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부

1 王符

(83 ~ 170)

후한 말의 인물. 자는 절신(節信).

안정 임경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지조가 높았으며, 마융, 두장, 장형 등과 친했다. 당시 안정의 풍속에는 서얼을 하찮게 여겼으며, 왕부는 외가도 없었고 지방 사람들의 천대를 받았다.

당시 왕부는 천거되었지만 왕부는 은거해 당시의 정치, 도덕의 장단점을 지적하는 30여 편의 책을 지었고 이름을 밝히기 싫어서 이를 잠부론이라 했다.

후에 황보규가 관직에서 해임되어 고향으로 돌아가 뇌물로 안문태수를 얻은 자가 명함을 내밀고 찾아오자 누운 채로 제 때에 일어나지 않고 군에서 기러기를 먹었는데 맛있냐고 물어 뇌물로 안문태수를 얻은 것을 비꼬았다. 잠시 후 왕부가 문에 있다고 하자 황급히 일어나 허리띠도 두르지 못하고 신발을 끌고 나와서 손을 잡아 끌고 들어와 앉았는데, 극진하게 이야기를 나누다가 작별했다.

당시 사람들이 이를 두고 봉천 2천 석의 벼슬 아치를 만나는 것이 일개 유생을 만나는 것만 못하다고 했으며, 왕부는 끝내 벼슬을 하지 않고 죽었다.

2 王裒

(? ~ 311?)

삼국시대, 서진 시기의 인물. 자는 위원(偉元). 왕의의 아들.

성양 영릉 사람으로 아버지 왕의가 252년의 동관 전투에서 책임을 묻는 일로 사마소에게 살해당하자 왕의가 비명에 죽은 것을 애통하게 여겨 숨어 살면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살았으며, 조정에서 3번, 군국에서 7번을 불렀지만 사양했다. 아버지 묘 옆에서 오두막집을 짓고 살아 밤낮으로 항상 묘소에 절하면서 꿇어 앉아 잣나무를 붙잡고 울었는데, 눈물이 나무에 닿으면 나무가 말라죽었다.

시경을 읽다가 육아 편의 "애닯고 애달프다, 우리 부모님이여! 나를 낳으심에 수고로우셨네."라는 글귀에 이르면 세 번을 반복해 눈물을 흘리지 않은 적이 없었으며, 이로 인해 제자들은 육아 편을 빼고 읽지 않았다.

집이 가난해 몸소 농사를 지으면서 식구 수를 계산해 밭을 갈고 옷 입을 사람을 헤아려 누에를 쳤으며, 몰래 도와주는 사람도 있었지만 왕부는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다. 진나라가 건국되자 왕부는 평생 궁궐이 있는 서쪽을 향해 앉지 않는 것으로 지나라에 신하 노릇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보였다.

311년에 영가의 난으로 낙양이 함락되었고 친척들은 모두 강남으로 피난했는데, 왕부는 무덤을 지키다가 난리에 휘말려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