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교

잠수교
潛水橋

1 일반적인 의미의 잠수교

24153142000_60500140.jpg

홍수 때에는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낮게 가설한 교량으로 하천관리의 측면에서는 장애물이 되며, 바람직하지 않으나 가설공사비가 절감되기 때문에 시골의 작은 하천에는 비교적 많다. 서울특별시 한강반포대교 1층의 잠수교는 좋은 예로, 지금은 그 위에 다시 교량을 가설하여 2층 교량으로 되어 있다. 물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떠내려오는 물건이 걸리지 않도록 난간을 설치하지 않는다.[1] 관광유원지에서의 가교(架橋)는 경관을 해치지 않는 의미에서, 영구구조의 잠수교를 생각할 수도 있다. 보통 주요 도로에는 잠수교를 사용하지 않는다.

시골의 잠수교는 흔히 '공굴다리'로 불리는데, 이 항목 윗부분의 사진과 비슷하게 생겼다. 그런데 공굴다리는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콘크리트 형교(교각 위에 상판을 올린 형식)가 아니라, 바닥과 상판 교각까지 일체형인 라멘식 교량이 대부분이다. 왜냐하면 형교의 경우 대개 교각과 교각 사이의 경간을 지탱하는 지판이 다른 교량처럼 교각에 리벳 등으로 접합되어 있는 게 아니라, 지판에 쓰인 콘크리트 자체의 하중으로 버티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2], 이 형식의 경우 홍수가 나서 잠기게 되면 센 물살이 교량을 들어올려 무너뜨려버리기 때문. 지리산 폭우 참사 당시 시골의 동구 밖에 가설된 (잠수교가 아닌) 형교들이 대부분 이런 식으로 작살났다.(...)#일본의 비슷한 사례 사진

2 서울 용산구서초구를 잇는 잠수교

반포대교와 복층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포대교 항목 참조.
  1. 서울 잠수교의 경우 난간을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2. 즉 무거운 돌덩이를 올려놓았으니 아래로 내리누르는 힘이 좌우로 흔들리는 힘보다 커서 버티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