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주의

絶對主義

1 사상

absolutism

상대주의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절대적인 진리가 있다고 믿는 철학적, 종교적 사상. 다른 동음의 개념들과 분리하기 위해 앞에 윤리적이라는 수식을 붙이기도한다.

기독교, 이슬람교 등 유일신 종교들은 절대주의의 관점을 가진다.

2 정치

국가 권력의 절대성을 주장하는 정치관이다. 혁명이전의 전제군주정 국가를 절대왕정이라고 부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정치관을 가진 국가들은 대부분 왕권신수설을 신봉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자신을 태양왕이라 칭한 프랑스의 루이 14세가 있다.

3 문화

17세기 유럽에서 계몽사상이 대두하고 보편적 이성이 중시되면서 문화에서도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기준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을 뜻한다. 보편적 이성으로 창조된 서양의 근대 문화를 우수한 보편적인 문화로, 이에 미치지 못한 다른 문화를 열등한 변방 문화로 규정하고 이것이 이후 진화론과 엮여 열강의 약소국 침략을 합리화하는 제국주의로 발전하는 하나의 동인이 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하여 마틴 카노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로 많은 식민지 국가들이 정치적으로는 독립했지만 식민지 시기 동안에 지배국에 의해 주입된 교육의 영향으로 인해 문화적으로는 여전히 예속 상태에 놓여있다는 문화적 제국주의론(종속이론)을 주장하였다.

문화 절대주의는 위에서 언급한 역사적 맥락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 사회의 맥락에서도 접근이 가능한데 이를테면 외래 문화를 무분별하게 수용하고 그 관점으로 전통 문화를 폄하하는 경우,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기성 세대의 문화와 가치관을 일방적으로 젊은 세대에게 주입하거나 그 반대로 인해 세대갈등이 일어나는 경우, 도시적 삶과 그로부터 향유할 수 있는 문화를 보편적으로 판단하여 그에 못미치거나 이탈한 생활 방식을 비난하는 경우, 다문화 문제 등등이 있다.

4 예술

Suprematisme.

4.1 미술

작품 내 색감의 절대성을 주창하며, 회화 바깥의 세계와의 연관을 거부한 미술 사조이다.

4.2 음악

감정의 표현이나 청각적 묘사, 문학적 요소들의 개입을 음악의 도구화로 보고, 음악의 형식적 아름다움을 최고의 목표로 두는 사조

4.3 문학

또한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는 관점에도 절대주의적 관점이 있는데 이는 문학 작품 외적 요소인 작가, 독자, 문학 작품이 창작된 시대적 배경 등을 모두 배제하고 작품 내적 형식이나 표현 기법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관점을 뜻한다. 20세기 초 러시아의 형식주의에 그 바탕을 두고 있으며 1950년대 이후 대두된 신비평과 구조주의 등에 영향을 주고 오늘날 우리나라의 문학 교육의 하나의 큰 틀을 이루게 되었다.

5 관련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