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룡(육룡이 나르샤)

1457483152-91.jpg
27631_38129_1358.JPG

1 소개

거대한 비리 사찰 비국사의 주지스님
길태미, 홍인방과 더불어 아이섀도우 3인방을 형성한다
갤질하면서 생긴 다크서클을 가리기 위해서라 카더라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의 등장인물. 배우는 전작 뿌리깊은 나무(드라마)에서 심종수를 연기했던 한상진이다. 이 배우는 과거 이산(드라마)에서 홍국영 역으로도 유명했다.

2 작중 행적

2.1 고려 시절

http://uhd.img.topstarnews.net/wys3/file_attach/2015/12/02/1449016310-98.jpg비국사의 스님으로 첫 등장.

화사단의 초영과 더불어 개경 양대 ‘지재(정보) 상인’으로 통한다. 조직 내에서의 별호는 '풍지관(風地觀)'.[1] 부처님 말씀을 인용하여 돈을 뜯어내는 화술의 달인이며 출중한 무예 실력을 갖고 있다. 하지만 재물을 밝히는 뻔뻔함에 부처님도 울고 갈 지경. 재물이라면 사족을 못 쓰지만, 반드시 그만큼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장인 정신이 있다. 비국사는 비리 사찰의 수준을 넘어서 살인이나 칼 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거의 무력 정보 집단에 가까운 모습이다.

6화에서 조영규, 그리고 이방지와 싸우는 것으로 보아 상당한 고수. 앞서 이방원이 인증한 고려 내에서 손가락안에 드는 무사인 조영규를 간단하게 제압하고, 출상술을 써서 이방지의 목을 잡고 그를 날려보내지만 계속해서 싸우다가 검이 부러지고 염주가 망가진다.[2] Life : x2→x1 이번에는 예를 가르쳐 주지 못하고 예를 가르침 당했다 9화에서 홍인방이 이성계의 의중을 떠보기 위해 동북면으로 파견하지만, 이성계에 의해 억류되고 말았다. 그리고 11화에서 이방우에 의해 개그씬과 함께 풀려난다.

16화에서 홍인방과 길태미에게 이성계의 개경 탈출을 감시하라는 명을 받은 뒤 진지하게 "이 일에 비국사의 명운이 걸려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이제부터 판단을 정확히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홍인방이 몰락하면서 잡혀 들어갔는데, 옥중에서 밝혀진 사실은 적룡은 그동안 베일에 가려진 비밀결사 무명의 조직원이었다! 무명 수장의 명령을 받고 최영에게 장부를 넘겨줘 이성계와 최영의 사이를 이간질 시키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위화도 회군이 끝난 후에 병풍이 되었다. 이후로는 민다경에게 지재를 팔거나 길선미와 함께 노파의 명령을 받는 등 간간히 나오고 있다.

30화에서는 초영이 지천태라는 걸 알고 놀라는 모습을 보인다. 이 후, 32화에서는 연향에게 무릎을 꿇는 길선미에게 왜 종년에게 무릎을 꿇냐며 비웃었다가 사실을 알고서는 머리를 바닥까지 조아렸다. 이 시점까지 나온 무명의 간부급 인물 중 유일하게 무극의 정체를 몰랐다. 안습. 그리고 이후 공양왕과 정몽주의 연락책을 잡기 위해 비국사와 본인이 직접 움직였다가 부하들과 더불어 칼등으로 얻어맞으며(...) 간단하게 제압당하고서는 물러난다.어째 싸우는 장면마다 현 삼한제일검, 사실상 세계관 최강자같은 탑급들과 맞닥뜨리고 있다 무휼에 이어 새로운 전투력 측정기 그리고 이번에도 예를 가르침 당했다

36화에서는 이방지가 척사광과 붙게 될 것이란 첩보를 듣고 그 둘에게 졌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방지가 죽을 것이란 예측을 한다. 이방지가 척사광에게 칼도 여러번 맞고, 무휼의 도움이 없었다면 마인참을 막다가 두동강 났을 것을 생각하면 비교적 정확한 예측을 했다. 다만 문제는 적룡 본인이야 몰랐다지만 이방지의 생모 앞에서 네 아들 죽을거니 안심하라며 웃는 꼴이라는 것...

2.2 조선 건국 이후

https://i.ytimg.com/vi/ZsNCFqTDclo/maxresdefault.jpg46회 예고 전까진 전혀 등장을 안 하다가 46회 예고에서 다시 등장한다. 이방원의 회의에 참석하는 등 무인정사때도 함께하는 걸 봐서 무명이 이방원을 도우라고 보낸 것 같다. 이는 적룡은 지재상인이니 이방원 집에 들락거리는 게 눈에 띄여도 의뢰 받은 정보를 파는 거라고 하면 그만이라 무명과의 접촉 통로로 제격이기 때문이다.

46회에서는 이방원에게 주원장이 죽었다는 사실을 알린 다음 하늘은 대군마마 편이라고 하면서 이성계의 병 악화 소식을 알려준다. 그리고 이방원의 집을 감시하는 흑첩들을 모두 죽이고 정도전이 남은의 별장에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그리고 이방원 및 무장들과 함께 남은의 별장으로 간다.이때 진짜 간지가 폭발한다. 아이고 적룡이가 해냈네 해냈어

47회에서는 이방지를 유인하기위해 연희를 납치하고 조말생에게 넘겼다. 그리고 연희를 찾아온 분이에게 연희의 사망 소식을 알리고 무사히 이방원에게 돌아갔다. 이 때 분이를 그냥 보내서 부하가 왜 죽이지 않냐고 묻자, 엮인 게 많은 계집이라 죽이면 문제가 생긴다고 답해 준다.[3]

50화에서 하륜이 과거 무명의 조직원이었다는 사실을 가지고 협박하였다.[4] 결국 하륜이 무얼하고싶냐고 하자 보부상, 조선 전체를 아우르는 보부상단을 만들고싶다고 하였다. 그리고 적룡이란 법명을 못 쓸거니 뭐라 할거냐는 하륜에게 자신의 이름을 백달원[5]이라고 밝혔다.[6][7]

3 기타

무명의 일원이라 당연히 마지막에 죽을 것이란 예상을 깨고 의외로 끝까지 살아남았다. 오히려 무명 조직이 육산, 길선미 등 핵심 인물이 사망하고 연향도 이방지와 함께 후일을 기약하고 떠나버렸기때문에 보부상단으로 명맥을 유지하는 이 사람이 얼마나 운좋은 사내인지 알 수 있다. 한마디로 인생의 승리자.

재밌게도 먼저 나온 속편 뿌리깊은 나무에서 같은 배우가 맡은 심종수 또한 밀본의 4대 본원으로 명맥을 잇는 역할을 했다. 그리고 마지막 등장 장면의 파트너(?) 역시 같은 배우인 조희봉이 맡은 역할들로 한명회와 하륜 둘 다 쿠데타의 핵심 참모이자 조정의 실세가 되며, 뿌나의 한명회는 역사상 행적이나 작가 인터뷰로 보아 미래에 밀본을 배신할 것으로 보이고, 육룡이 나르샤의 하륜은 과거에 무명을 배신한 인물로 밝혀져 행적이 여러모로 비슷하다. 향후 김박 작가가 뿌리깊은 나무 속편을 만든다면 보부상단으로 숨어지내는 무명과 밀본이 다시 충돌할 가능성도 없지않다.

주로 칼질보다는 정보를 캐내는 역할을 맡았지만 작중 무술실력은 S급은 아니어도 상당히 상위권이다. 이방지, 길태미, 길선미 등에는 못 미치지만 비국사에서 마주쳤을때 조영규를 가볍게 제압했고 척사광과의 대결에서도 일방적으로 지긴 했지만 간단한 합은 주고받을 정도인걸 보면 중국 다녀오기 전에 무휼정도의 실력으로 추정된다.

어째 지위가 낮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무명(육룡이 나르샤)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초영과는 달리 관괘가 가지는 의미를 생각하면 꽤나 잘 들어맞는다. 관괘는 '위에서 아래를 보다'와 '아래에서 위를 보다'라는 두 가지 뜻이 있는데, 적룡과 비국사는 이 중간점에 서 있다. 무명(위)에서 세상(아래)을 주시하라 명령하면 이에 따르고, 사람들(아래)이 비밀(위)을 알고자 하면 돈을 받고 지재를 파는 그런 소조직인 것이다.
  2. 하지만 그 염주가 아니였다면 적룡은 진작 죽었을 것이다.
  3. 현명한 판단인 것이 만약 분이를 죽였으면 이방지, 이방원, 연향의 분노를 산다. 게다가 이방원과 연향에게는 무휼과 길선미가 있으니 제일검급 고수 세 명에게 쫓기게 되는 것. 적룡도 연향까진 몰라도 이방지와 이방원의 분노 정도는 예상하고 분이를 그냥 보냈을 것이다.
  4. 하륜의 오른팔에 있던 화상자국은 사실 무명의 표식을 지우기 위해서 하륜이 일부러 낸 것이었다.
  5. 조선 보부상단의 시조
  6. 이 장면은 뿌리깊은 나무에서 한가놈이 심종수에게 한명회라고 밝히는 장면을 같은 배우들이 반대의 위치에서 오마주한 것이다.
  7. 다만 전작에서는 한가놈이 한명회가 아닐까 하는 떡밥이라도 있었지만 적룡=백달원 이라는 떡밥은 아예 없어서 끼워맞추기 라는 비판이 있다. 게다가 백달원은 조선 건국에 도움을 줬지만 적룡은 도움은 커녕 이성계를 암살하려는 쪽이었으니. 다만 무명으로서지만 실제로 적룡은 협력하는 모양새긴 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