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브론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프로필
이름유브론(Eubulon)
성별남성
연령불명
주요 출연작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
인물 유형조력자
변신체어드벤트 마스터
변신 타입유사 라이더
첫 등장Advent Master Returns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 32화)[1]
배우마크 카스코스
일본판 성우코야마 츠요시[2]

1 개요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의 등장인물. 어드벤트 마스터로 변신하는 인물이다. 라이더 시스템 제작자라는 점에서 카가와 히데유키가 연상된다.[3]

2 작중 행적 및 여담

일찍이 벤타라에서 가면라이더 시스템을 개발한 과학자로 통칭 어드벤트 마스터라 불린다. 라이더 시스템의 창시자답게 라이더로서의 실력은 최상급.[4]

제이비엑스와는 같은 종족의 외계인이며, 여러가지 평행 세계를 왕래할 수 있는 워프 장치를 개발했다. 그 후 제이비엑스와 사상의 차이 문제로 결별해 벤타라로 이주했다. 제이비엑스가 처음 벤타라를 침공했을 때에 어드벤트 카드를 개발해 제이비엑스에 대항하려고 했으나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벤트되었고 하필이면 1947년 뉴멕시코주 로스웰로 날아가 버렸다.

그 후 정부에 의해 회수되어 61년간 냉동 보존되고 있었다가 렌에 의해서 깨어나 반제이비엑스 진영의 지휘를 맡게 된다. 유일하게 어드벤트 공간을 왕래할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벤트 된 사람들을 구출할 수 있었지만[5][6] 이번에는 하필이면 이전에 있었던 제이비엑스와의 싸움으로 카드덱이 손상되어 버리는 바람에 킷과 케이스, 그리고 몇몇 벤타라 출신 라이더들을 구출한 직후에 카드덱이 고장(...)나서 모두 구하지는 못하게 된다.

이후 최종결전시에는 카드덱을 수리하여 모든 라이더를 구출하여[7] 제이비엑스와 최후의 결전을 펼친다.

특징으로는 모든 카드덱을 만든 사람이기 때문에 카드 덱 정보를 고쳐 쓸 수 있어 과거 가면라이더로 활동한 인물의 데이터를 현재의 가면라이더 사용자에게 전송 시켜 전투 미경험자라도 라이더로서 활약시킬 수 있다. 여성의 음성이었던 원작과 달리 바이저의 음성은 다른 라이더와 같다. 또한 액셀 벤트는 스피드 벤트로 변경되었다.
  1. [1]
  2. 가면라이더 오딘의 성우이다.
  3. 한편으로는 칸자키 시로가 선한 인물이었다면 이러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애초에 성우가 원작에서 최종보스이자 최강자인 캐릭터의 성우다.
  4. 대련에서 렌이 한번도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 평소 렌이 보여준 실력을 생각해보면...
  5. 사실 이게 벤트의 존재 이유다. 라이더들이 큰 상해를 입기 전에 어드벤트 보이드로 보내서 강제 후송시키는 것. 쉽게 말해 최소한의 안전장치라고 보면 된다. 원작에선 심한 부상이 죽음으로 이어진 것을 생각해보면 상당히 인도적인 처사다.
  6. 애초에 원작의 라이더 시스템은 최후의 1인이 나올 때 까지 싸우고 죽이는 것이지만 본작의 라이더 시스템은 초기엔 외계인의 침략으로부터 세계를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라이더 시스템이 제이비엑스에 의해 배틀 로얄로 변질된 이후에도 라이더들이 어드벤트 보이드로 전송될 수 있었던 것. 다만 라이더 배틀 당시에는 이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어드벤트 보이드로 전송된 상대를 구출할 방법이 없는 것처럼 보였을 뿐이다.
  7. 최종 전투 당시에는 벤타라 출신의 초대 라이더들만 구출되었지만, 이후의 상황으로 봤을 때 지구 출신의 2대 라이더들도 전원 구출된 것으로 보인다. 안그러면 지구인 라이더들은 평생 이공간에 갇혀 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