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모드/환경

1 기본 환경 관련 모드

1.1 Enhanced Dynamic Weather System - EDWS

날씨 모드로 설치법도 매우 간단하고 충돌도 거의 없다. NMM으로 설치하는 것을 추천하며 설치 시 호스마냥 365일 내내 눈이 내리게 할 것인지, 아님 비가 내리게 할 것인지, 그것도 아님 매일매일 모래알이 반짝이도록 할 것인지 설정할 수가 있다. 물론 디폴트 값은 밸런스를 맞춰서 적절히 날씨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부가 모드인 More Rain이나 More Snow를 설치하면 정말 무지막지하게 쏟아붓는 비와 눈을 체험할 수 있다. 그리고 느껴지는 군대의 추억

넥서스 링크

1.2 Wet and Cold

PC나 NPC가 환경에 대해 현실적으로 반응하게 되는 환경 모드다. Winter is Coming(망토 추가 모드)와 호환되며, FrostFall 모드와의 궁합이 절묘하다고 평가된다.

  • Wet
캐릭터가 물에 들어갔다 나오거나 비를 맞게 되면 몸에서 물방울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비가 내리면 NPC들은 자동적으로 두건을 착용하거나 우산을 사용하고, 일하지 않는 NPC는 집 안으로 피신한다. 단, 설정상 습기와 물을 좋아하는 아르고니안은 두건을 쓰지 않는다.
  • Cold
추운 지방이나 눈이 오는 곳에서는 캐릭터의 몸에 서리가 끼며, 속도가 저하된다. 눈보라가 일면 속도는 더욱 저하된다. 추운 지방의 캐릭터들은 두건을 쓰고 망토를 두르고 신발에 설피(눈신발)을 착용하며, 입에서 입김이 나오게 된다. 단, 노드들은 밤에만 두건을 착용한다. 또한 설정하기에 따라서, 눈이 세차게 올 경우 눈 앞이 깜깜해지거나 잠깐잠깐 흐려지게도 할 수 있다.
  • Ashes
DLC 드래곤본에서 먼지가 흩날리는 지방인 솔츠하임이 추가되자, 애드온으로 내놓은 먼지 모드. 먼지가 극심할 때 NPC들이 마스크나 고글 등을 쓰게 만든다.

복잡한 기능의 모드도 아니고, 모더가 직접 스팀 워크샵에 올려놓은 덕분에 구독을 통해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초기에는 입김이나 눈이 덮히는등 간단한 이펙트만 적용되다가, 후에 모드가 거대해지면서 각종 문제가 있다. 사양이 넉넉하고 모드수가 몇개 없는 클린한 유저에게는 해당되지 않겠지만, 다른 모드들과 충돌하거나, CTD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거나, 세이브 파일 크기가 커지는등의 문제가 생긴다. 자신의 사양이 부족하다고 생각될 경우에, wet and cold 처럼 기능이 많고 무거운 모드보다는 get snowy 같은 몸에 눈만 덮히는 정도의 가벼운 모드를 사용하는것을 추천. get snowy 모드로 말하자면, wet and cold 처럼 입김이나 물에서 나올때 젖은 물방울이 떨어지거나, npc 들의 복장 설정 같은 많은 기능 없이 눈이 몸에 덮히는 효과만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볍다.

스팀 모드 유료화 사태 당시 가장 먼저 유료화한 모드 중 하나로, $4.99로 유료화되었지만 워크샵에 유료로 게시된 지 하루만에 DMCA, 즉 디지털 미디어 저작권법 위반으로 게시가 중지되었다. 모더 중 초기 이탈자로 유저들에게 배신자라며 욕은 바가지로 먹은 결정이었는데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잃은 셈. 사실 스카이림 모드 중 스탠드 얼론으로 작동하는 건 거의 없고, 적든 많든 소스의 공유는 있기 마련이니 모드 유료화 정책이 철회되지 않았다면 벌어졌을 아비규환의 시사회였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1.3 Wonders of Weather

64941-1-1429563376.png

Wet and Cold의 제작자가 새롭게 내놓은 환경 모드. 이전 제작되었던 Splash of Rain이 2015년 4월 21일부로 지원을 중단하면서 새로 개발되었다. 간단히 말해서, 비가 올 때 땅에 물이 튀기는 효과를 비롯해 날씨와 연계되는 효과를 추가시켜 준다. 기존에 지원하던 물이 튀기는 효과뿐만 아니라, 밤하늘에 유성이 지나가기도 하며 매년 일정한 날마다 유성우가 떨어진다. 아침에 비가 그치면 무지개도 생기는 기능 또한 추가되었다.

넥서스 링크

2 광원 효과 관련 모드

2.1 Enhanced Light and FX

배포 초기부터 엄청난 인기를 끌며 2014년 9월까지 업데이트가 지속된 모드. 2.0 기준으로 모든(!) 실내의 광원을 현실적으로 조정한다. 현실적이라는 말 그대로, 빛은 무조건 광원이 있어야만 생성되며, 기존 스카이림 실내의 광원을 찾을 수 없는 빛같은 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1] 그림자를 생성하는 광원이라면, 스크린샷에서도 볼 수 있다시피 아주 현실적인 그림자를 볼 수 있다. 프레임 드랍은 거의 없지만 SMIM을 설치했다면 프레임 드랍이 심해질 수 있으며 관련 패치도 있으니 두 모드를 같이 쓰는 사람은 패치를 받는 게 좋다.

가끔씩 ENB와 충돌을 일으켜 빗물 효과 그래픽이 깨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럴 경우에는 스카이림 설정에서
[RAIN]
IgnoreWeatherSystem=false
Enable=false
EnableAntialiasing=false
EnableSupersampling=false
MotionStretch=0.5
MotionTransparency=0.55
로 수정하면 해결된다. 참고자료

2.2 Realistic Lighting with Customization

빛을 현실적으로 조정해 주며, 사용자의 커스텀마이제이션이 가능하게 해주는 모드. 넥서스 링크는 죽었지만 어차피 대부분의 ENB 모드에서 포함하고 있으므로 특별히 신경 쓸 필요는 없어 보인다.[2]

2.3 RCRN

다운로드
충돌 모드 확인

Realistic Colors and Real Nights. 광원 효과를 트윅하여 더 실감나는 환경을 제공하는 모드. HDR그래픽 효과를 트윅해주는 기능이다. 비슷한 역할을 하는 ENB와 호환되며 자체 런쳐를 가지고 있어서 사용하기도 편리하다.[3] NVIDIA 옵티머스 그래픽 카드의 경우 호환 패치를 따로 제공하는 정성도 보인다. 그야말로 광원 효과를 거의 새로 구현한 모드. 애초에 모드 설치법도 esp파일을 가져오는 게 아니고 실행 파일로 설치할 정도로 방대한 용량을 자랑한다.

일반 광원효과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내부 조명, 안개 그래픽 확장 등 여러 가지를 건드리므로 당연히 충돌나는 모드가 상당히 많다.

3 ENB 관련 모드

http://enbdev.com/

러시아 출신 개발자 보리스 보론초프(Boris Vorontsov)가 개발한 화면 효과 추가 애드온이다. d3d9 바이너리를 활용하여 만들었으며, 스카이림 뿐 아니라 다른 게임에서도 쉽게 여러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제작자가 넥서스와 불화를 겪어서 핵심파일인 d3d9.dll 파일은 보론초프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야 한다. 넥서스에서 공유되는 ENB 프리셋들은 이 기본 dll 파일을 베이스로 유저들이 커스터마이징한 값을 저장한 것이다.

3.1 RealVision ENB

다운로드

이름처럼 굉장히 리얼해보이는 화면 효과를 구현해준다. 다만 실제 현실 풍경보다 좀 화려한 감이 있다.

3.2 한국 유저들의 ENB 프리셋

국내에서도 코난왕, Bear 등의 유저가 ENB 프리셋을 배포하고 있다. 해당 문서 참고.

4 텍스처 및 메쉬 수정 모드

4.1 Bellyaches Animal and Creature Pack

말 그대로 등장 동물들을 위한 텍스처, 모델 팩으로 동물마다 몇가지씩의 텍스처가 제공된다. 설치시에 바닐라와 가장 가깝게, 제작자의 선택, 동물마다 텍스처를 직접 고르는 커스텀 셋 중 하나를 골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늑대인간의 외모도 변한다.

4.2 Visible Windows

다운로드

밤에 창문이 아름답게 빛나도록 해주는 모드로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스카이림의 야경이 멋져 보이도록 만드는 데에 한 몫하고 있으며, NMM으로 설치하는 것을 추천한다.

설치 시 각 도시 건물 창문들의 색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색깔이 한정되어 있다.

4.3 SMIM

Static Mesh Improvement Mod. 메쉬를 현실적으로 수정해 준다. 제작자 양반이 하라는 퀘스트는 안 하고 스카이림 구석구석을 뚫어져라 관찰하고 다니는지 별의 별 쓰잘데기 없는 부분의 메쉬 오류까지 죄다 고쳐 놨다. 심지어는 어떤 부분은 여기에서 수정했다고 하기 전까지 그런 것이 있었는지도 몰랐을 정도. 지젼 거기에 그 노가다노고를 인정받아 모드제작자로서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영광 중 하나라고 불리는 FOTM(File Of The Month)와 Top Files에 올랐다.

이 모드를 사용할 거라면 다른 리텍 모드를 깔기 전에 먼저 선행해놓자.[4] 단 모드 제작자가 3개 정도 이걸 깔기 전에 미리 선행하라는 모드를 적어놨는데 그건 먼저 깔고 깔아야된다. 텍스쳐도 수정해주는데 깔끔하고 심플한 맛이 독특하다고 한다. 근데 위의 모드나 해당 모드나 눈이 세심하지 않은 사람들에겐 설치하는 보람이 없다. 자매품으로는 음악 파일의 음질이 좋든 안 좋든 다 똑같이 들리는 사람들이 있다

이 모드의 무서운 점은 바로 업데이트. 2014년 8월에 1.74 버전. 2015년 6월 1일에 1.77 버전. 2015년 6월 15일에 1.8 버전. 2016년 8월 10일에 1.94 버전이 올라오는 등 정말 꾸준히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4.4 Skyrim HD

다운로드

메쉬계에 SMIM이 있다면 텍스쳐계에는 Sky HD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모드. 거의 모든 텍스쳐를 고퀄로 수정해준다.그만큼 강력 추천되는 모드지만 대신 무겁다.메이지가 얼굴에 불길이라도 쏘는 순간엔 무거운 게 부담되는 유저를 위해 LITE 버젼이 따로 있다. 베데스다에서 배포하는 고해상도 텍스쳐 DLC와 호환되며 도시, 지형, 던전 등등 파일을 텍스쳐 종류별로 나누어 놨으므로 꼭 전체를 다 받을 필요 없이 기호에 따라 원하는 텍스쳐 파일을 받아 적용하면 된다.

2015년 9월에 1.7이 새로 나왔다.

5 소리 관련 모드

5.1 Sounds Of Skyrim

오블 때부터 꾸준히 사랑받아 온 역사와 전통의 환경음 개선 및 추가 모드. 일명 SOS.

오블리비언 당시 배포됐던 Sound Of Oblivion과 마찬가지로 던전, 황야, 마을, 그 중에서도 길거리와 실내 등등 각각 나뉘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쓰고싶은 것만 쓸 수 있도록 배포되고 있다. 특정 위치에 해당되는 모드를 깔면 오블리비언과 마찬가지로 배경 음악을 제외하곤 텅텅비어 생동감이 느껴지지 않는 편인 스카이림의 환경에 여러 종류의 SFX가 추가되어 귀를 즐겁게 해준다.

당장 던전만 언급해봐도 바닐라에서는 기껏해야 물방울 떨어지는 소리와 바람 지나가는 소리 밖에 들리지 않지만, 던전 버전 SOS를 깔면 짐승으로 추정되는 무언가가 으르릉대는 소리나 돌이 굴러 떨어지는 소리 같은 것들이 추가되어 정말 괴물들이 서식하는 동굴을 돌아다니는 것 같은 현실감을 선사한다. 이 외에도 마을이면 마을, 황야면 황야할 것 없이 그런 지역을 돌아다니다보면 당연히 들릴 법한 소리들이 대거 추가된다.

다만 명백하게 사운드 FX만을 건드리는 모드임에도 불구하고 어째서인지 각종 광원 개선 모드들과 충돌을 일으키기 때문에, 각각 모드들을 검색해 호환 패치를 다운받아 설치 및 활성화를 해야만 할 필요가 있다.

덧붙여 오블리비언 당시의 Sound of Oblivion과는 달리 컴퓨터에 가하는 부담이 상당히 큰 편이라, 사양이 비교적 좋지 않은 컴퓨터에서 적용했을 경우 사운드와는 관련 없는 다른 스크립트들이 죄다 밀려서 출력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들이 생긴다. 사양에 썩 자신이 없는 플레이어들은 가능하면 사용을 지양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5]

5.2 Audio Overhaul for Skyrim 2

넥서스 링크
바닥과 신발의 재질에 따른 발자국 소리 다양화, 메아리 효과 등 다양한 기능이 있으며, 전반적으로 스카이림의 모든 소리를 강력하고 현실적으로 만들어 준다. 2015년에도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다. 유일한 흠이라면 소리를 전반적으로 뜯어고치므로 Sounds of Skyrim 등등 온갖 모드에 각각 호환패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심지어 ELFX 처럼 소리 모드가 아닌 것에도. 다행히도 업데이트를 통해 제작자가 스마트 인스톨러를 만들어서 자동으로 설치된 모드를 인식해 주기 때문에 매우 설치가 편리해졌다. 제작자의 말에 따르면 넥서스 endorse를 최고로 많이 받은 모드 100위 안에 들어간다고 한다.
소리 모드이니만큼 직접 듣는 것이 감이 잘 올 것이다. Gopher의 시연영상. 폭발 마법에 간지가 철철 포병대가 되어 보자

5.3 Dragon Shout with Voice

게임을 하면서 용과 싸우다 보면 드래곤이 포효를 쓸 때 "Yol..." "Tor... shul!" 등의 자막이 나오지만 정작 대사는 나오지 않고 대충 비슷한 울음소리만 내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한 플레이어가 많을 것이다. 그런데 모더들이 게임 파일을 뜯어 본 결과, 사실은 드래곤이 용언을 외치는 미사용 대사 파일이 존재한다! 심지어 알두인파르쑤르낙스는 각자의 성우가 녹음한 전용 대사까지 있다. 그 대사들을 사용해 만들어진 것이 이 모드로, 이 모드를 사용하면 드래곤들이 단순히 덩치 큰 도마뱀이 아니라 정말로 말을 하는 지성체라는 느낌이 강하게 와닿는 편이라서 인지도는 의외로 낮지만 평가가 아주 훌륭하다. 다만 일부 포효는 대사가 녹음되어 있지 않아서 드라우거의 음산한 포효를 갖다붙였다는 것이 사소한 단점.(…)

*

5.4 Heart of the Beast - Werewolf Sound and Texture Overhaul

바닐라 상의 다소 밋밋한 감이 있는 늑대인간의 외모와 음성, 효과음 등을 전반적으로 살벌하게 개선하는 모드. SOS를 포함한 사운드 개선 모드 전반에서 1위인 SOS 바로 다음에 위치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있는 모드다.

외모 텍스쳐 변환부터 언급하자면 전반적으로 흐리멍텅한 색상의 늑대인간들을 또렷한 칠흑빛으로 변경하며, 눈동자 색 역시 채도를 높여 상당히 인상적인 선명한 눈빛으로 변화한다. 거기에 변경된 사운드들은 그야말로 무서움을 느낄 정도로 살벌한데, 모드를 오랫동안 사용해온 사람이 아니라면 늑대인간이 한번 출몰해 함성을 지를 때마다 깜짝깜짝 놀랄 정도(...). 단순히 울음 소리만이 아니라 공격음과 킬무브 효과음 전체가 다 변화하는데, 가장 살벌한 버전을 다운받으면 바닐라 상의 그냥 찰흙을 헤치는 것 같은 소리에서 정말 고기를 찢어발기는 것 같은 선명한 파열음과 함께 뼈 부러지는 소리까지도 들리게 변화한다. 이런 장르에 익숙한 플레이어가 아니라면 감탄하면서도 공포를 느낄 지도...

그렇다 보니 그야말로 늑대인간을 Bad Ass하게 만드는 모드라는 평. 살벌함(...)을 유저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살벌한 정도에 따라 몇 가지 버전을 함께 배포하고 있다.

5.5 "Dovahkin" by Lindsey Stirling for the main menu

모드 추천란에 왠 노래 제목이 나왔는지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 이 모드는 메인 메뉴의 배경음악을 새로운 모습으로 어레인지 시켜주는 모드다, 스팀에 검색하면 나오니 검색해보자.
스팀 워크샵

노래가 굉장히 듣기 좋다. 한번 들어보자. 처음 부분에 설명이 나오는데 오로지 이 두 사람의 보컬과 바이올린만으로 연출했다고. 보컬인 피터 홀렌도 바이올린의 린지 스털링도 이쪽 어레인지로는 꽤 알려져있고, 이들과 콜라보레이션하는 다른 아티스트들도(Alex Boye등등) 능력자들이 많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모드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따라서 수많은 스카이림 유저들을 설레게 했던 스샷의 장소인 파렌가 방의 지도 앞은 더 이상 스샷용 장소가 아니게 된다...
  2. 다만 예외로 옵블 ENB가 있으며, 해당 모드가 깔려 있다면 꼭 미리 삭제해달라고 제작자가 강조한 바가 있다.
  3. 이 자체 런처에서 ENB 설치를 관리해준다.
  4. 물론 위의 Sky HD도 마찬가지다.
  5. 사실 예상한 것보다 사양을 훨씬 많이 먹는 모드라는 것도 문제이나, 이 모드가 갖는 특성 탓이 더 크다. 그것은 바로 추가되는 효과음들이 그냥 생기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발생시키는 불가시의 오브젝트가 셀수없이 많이 맵 상에 추가됨으로서 그것이 해당 소리를 출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플레이어의 눈에 보이는 NPC들의 수가 십수명 밖에 안될 지 몰라도 이 모드를 작동시킨 상태라면 눈에 보이지 않는 오브젝트들까지 합세해 실질적인 메모리 소모량은 NPC가 2~3배 되는 수준을 소모하게 되기 때문에 CTD나 프리징이 그만큼 쉽게 터질 수밖에 없다. 거기다 이것들이 모두 스크립트로 생성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무턱대고 모드를 삭제할 경우 스크립트 오류들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기까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