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좌

1 개요

正坐
좌식생활을 하는 나라에서 예의를 갖추고 바르게 앉는 자세. 좌식생활이란 집안에 난방 시스템이 있거나 장판이 깔려 있으며, 실내에 실발 벗고 들어가 생활하고, 잘 때는 바닥에 이불을 까는 문화가 주류이다. 동양이라고 다 그런 건 아니고 좌식생활로는 한국과 일본이 대표적이다.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이러한 주택 시스템이 만들어지기엔 너무 낙후되어 있거나, 중국이나 중화권 같은 국가들은 좌식생활을 안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상 이 자세를 하는 건 한국인/일본인들이 거의 대다수라고 봐도 무방.

좌식 생활을 하면서 이 자세로 앉는 한국인들과 일본인들은 O다리(무릎 관절 사이가 벌어지고 다리가 휘어지는 증상)가 많다. 반면에 입식 생활을 하는 중국, 서양 사람들은 다리가 반듯하다.

사실 관절 건강엔 그다지 좋지 않다. 팔자걸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 자세로 앉으면 허리를 곧게 펼 수 없어, 허리 건강에도 좋지 않다.

현대인들은 과거에 비해 평균수명이 길고, 따라서 노후 생활이 길어서 젊을 때 관절을 망치면 나중에 오래 고생하게 된다. 개인적인 건강으로만 보면 입식 생활을 하는 것이 몸에 이롭다. 그렇다고 현재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문화를 하루아침에 뜯어 고칠 수는 없는 법이지만, 이후에 집을 사서 가구를 배치해야 할 일이 있으면 참고해 보는 것도 바람직하겠다.

2 각국의 정좌

2.1 대한민국

한국의 정좌는 보통 양반다리, 또는 아빠다리라고 불리며, 다리를 양쪽으로 피고 한번 접고 무릎 아래로 한쪽 발을 밀어넣고 앉는다. 가끔 가부좌로 앉다가 다리 찢어지는 사람들도 몇몇 보인다.

2.2 일본

이쪽은 무릎을 꿇고 앉는다. 한국사람이 보면 다리에 쥐날 것 같이 불편해보이나, 어렸을 때부터 이렇게 앉는 데 익숙한 일본 사람들은 딱히 불편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모양이다.[1] 물론 어디까지나 익숙해질뿐 다리 건강에도 안 좋다. 반대로 일본인들은 양반다리가 익숙하지 않아 오히려 더 힘든 모양. 일본 만화나 소설 등에서 학생들이 다도 등을 하느라 오랫동안 정좌를 했더니 다리가 마비됐다거나 괴롭다거나 하는 식으로 묘사하는 것을 보면, 젊은 일본인들도 이 자세를 별로 하지 않아서 괴롭긴 마찬가지인 모양이다. 자기 몸무게로 종아리를 누르는데 편할 리가

한국의 정좌와 비교해보자면 허리는 비교적 곧게 펴지지만 무릎관절이 시망하는 건 마찬가지다.

한국에서는 보통 잘못을 하여 벌을 받을 때나 잔소리를 들을 때만 무릎을 끓고 앉기 때문에 이 자세에 부정적인 사람이 많다. 심지어는 '무릎을 꿇는다'라는 말 자체에서 굴욕감을 느끼는 사람들도 꽤 있는 듯하다. 꿇어라 어린 시절에 이런 식으로 야단을 맞아 본 사람들의 경험도 이에 영향을 미치는 듯하다.

추가바람
  1. 검도 등의 일본에서 들여온 스포츠는 정좌 자세가 기본 앉는 자세인데, 어렸을 때부터 이를 하면 오히려 양반다리가 더 불편한 경지에 오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