 약한 무기로 여러 번 쏘는 경계보병에게 있어 1데미지 차이는 상당히 크다. 진짜 크다. 전투소총도 효과를 조금 덜 본다 뿐이지 있어서 나쁘다는게 아니다.

  • 하사
시야에 있는 적 하나당 +5 방어 보너스를 부여합니다. (최대 +20)
전술적 감각
주무기의 장탄수를 1증가시킵니다. 첫 행동으로 주무기를 재장전하면 턴이 끝나지 않습니다.
락 앤 로드
+10 치명타율 보너스를 받고 완전 엄폐상태의 적에대해 +10 조준 보너스를 받습니다. (조준 +2)
명사수

- 전술적 감각: 매우 쓸만하나 그놈의 락 앤 로드가 문제...어그로를 낮추는 성질이 있기때문에 탱킹에도 방해만 된다.
- 락 앤 로드: 경계보병의 트레이드마크와도 같은 스킬이다. 소총류는 한 탄창으로 3회 공격이 되는데 총알 세례를 이용해서 한번 사격하고 남은 행동력 하나를 경계하는데 써서 엄호사격+감시병 빨로 두번 경계사격을 하는 경우가 많다.그런데 그러면 다음턴에 탄창이 텅 비어서 그냥 장전만으로 한턴을 넘겨야 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그런데 이 스킬을 찍으면 장전하고도 턴이 바로 끝나지 않고 액션포인트 하나만 소모하고 하나가 남기 때문에 그 남은 액션포인트로 이동,사격, 경계 등을 할수 있다.
- 명사수: 전투소총을 들고 사격-조준정렬을 반복하는 직접사격 트리라면 필수적인 스킬. 상황에 따라서는 어설픈 저격수보다 적중이 높아지기도 한다.

  • 중사
치명타 명중을 무효로 합니다.
충격 회복력
경계 상태 중, 반응 사격이 2회 발동 가능합니다.
감시병
분대가 볼 수 있는 범위에 있는 적의 수에 따라 치명타 데미지가 추가됩니다. (최대 +6)
호승심

- 충격 회복력: 생존력 상승의 핵심. 장교를 겸하는 탱커 보병이면 필수스킬.
- 감시병: 감시 빌드라면 말이 더필요한가?
- 호승심: 크리티컬 빌드의 핵심이다. 호전성 + 레인저 + 호승심 + 명사수를 찍고 사격후 무기 안정화를 반복한다면 플라즈마 전투소총으로 완엄 낀 적에게도 70%확률로 명중탄이 나오고 그중 40%확률로 치명타 20~23딜을 뽑을 수 있다.

  • 상사
장착한 방어구의 종류에 따라 추가 방어 포인트 보너스를 획득합니다. 중량 방어구일수록 더 많은 보너스가 추가됩니다. (조준 +4, 의지 +4, 이동 +1)
특별 방어구 적응 훈련
해부한 종류의 인간이나 외계인 목표에 입히는 데미지가 주무기가 2데미지, 보조무기가 1데미지 추가됩니다. 부수적 피해에 데미지 보너스를 주지 않습니다.
약점 조준
하나의 목표에 대해 빠르게 두 번 연사합니다. 각 사격 당 -15 명중률 패널티를 부여합니다.
속사

- 특별 방어구 적응 훈련: 탱커/장교 보병 트리의 마지막 스킬. 싸이오닉 병사 뿐 아니라 장교에게도 높은 의지는 필수사항이다. 조준과 이동력 추가는 덤이라고 생각하자.
- 약점 조준: 데미지 2 증가는 어마어마하다. 딜러 소총병이라면 빌드 상관없이 필수. 레인저와 같이 찍으면 거너 뺨치는 뎀딜이 가능하다.
- 속사: 이동 후 2연사가 가능해진다. 대신 제자리에서 속사를 하면 총알세례 없이 한번 쏘고 턴이 끝나니 주의, 대신 한번 쏘고 남은 턴에 속사를 해서 3연사는 가능하다.

1.2.3 스킬 트리

  • 아래서 설명하는 스킬은 예시이며 개개인만에 최적화된 스킬 트리가 가능하다.
  • 크리티컬 보병

처형자-호전성-레인저-명사수-호승심-약점 조준

직접 사격 위주로 투자한 스킬 구성. 전투소총을 들고 사격과 조준정렬을 반복하면서 분대시야 없는 저격수 역할을 수행하는 빌드. 총알세례의 힘으로 조준정렬(다음 턴에 조준 +20)을 매턴 반복하기 때문에 실 적중 자체는 지상에 있는 저격수보다도 높다. 그래도 죽이는 위치선정 찍고 깊은 통찰력 개조받은 비행중인 극크리 저격수는 이기기 어렵다.
  • 탱커/장교 보병

부동심-생존의지-제압-락 앤 로드-충격회복력-특별 방어구 적응 훈련
스킬로 추가되는 의지가 무려 12나 된다. 보병의 기본 의지 누적성장치 25와 합치면 초기능력치+37이라는 엄청난 양의 의지를 가지고 장교가 되면 다른 분대원들의 사기 관리에 큰 도움이 된다. 거기다 탱킹 필수스킬인 충격회복력과 어그로 높은 제압까지 같이 가지고 있다.

  • 경계 보병
32px-SUPPORT_COVERINGFIRE.png32px-SNIPER_OPPORTUNIST.png32px-SENTINEL_MODULE_ICON.png32px-SUPPORT_DEEPPOCKETS.png32px-SUPPORT_SENTINEL.png32px-MEC_VITAL_POINT_TARGETING.png
2선에서 경계로 아군을 엄호하는 빌드이다. 별로 안 좋아보일 수도 있는데, 위원회 미션같이 외계인이 계속 충원되는 맵에서는 거의 구세주급의 위력을 보여준다.

2 MEC 병사

2.1 머라우더

돌격병 파생병과. 스킬 구성이 좋아서 돌격병의 상위호환이다. 소규모 난전이 이어지는 위원회나 EXALT 미션에 적합하며 구역별로 분리되어 있는 외계인 기지와 전함 강습에도 나쁘지 않다. 다만 돌격병의 고질병인 추가 인카운터의 문제는 여전하기 때문에 대형 UFO 착륙이나 테러미션에서는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기동형 MEC을 사용하는 데 최적화돼있다.

계급HP 상승치HP 누적명중 상승치명중 누적의지 상승치의지 누적
이병11222~32~3
일병01242~34~6
상병12262~36~9
병장13282~38~12
하사142102~310~15
중사042122~312~18
상사152142~314~21
  • 이병
4칸 안의 적에게 하는 첫 번째 기본 사격은 행동을 소모하지 않습니다. 런 앤 건과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깝고도 먼

- 가깝고도 먼: 머라우더의 주무기를 사실상 샷건처럼 쓰는것을 강요하는 스킬. 머라우더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겠다.

  • 일병
시야에 있는 적 하나당 +10% 치명타율이 증가합니다. (최대 +30%) 분대시야로 보이는 외계인은 제외됩니다.
호전성
부상을 입거나 아군이 혼란에 빠지거나 다치거나 죽거나 위협 능력에대해 혼란에 걸리지 않습니다. (의지 +5)
부동심
4칸 안에 있는 적이 주는 데미지는 33%만큼 감소합니다.
충격 흡수 장갑

- 호전성: 머라우더가 공격하려면 어쨌든 접근해야 하므로 호전성의 효과를 아주 톡톡히 볼 수 있다.
- 부동심: 장교도 사이오닉도 될 수 없는 멕에게 의지 따위는 필요 없다.
- 충격 흡수 장갑 : 흡수장과 조합하면 로봇이나 근접형 외계인들 상대로는 쓸만하다. 다른 적들은 측면을 잡히면 4칸 밖으로 도망가버리기 때문에 이걸 믿고 개돌해서는 안 된다.

  • 상병
이 유닛이 데미지를 입으면 다음 2턴에서 받는 1.5 DR을 얻습니다.
데미지 컨트롤
경계 상태 중이 아니라도 4칸 안에 있는 적에게 반응 사격이 가능합니다. 주의: 은신상태에서도 발동합니다.
근접전 전문가
대부분의 엄폐물을 파괴하고 유효한 모든 적에게 34% 데미지를 입히는 범위 공격입니다. 이 공격은 치명타를 입힐 수 없습니다.
부수적 피해

- 데미지 컨트롤 : 머라우더는 많이 맞아봐야 1~2대 정도이다.
- 근접전 전문가 : 어설프게 근접하는 적들에게 차례대로 한대씩 날릴수 있게 해주는 핵심스킬. 근접해서 측면을 잡고 턴을 넘겨서 도망가는 놈들을 잘라먹을 수도 있다.
- 부수적 피해 : 엄폐물을 부수고 싶다면 다가가서 주먹질을 하자.

  • 병장
0.5 DR 보너스를 받습니다.(공격을 받았을때 1의 데미지를 50% 확률로 무시합니다) 그리고 경계 사격을 맞추기 전까지 +15 방어 보너스를 부여합니다.
자동 위협 측정
남은 체력이 50% 이하인 적을 공격할 때, +10 조준과 +10 치명타율 보너스가 추가됩니다. (조준 +2)
처형인
주무기, 로켓 발사기 및 MEC보조무기에 +1의 데미지 보너스를 부여합니다. 14칸 이상의 보조무기 장거리 사격에 대한 패널티를 무효화합니다.
레인저

- 자동 위협 측정 : 엑스컴에서 손꼽히는 잉여스킬이다.
- 처형인 : 어차피 근접해야 하는 머라우더에게 조준은 그냥 있으면 좋은 수준이지만 치명타 확률 증가는 매우 소중하다.
- 레인저 : 처형인의 한정된 조건 하에서의 치명타율 증가와 데미지 1 증가를 골라야 한다. 취향껏 골라보자.

  • 하사
턴이 시작될 때마다 받은 데미지의 50%를 수리합니다(턴당 최대 2). 아이콘 값이 수리의 남은 부분을 나타냅니다. 완전히 수리가 끝나기전에 받는 추가적인 데미지는 수리할 수 있는 양을 줄입니다.
서보 수리
비행중이 아닌 적이 적이 엄폐물에서 강제로 벗어나게 합니다. 명중시키기 쉬우나 낮은 데미지를 주고 추가적인 탄을 소모합니다.잠복중인 적은 이동하지 않습니다.
엄폐 해제 사격
경계 상태에서 사격 시 조준 패널티가 없습니다.
고급 사격 통제

- 서보 수리 : 롱워에서 너프를 먹고 묻힌 스킬이다.
- 엄폐 해제 사격 : 안그래도 빠른 기동형 멕 바디를 쓰는 머라우더는 엄폐물은 우회하면 그만이다.
- 고급 사격 통제 : 이걸 찍지 않으면 근접전 전문가 스킬이 종종 빗나가게 된다.

  • 중사
병사의 시야에 있는 각 적당 +1 치명타 데미지가 추가됩니다. (최대 +6)
호승심
탄약이 충분할 경우, 턴마다 유닛을 공격하는 첫 번째 적에게 자동으로 사격합니다.
반응성 목표 센서
해부한 종류의 인간이나 외계인 목표에 입히는 데미지가 주무기가 2데미지, 보조무기가 1데미지 추가됩니다.
약점 조준

- 호승심 : 호전성과 조합해서 폭딜을 넣을 수 있게 된다. 대신 근접전 전문가로 발동하는 경계사격은 치명타가 뜨지 않는다는 게 단점.
- 반응성 목표 센서 : 엑스컴에서 손꼽히는 잉여스킬 2.
- 약점 조준 :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이쪽도 좋다. 깡뎀이 오르면 치명타 피해도 오른다.

  • 상사
런 앤 건을 활성화한 턴에서 돌진 후에도 사격이나 경계를 선택 가능합니다. 2턴이 지나면 다시 사용 가능합니다.
런 앤 건
하나의 목표에 대해 빠르게 두 번 연사합니다. 각 사격 당 -15 명중률 패널티를 부여합니다.
속사
이 유닛에 들어오는 데미지는 크면 클수록 많이 줄어듭니다. (이동 -1)
흡수장

- 런 앤 건 : 좋은 선택이 아니다. 머라우더는 돌진해서 한대 치고 반드시 빠져 나오지 않으면 위험하다.
- 속사 : 가깝고도 먼이 있어서 이동 후 3연사를 쏠 수 있다. 크리티컬 극딜 빌드라면 직접공격이 중요하므로 이쪽이 좋다. 다만 확실히 속사가 필요하다는 확신이 선 후에 한해서 조심스럽게 사용하지 않으면 앗 하는 사이에 머라우더가 죽어버리니 주의.
- 흡수장 : 밀폐코어와 조합하면 2대 정도는 맞아도 멀쩡하니 소수의 적을 상대로 공격적인 운용이 가능해진다. 물론 그 이상의 탱킹은 무리이다.

2.2 발키리

보병 파생병과. 직접사격에 특화되어 있다. 중요한 딜스킬이 모조리 탱킹스킬과 겹치는데다 분대시야가 없어서 극단적인 유리대포가 된다. 최전방에서 맞다이를 해야 하는데 탱킹능력이 전무한 셈. 따라서 연막과 보조장비로 방어를 올려서 어그로를 다른 쪽으로 돌려야 안정적으로 쓸 수 있다.

계급HP 상승치HP 누적명중 상승치명중 누적의지 상승치의지 누적
이병11332~32~3
일병01362~34~6
상병12392~36~9
병장023122~38~12
하사133152~310~15
중사033182~312~18
상사143212~314~21
  • 이병
첫 행동에 사격을 하여도 턴이 끝나지 않습니다.
총알 세례

- 총알 세례: S급 스킬. 보병과는 달리 막강한 MEC 주무기를 쓰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 일병
주무기, 로켓 발사기 및 MEC보조무기가 1의 추가 데미지를 줍니다.
레인저
0.5 DR 보너스를 받습니다.(공격을 받았을때 1의 데미지를 50% 확률로 무시합니다) 그리고 경계 사격을 쏘기 전까지 +15 방어 보너스를 부여합니다.
자동 위협 측정
적이 엄폐물에서 강제로 벗어나게 합니다. 명중시키기 쉬우나 낮은 데미지를 줍니다.
엄폐 해제 사격

- 레인저 : 1밖에 안되긴 하지만 데미지 증가는 항상 소중하다.
- 자동 위협 측정 : 잉여스킬이다.
- 엄폐 해제 사격 : 개피인 적을 마무리하거나 대전차탄을 찍고 드론을 격추하는 용도로 쓸 수 있지만 이미 적중이 충분히 높은 발키리에겐 필요없는 스킬이다.

  • 상병
행동하지 않고 사격하면 +10 조준 및 +10% 치명타율 보너스를 받습니다.
플랫폼 안정성
탄약이 충분할 경우, 턴마다 유닛을 공격하는 첫 번째 적에게 자동으로 사격합니다.(조준 +2), (의지 +2)
반응성 목표 센서
경계 상태 중에서 반응 사격이 명중되면, 다음 반응 사격이 발동됩니다. 최대 3번까지 발동합니다. (조준 +3)
신속 대응
  • 플랫폼 안정성: 말뚝딜을 하는 발키리와 잘 맞는다.
  • 반응성 목표 센서: 잉여스킬 2번째. 제대로 나가는 경우도 얼마 안되지만 그나마도 적 공격 후에나 나가서 엄호사격보다 훨씬 가치가 떨어진다.
  • 신속 대응 : 엄호사격이 없는 발키리는 움직이는 적에게만 경계사격을 날릴 수 있는데 그 적이 예리한 반사신경을 가진 분대장급 외계인이라면?
  • 병장
주무기의 장탄수를 1증가시킵니다. 첫 행동으로 주무기를 재장전하면 턴이 끝나지 않습니다.
락 앤 로드
주무기가 로봇 유형의 적에 대해 DR을 제외한 50% 추가 데미지를 줍니다. 샷건류 주무기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대전차 탄
명중된 모든 적은 다음 4턴 동안 모든 공격에 대해 받는 데미지가 증가합니다. 로켓병은 추가 파쇄 로켓을 얻지만 기관총병은 파쇄탄을 장전합니다. 파쇄 로켓은 일반 로켓보다 약하고 엄폐물을 관통할 수 없습니다.
파쇄탄

- 락 앤 로드 : A급 스킬이지만 하필 이 위치에 있는 것이 문제.
- 대전차 탄 : 기계 처리 요원으로는 속사찍은 기관총병이 최고지만 발키리도 나쁘지 않다.
- 파쇄탄 : 각종 보스급 외계인들을 상대로 필수적인 스킬이다.
특수탄은 분대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 하사
+10 치명타율 보너스를 받고 완전 엄폐상태의 적에대해 +10 조준 보너스를 받습니다.
명사수
반응 사격의 조준 패널티가 사라지고, 반응 사격으로도 치명타 발생이 가능합니다.
기회주의자
이 유닛이 데미지를 입으면 다음 2턴에서 받는 모든 추가 데미지가 1또는 2만큼 감소합니다.
데미지 컨트롤

- 명사수 : 무난한 선택이다.
- 기회주의자 : 명사수 대신 이걸 찍고 간간히 경계해주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발키리는 이동 후 폭딜을 하는 멕이 아니기 때문.
- 데미지 컨트롤 : 발키리는 흡수장을 안 찍기 때문에 지속적인 탱킹이 불가능하다.

  • 중사
대부분의 엄폐물을 파괴하고 유효한 모든 적에게 34% 데미지를 입히는 범위 공격입니다. 이 공격은 치명타를 입힐 수 없습니다.
부수적 피해
시야에 있는 적 하나당 +10% 치명타율이 증가합니다. (최대 +30%) 분대시야로 보이는 외계인은 제외됩니다.
호전성
턴이 시작될 때마다 받은 데미지의 50%를 수리합니다(턴당 최대 2). 아이콘 값이 수리의 남은 부분을 나타냅니다. 완전히 수리가 끝나기전에 받는 추가적인 데미지는 수리할 수 있는 양을 줄입니다.
서보 수리

- 부수적 피해 : 탄약의 낭비이다.
- 호전성 : 적을 시야에 두고 싸우는 발키리를 위한 스킬이다.
- 서보 수리 : 의미없다. 집중사격을 당하면 효과가 없고 1대만 맞았다면 메디킷을 써주면 그만이다.

  • 상사
해부한 종류의 인간이나 외계인 목표에 입히는 데미지가 주무기가 2데미지, 보조무기가 1데미지 추가됩니다.
약점 조준
하나의 목표에 대해 빠르게 두 번 연사합니다. 각 사격 당 -15 명중률 패널티를 부여합니다.
속사
이 유닛에 들어오는 데미지는 크면 클수록 많이 줄어듭니다.
흡수장

- 약점 조준 : 유일한 선택이다.
- 속사 : 총알세례와 겹치는 시점에서 이미 존재가치를 상실한다.

- 흡수장 : 이 스킬이 하필 여기에 있기 때문에 발키리를 안정적으로 쓰는 것이 어렵다.
  1. 체력10 에 턴당 체력을 3 회복하는 아웃사이더(...)
  2. 샷건은 소총류보다 근거리 명중율이 좋고 크리티컬+기본 데미지가 약간 우수하기 때문에 외계인 진영의 물량 러시를 막거나 코너를 틀어막아 측면 우회를 미연에 방지하는데도 유용하며, 우회공격이 들어올 때도 소방수 역할로 긴급하게 상황정리를 할 때 유용하다.
  3. 예리한 반사신경이 최종 습득 스킬로 옮겨가서 전방 배치의 이점이 많이 줄었다.
  4. 때문에 롱워에서 안정적인 전술은 무조건 분대시야 저격 풀링으로 1무리씩 꼬셔와서 보병을 위시한 경계사격 전문가들이 잘라먹고 나머지를 저격수나 크리보병 등등이 처리하는 것이다.
  5. 세컨드 웨이브의 잠재력 적용 시, 의지는 표기된 범위내에서 랜덤하게 오른다. 예외적으로 사이오닉 병사는 항상 최대 상승치를 얻는다.
  6. 사이오닉 혼란을 제외한 모든 혼란에 면역.
  7. 곱연산으로 적용된다.
  8. 간단히 말하면 DR +1.5. 50% 확률로 1, 50% 확률로 2의 데미지를 감소시킨다
  9. 최종 명중률에 곱한다. 따라서 100% 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0. 대위 스킬로, 장교와 12칸 이내에 있는 아군의 엄폐 DR을 2배(반엄은 0.66->1.33, 완엄은 1->2)로 한다.
  11. 원작 중화기병의 총알 세례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