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국의 클래식 음악인. 사라 장(한국명 장영주)과 더불어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2세대 주자의 대표적인 인물이다.[1]
본래 첼리스트로서 명성을 얻었지만, 최근 수년 동안은 지휘자로서의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2 상세
2.1 첼리스트로서
1982년 12월, 경기도 수원시에서 태어났다. 3세 때인 1985년 피아노를 배우면서 음악을 시작했지만, 3년 후 첼로로 바꾸었다. 이를 두고 장한나는 "피아노는 너무 커서 가지고 다닐 수도 없으며 페달을 밟고 싶을 때 밟을 수도 없었다. 이건 내 악기가 아니라는 걸 알았다"고 회고했다.
첼로 공부를 시작한 지 4년만인 10세때 1992년 <월간음악>이 주최한 전국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듬해 미국 뉴욕의 명문 연주학교 줄리어드 음대에 특별 장학생으로 입학했다. 1년만인 1994년 제5회 로스트로포비치 첼로 콩쿠르에서도 최우수상을 차지하여 국제적으로도 알려지기 시작했다.[2]
(로스트로포비치와 함께 이게 벌써 20년 전 사진이다. 시간 참 빠르다
1995년에는 영국의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통해 데뷔 앨범을 제작했고, 같은 시기에 역시 세계적인 첼로 거장 미샤 마이스키를 사사했다. 1997년부터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세계 유수의 관현악단과 차례로 협연하며 일약 세계적인 연주자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장한나의 데뷔 초기 영상. 곡명은 하이든의 <첼로 협주곡 C장조>
비교적 근래의 연주 영상. 곡명은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중 '백조'
2.2 지휘자로서
2001년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고, 꾸준히 성공적인 첼로 연주자의 커리어를 지속하다가, 2007년 지휘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지휘자로서의 스승은 뉴욕 필하모닉의 지휘자로 유명한 로린 마젤. 지휘자로 입문한 계기에 대해서는 "첼로로 연주할 수 있는 곡의 수는 제한적인데, 나는 더 많은 음악들을 해보고 싶다. 보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라고 설명했다.
2007년 성남아트센터에서 열린 제1회 성남 국제 청소년 관현악 축제의 마지막 날 연주를 통해, 지휘자로서 첫 공식 데뷔했다. 2년 후인 2009년부터는 매년 여름, 성남아트센터에서 청소년들로 구성된 관현악단이 연주하는 <앱솔루트 클래식> 페스티벌을 지휘했다.[3]
2014년 9월 BBC 프롬즈에서 카타르 필을 지휘하는 모습. 곡명은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 제5번 E단조>
2013년 카타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로 취임하고, 이듬해에는 영국 BBC 프롬즈에도 초청받는 등 지휘자로서도 순풍을 타는 듯 했지만... 프롬즈 기간 중인 2014년 9월에 돌연 사임했다.[4] 이후의 행적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유럽의 몇몇 관현악단에서 객원 지휘자로 활동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2016년 3월 노르웨이의 트론헤임 관현악단의 상임 지휘자 겸 음악감독이 되었다.[5] 계약 기간은 2017-18 시즌까지다. 이로써 카타르 필 사임 이후, 한동안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지휘자로서의 커리어에 다시 활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3 트리비아
갈수록 헤어 스타일이 단발화되고 있다. 첼리스트 시절에도 길지 않은 편이었지만, 지휘자 활동에 주력하고 있는 지금은 거의 보이시 스타일로 고정된 듯한 인상.
- 이동 ↑ 여기서 1세대는 정경화, 정명훈, 백건우 등 20세기 중후반을 중심으로 활동한 이들을 뜻함. 조성진(피아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 등은 3세대로 분류 가능할 듯.
- 이동 ↑ 본 대회의 주최자이기도 한 첼로계의 거장 므스티슬라프 레오폴도비치 로스트로포비치는 당시 장한나의 연주를 두고 "첼로가 혼자서 걸어나오는 줄 알았다."고 감탄했다. 두 사람은 로스트로포비치가 2006년 타계할 때까지 돈독한 사제 관계를 지속했다.
- 이동 ↑ 다만 카타르 필에서 사임한 직후인 2015년에는 개최되지 않았다.
- 이동 ↑ 공식적인 사임 이유는 "음악과 운영상의 견해 차이"를 내세웠지만, 지휘자로서의 은사 로린 마젤이 타계한 지 2개월 후의 일이라서 구설수에 올랐다. 다시 말해 '로린 마젤의 후광이 사라지고 나니, 지휘자로서의 입지가 약화된 것 아니냐'는 이야기.
- 이동 ↑ 1909년에 창단된 오랜 전통의 관현악단이며, 장한나는 2013-14 시즌에 객원 지휘자로 처음 인연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