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주의. 이곳은 철수권고 국가·지역입니다.

이 국가 또는 지역은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여행경보 3단계인 철수권고가 발령되었습니다. 현지에 체류하시는 분들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이상 시일 내에 최대한 신속히 귀국하거나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하셔야 합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틀:여행경보/설명문서}}
[1]
[2]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50px-Flag_of_South_Korea.svg.png
대한민국
50px-Flag_of_North_Korea.svg.png
북한
50px-Flag_of_Mongolia.svg.png
몽골
50px-Flag_of_Japan.svg.png
일본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중국

중화민국
50px-Flag_of_Hong_Kong.svg.png
홍콩
(중국)
50px-Flag_of_Macau.svg.png
마카오
(중국)
G20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대한민국

프랑스

독일
?width=45
이탈리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터키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width=45
유럽 연합
G7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유럽 연합
(비공식)
APEC 가입국/지역
?width=45
대한민국
?width=45
뉴질랜드
?width=45
말레이시아
?width=45
미국
?width=45
브루나이
?width=45
싱가포르
?width=45
호주
?width=45
인도네시아
?width=45
일본
?width=45
캐나다
?width=45
태국
?width=45
필리핀
?width=45
중화 타이베이*
?width=45
중국
?width=45
홍콩
?width=45
멕시코
?width=45
파푸아뉴기니
?width=45
러시아
?width=45
베트남
?width=45
페루
?width=45
칠레
---
*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의 압박으로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참여함.
UN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상임이사국
?width=45
미국
?width=45
영국
?width=45
프랑스
?width=45
러시아
?width=45
중국
비상임이사국 (2016년 ~ 2017년)
세네갈이집트일본우루과이우크라이나
비상임이사국 (2017년 ~ 2018년)
에티오피아카자흐스탄볼리비아이탈리아스웨덴
6자회담 당사국
?width=45
대한민국
?width=45
북한
?width=45
미국
?width=45
러시아
?width=45
중국
?width=45
일본

일본국
日本国[3]
국기
일장기(日章旗/닛쇼키)
둥근원(日の丸/히노마루)
국장[4]
면적377,972㎢[5]
인구127,095,000명 (2015년 국세조사) [6]
수도사실상 도쿄도(東京都)[7][8]
정치체제입헌군주제, 의원 내각제, 다당제, 양원제
군주(덴노)아키히토
총리아베 신조
GDP4조 7,303억 $ (2016년 추정치)[9]
1인당 GDP39,680$ (2016년 추정치)[10]
외환보유액1조 2,691억 달러 2위 (2014년 12월)[11]
공용어없음(사실상 일본어)[12]
국교없음[13]
시간대일본 전지역 UTC+9(일본 표준시)
화폐 단위(¥, JPY)
대한수교현황남한 단독수교(1965년)
국제연합(UN) 가입1956년
ccTLD[14].jp[15][16]
국화없음(사실상 벚꽃[17]또는 국화[18])
국조없음(사실상 일본꿩)[19]
국제전화번호81

1 개요

Japan, Endless Discovery.

일본, 끝없는 발견.
ㅡ 일본 관광청의 공식 슬로건

아시아 동쪽 끝에 있는 섬나라다. 주요 4개 섬인 혼슈, 홋카이도, 규슈, 시코쿠가 국토를 이룬다. 대한민국과 가장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이웃나라다.[20] [21] 자국의 역사에 대해 취하는 태도로 인해 좋지 않은 시선을 가진 사람도 있지만 동시에 지리적으로경제적으로문화적으로 가까운 국가이기에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수년간 국민소득이 100달러를 채 못 넘겼으나 경제민주화전쟁특수, 수차례의 경제 개발 계획을 통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여 선진국 반열에 이르렀고 대외순자산의 독보적 세계 1위, 국내총생산 2위, 1인당 국내총생산 3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현재도 아시아에서 유일한 G7의 일원. 한편, 1990년대부터 시작된 이른바 잃어버린 20년으로 인해 경기 침체를 겪고 중국의 약진으로 지금은 국내총생산 세계 3위를 기록, 외환보유고는 2위를 기록, 아베노믹스 등의 경제 정책으로 경기 재부흥을 노리고있다.

2 나라 이름

언어별 명칭
언어표기발음
한국어일본일본
일본어日本니혼, 닛폰
표준중국어日本르번(Rìběn)
광둥어얏분(Jat⁶bun²)
대만어릿뿐(Li̍t-pún)
상해어저뻔 /z̻əʔ¹¹ pəɲ²³/
영어Japan저팬[22]
독일어야판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프랑스어Japon자퐁
에스페란토Japanio야파니오
스페인어Japón하폰
포르투갈어Japão자퐁
이탈리아어Giappone자포네
그리스어Ιαπωνία야포니아
라틴어Japónia
러시아어Япония이뽀니야[23]
몽골어Япон야폰
아랍어اليابان알 야반
베트남어Nhật Bản녓 반
인도네시아어Jepang즈빵
태국어ญี่ปุ่น이뿐

일본(日本)은 일본어로 '닛폰'[24]이나 '니혼'이라고 발음한다.[25] 뜻은 '태양근원', '해뿌리', '해맞이'이다. 일반적으로 국가적 행사에선 니혼을 많이 쓰고, 스포츠 경기 등 애국심을 드러낼 땐 닛뽄을 사용한다. 훈독으로 '히노모토'라 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26] 정식 국명(정도의 호칭)은 니혼코쿠(にほんこく)또는 닛폰코쿠(にっぽんこく)이며 뜻은 '태양이 떠오르는 땅'이다. 일본(日本)의 발음은 법령에서 둘 중 하나를 딱히 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둘 중 무엇으로 발음해도 좋다.

일본의 동쪽은 태평양이란 바다이고 쇼토쿠 태자수양제에게 보낸 '해가 뜨는 곳의 천자가 해가 지는 곳의 천자에게'라고 보낸 편지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이 당시 동아시아권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나라라는 의식을 가진 데서 나온 명칭으로 보인다.

일본의 로마자 명칭으로 태평양 전쟁 이전에는 Nippon을 선호했고, 패전 이후에는 다들 "니혼"을 쓰는 모양새였으나, 근래 "닛폰"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이 강하다. 한국에서 프로야구단으로 더 유명한 니혼햄도 현재 일본 내 표기는 닛폰햄이다. 국영방송 NHK의 경우 이니셜 첫 글자가 원래 Nihon 이었는데 요즈음 Nippon으로 표기해가는 추세다. 중도 우익 성향으로 분류되는 '니혼게이자이신문'은[27] 닛폰이 아니라 니혼을 사용하고 있는데, 언제 닛폰으로 바뀔지는 모른다[28]. 단, 스포츠 응원에서는 일찌감치 닛폰이라고 써 왔다. 그런데 2016년에 공인된 새 인공원소 명칭은 니포늄이 아니라 니호늄 으로 정했다. 일단 어감상 니혼보다 세 보이고 국가 대항전 자체가 약간 민족주의적인 행사니. 일단 일상생활에서는 니혼, 스포츠 응원 등의 민족주의적 성향을 나타낼 때는 닛폰이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외국인이 일본어로 일본의 국호를 말할 때 대부분 '니혼'이라고 한다. 다만 "닛폰"은 외국인한국을 "우리나라"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한 어감을 준다.


2004년 미국에 도착한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와 그의 뒤에 있는 일본정부전용기. Japanese Air Force One에 일본국이라고 한자로 쓰여있다.

1945년 이후 일본의 정식 국호(정도의 이름)는 일본국(日本国). 1945년까진 대일본제국(大日本帝国)이란 호칭을 썼다.[29] 대일본제국이란 표현을 쓰기 전엔 지금처럼 일본국이란 표현을 썼다. 쇼군들이 문서를 보낼 때 일본국 관백이란 표현을 쓰는 식으로. 8세기경부터 이미 일본국이란 표현을 써왔다고 한다. 대일본제국이란 표현은 메이지유신 이후 나온 표현이지 일본의 역사상 대부분은 일본국이란 호칭으로 자칭했고 타칭했다. 해외에서는 왜국(倭國)이라 지칭하기도 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일본국 사신이 예궐했다는 표현이 나온다.

야마토란 단어도 일본을 지칭하지만, 예스러운 느낌이 있어서 잘 쓰이지는 않는다. 단 오키나와에서는 일본 본토를 자신들과 구분할 때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일본국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3 면적

  • 국토가 홀쭉하게 생겨 협소하다는 인상을 느끼는 경우도 있지만 넓이가 37만 8,000km2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의 1.7배다.[30] 본토인 혼슈 섬은 세계에서 7번째로 큰 섬[31]이며[32] 2번째로 큰 홋카이도 섬은 세계 21위의 면적을 가진 큰 섬이다. 한반도보다 4개의 섬 중 가장 큰 혼슈가 더 크다. 비록 그중 반 이상이 사람 살 곳 아닌 험지이기에 활용할 만한 땅이 그렇게 넓진 않지만, 면적 자체는 다른 G7의 일원인 영국(24만 3,000km2)과 독일(35만 7,000km2), 이탈리아(30만 1,000km2)보다 더 넓다. 37만 8,000km2의 면적은 일본이 영유하고 있는 섬들 면적을 모두 다 합친 것이다. (그중 4대 섬 면적을 합친 게 일본 면적의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파일:Attachment/Japan-location-cia.gif
640px-East_Asia_area_blank_CJK.svg.png
동아시아 지도를 보면 대략적인 일본의 육지영토를 짐작할 수 있다.

  • 타국과 영토 분쟁을 많이 하는것으로도 유명한데, 일본의 영토 둘레를 살펴보면, 주변의 국가들과 마찰이 많다. 즉, 서쪽은 대한민국이 실효지배중인 독도이고, 홋카이도 북쪽은 현재 러시아가 실효지배중인 쿠릴 열도이며, 남쪽 끝은 국제적으로 인정되지 않은, 콘크리트 부어놓은 뒤 섬이라고 주장하는 오키노토리시마다. 남서쪽 끝의 센가쿠 열도는 중국/대만과 영토분쟁 중이며 일본이 실효지배 중이다.
  • 한반도의 남동쪽에 있다는 인식이 강하지만 일본의 최북단인 벤텐 섬(북위 45도)과 최서단인 요나구니 섬(동경 122도)은 각각 남북한의 최북단인 온성군(북위 43도)과 최서단인 비단 섬(신도, 동경 124도)보다도 더 극점에 있을 정도로 면적에 비해 스펙트럼이 넓다.[35] 심지어 일본령인 오가사와라 제도오세아니아에 속한다. 때문에 어딜 가면 지중해성 기후가 나타난다든지, 정글이 있다든지(...)하는 식으로 각종 다양한 자연환경을 체험할 수 있다. 스펙트럼으로 흡사한 인도네시아가 있다지만 애초에 영토 전체가 적도 부근이라 남북 기후차가 크지 않다는 부분에서 적도 북쪽으로 큰 스펙트럼을 가진 일본과는 기후적으로 꽤 다르다. 일본에 자주 방문하지 않는 이상 외국인들은 잘 모르는 사실.
  • 2013년 11월 오가사와라의 남동쪽 500m 해저에서 화산이 분화하면서 새로운 섬이 생겼는데, 이름을 니시노시마라고 지었다. 9월에 당시의 12배인 2.68㎢로 커졌는데, 새로 해도를 작성함에 따라서 70㎢의 영해를 새로 얻게 됐다.#

4 배타적 경제수역

일본의 영토에 배타적 경제수역(EEZ) 200해리[36]를 적용한다면 영해는 본토에 비해 넘사벽급으로 넓어진다. 길쭉한 열도의 특성상 아시아 대륙 동부 해안을 거의 커버하기 때문. 최북단의 벤텐 섬에서 최남단의 오키노토리 섬을 하나의 줄로 이어보면 그 무시무시함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다만 오키노토리 섬 등 일부 섬의 영토 인정 문제 및 해당 섬의 EEZ에 대해서는 일본과 주변국들의 주장이 서로 다르다.

2012043000235_1.jpg

일본의 EEZ 면적은 448만km2로 중국(88만km2)의 5배가 넘는다.

지도를 보면 한국에서 한참 남쪽에 있는 대만 바로 옆에까지 일본의 섬이 퍼져있고 태평양으로 한참 나간 장소에도 일본 영토의 섬이 있을 정도다. 한국이나 중국에서 태평양으로 나가는 길목의 섬들은 일본이 모조리 차지하고 있다. 이는 영토 확장에 여념이 없었던 일본 제국 시절 선제적으로 점령한 곳이다. 1898년 저기 태평양 가운데 절해고도를 찾아서 영토 보다 넓은 EEZ를 확보한 적도 있다. 현재도 오세아니아의 소국들에 일본의 영향력이 상당하다.[37] 다만 이 EEZ가 주변국과 상당히 겹치기 때문에 한국과는 독도를, 중국대만과는 센카쿠 열도를, 러시아와는 쿠릴 열도를 놓고 분쟁중에 있다(...). 사실 이런 분쟁은 EEZ 이전에 영토 문제이기도 하다. 일본/영토문제를 참조.

5 지각 및 자연재해

지각이 불안정하며 지각이 소멸되는 판상경계인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하며 지진, 화산, 태풍이 자주 찾아오는 나라이기도 하다. 평소의 많은 대비를 통해 일본 국민들은 대부분의 약한 지진에 무감각하다고 한다. 지진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일본국민들은 지진대피훈련을 많이 실시하여 자국 국민들의 훈련도가 매우 높다. 일본이 언젠가는 바다 밑으로 가라앉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일본 열도는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이 맞부딪쳐서 발생하는 수렴형 경계에서도 밀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대륙지각에 위치하는 데다,[38] 이 경계에서 새로운 지각이 생기기도 하므로 그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 해수면이 상승이 일어나고 있어 해수면과 큰 차이가 없는 저지대는 조금씩 잠겨가며 지금도 매년 수mm씩 해수면이 상승 중이다.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의 저지대가 잠기게 된다.

대표적인 화산으로 휴화산후지산이 있다.

밑의 지진 항목을 참조.

6 기후

일본은 산지가 많아 지평선을 볼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은데 지평선을 볼 수 있는 가장 깊은 내륙은 군마 현으로 도쿄 만으로부터 약 120km 떨어져 있다. (가로막는 고층건물들만 없다면 똑똑히 볼 수 있을 텐데(...) 길쭉한 나라인만큼 기후분포는 다양하다. 다만 온도의 스펙트럼은 위도에 비해 이상하리만치 추운 개마고원이 있는 관계로 한반도와 비슷비슷한 편.[39]

파일:Attachment/일본/Gion.jpg

일본열도와 한반도의 겨울철 기온 비교. 전체적으로 볼때 한국보다는 겨울 기온이 상대적으로 따뜻하나 간토 이북은 한국의 중북부 지방과 위도가 엇비슷하거나 더 높은 관계로 생각보다 그렇게 따뜻하지는 않다. 다만 같은 위도에서는 한국이 일본보다 확실히 더 춥다. 한편 이 사실은 조선겨울임진왜란 때 일본의 진격에 방해가 된 원인중 하나이기도 하였다.어?

강수량이나 습도도 한국, 중국에 비해 어느 한 계절에 집중되어있지 않고 전반적으로 1년 내내 고른 편이다. 후쿠이니가타같은 호쿠리쿠 지방의 경우 쓰시마 난류로 인해 1년 전체 강수량이 2,000~3,000mm에 달하며 겨울 강수량이 많아 세계적으로도 눈이 많이 오는 지역들로 알려져 있다.[40] 상대적으로 건조하다는 태평양쪽(간토지역, 미야기)[41]조차 겨울 강수량이 50mm 내외로 서울보다 많으며 1월달에도 습도가 50%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가 드물다.

하지만 유럽과 달리 연교차는 큰 편[42]인데다 습도까지 합쳐져서 여름 폭염문제는 한국, 중국과 별 차이 없거나 오히려 훨씬 더 심하다. 홋카이도등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여름 날씨가 한국보다 더 끈적하고 덥게 느껴진다고 보면 크게 틀리지 않다.

위 지도에서 잘린 오키나와 현과 오가사와라 제도아열대기후열대기후에 걸쳐져 있다.

7 인구

일본 국적을 가진 사람을 일본인이라고 한다. 일본에는 소수민족인 류큐인아이누족 또한 존재하며, 재일 한국인이나 화교의 인구도 꽤 된다. 이들과 구분되는 일본 주류 민족은 야마토 민족이라고 한다.일본족이 아니다.

인구 1억 2,700만 명으로 대한민국 인구의 약 2.46배에 달하며 세계 10위, 아시아 6위에 해당한다. 이는 멕시코의 인구보다 많으며 일본보다 50배 가까이 넓은 세계 최대 면적 국가 러시아보다 약간 적고[43] 유럽의 강대국 영국프랑스를 합친 것과 거의 비슷한 엄청난 인구. 그러나 1975년부터 출산율이 인구유지선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고 총인구가 2006년 고점을 찍고 감소 추세에 들어섰다.[44]

하지만 2006년까지 증가하던 인구의 절대 수치와는 달리 일본의 인구 순위는 1950년대부터도 떨어지기만 했는데,[45] 1800년대 일본은 중국, 인도, 프랑스에 이어 세계 4위의 인구대국이었다.[46] 1950년 일본의 인구는 8,400만 명으로 세계 5위였지만 1955년부터는 6위, 1978년에는 7위로, 1992년에 8위로, 1998년에 9위로, 2001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는 10위에 머물고 있다. 동기간 인구는 1억 2,700만 명으로 증가했지만 말이다. 2006년 이후에는 인구의 절대 수치마저도 줄어들면서 상기한 고령화 등의 이유로 2019년이면 멕시코가 일본보다 인구가 더 많아져 일본은 세계 인구 10위권에서 물러날 것으로 예상된다.[47]

일본은 인구 밀도가 337명/km2으로 한국(487명/km2)보다 적으나 총면적에서 홋카이도의 험지와 나머지 세 의 산간지대를 뺀 평야, 즉 실질 가용면적이 그다지 넓지 않으므로, 한국보다는 아니지만 체감상으론 꽤 빡빡하다.[48] 일본의 평지면적은 고작 13%로 경지단위 면적당 인구밀도는 세계에서 높은 수준이다. 그런 현실에다가 프랑스,영국 인구와 비슷한 6,200만 명이 3대 도시권(도쿄, 오사카, 나고야)에 집중되어 있고 그 중 10% 정도 되는 간토 지방에 무려 4,300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49] 그래서인지 세계최대의 메트로폴리탄이 되었다. 하지만 총 면적의 20%를 넘는 홋카이도[50] 거주자는 550만명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불균형하게 인구가 분포되어 있는 편.

노인 인구가 매우 많은 나라로 알려져 있다. 출산율은 2차대전 이후부터 이미 낮은데, 평균수명은 꾸준히 세계 1위에서 놀고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당연할 수 밖에 없다.[51] 1990년을 전후해 노령 인구(65세 이상)가 10%를 넘기 시작하고 생산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자 그동안 쌓아온 거품이 터지고 경제가 하락세를 타기 시작했는데 통계학자들은 한국도 이 과정을 거치게 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가 많다.[52] 2014년 기준 일본의 노령 인구는 전체 인구의 25.9%으로 이는 주요 선진국 중 최고 수준. 그런데도 지극히 낮은 출산율[53]로 인해 상승 속도는 여타 선진국보다 더 높다(...). 이는 일본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고 미래를 어둡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선진화가 이루어져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강한 나라가 된 것은 여러 요인이 있지만 일본의 인구도 큰 영향을 끼쳤다. 즉, 중국이나 인도 공화국보다 전체 국민의 경제력을 높이기 쉬우며 한국보다 많은 인구가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쉽기 때문. 일본은 종전 직후 인구가 7,500만으로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에 적절한 인구수였고 1967년에 인구 1억 명 이상의 국가가 되면서 강력한 내수시장이 나타났다.

8 행정구역

일본 전도

8.1 과거

8.2 현재

일본의 지방 및 도도부현
홋카이도
도호쿠 지방아오모리이와테미야기아키타야마가타후쿠시마
간토 지방도쿄도치기군마사이타마지바이바라키가나가와
주부 지방니가타도야마이시카와후쿠이야마나시나가노기후시즈오카아이치
간사이 지방미에시가교토오사카효고나라와카야마
주고쿠 지방돗토리시마네오카야마히로시마야마구치
시코쿠 지방도쿠시마가가와에히메고치
규슈 지방후쿠오카사가나가사키구마모토오이타미야자키가고시마
오키나와 현

8.3 대도시

보통 일본의 10대 도시라고 하면 도쿄, 요코하마, 오사카, 나고야, 삿포로, 고베, 교토, 후쿠오카, 히로시마, 센다이 를 꼽는다.[54] 일본 도시의 인구 순위는 다음과 같다. 법정인구자료는 2015년 국세조사의 잠정집계 자료이고, 추계인구 자료는 삿포로(2016년 6월 30일)와 시즈오카현(2016년 7월 1일)을 제외하고 모두 2016년 6월 1일기준 자료다. 법정인구의 순위로 나열하였고 대한민국에서 대도시로 치는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를 적었다.

순위지방도도부현법정인구추계인구종류
1간토도쿄23특별구9,272,5659,357,221특별구부
2간토카나가와요코하마3,726,1673,732,539정령지정도시
3간사이오사카오사카2,691,7422,702,501정령지정도시
4주부아이치나고야2,296,0142,302,696정령지정도시
5홋카이도홋카이도삿포로1,953,7841,946,148정령지정도시
6큐슈후쿠오카후쿠오카1,538,5101,549,839정령지정도시
7간사이효고고베1,537,8601,538,053정령지정도시
8간토카나가와카와사키1,475,3001,486,578정령지정도시
9간사이교토교토1,474,5701,475,042정령지정도시
10간토사이타마사이타마1,264,2531,272,716정령지정도시
11주고쿠히로시마히로시마1,194,5071,189,530정령지정도시
12도호쿠미야기센다이1,082,1851,084,019정령지정도시
13간토치바치바972,639974,335정령지정도시
14큐슈후쿠오카기타큐슈961,815958,015정령지정도시
15간사이오사카사카이839,891838,264정령지정도시
16주부니가타니가타810,514808,475정령지정도시
17주부시즈오카하마마츠798,252796,941정령지정도시
18큐슈구마모토구마모토734,294739,821정령지정도시
19간토카나가와사가미하라720,914722,174정령지정도시
20주고쿠오카야마오카야마719,584720,745정령지정도시
21주부시즈오카시즈오카705,238702,718정령지정도시
22간토치바후나바시622,823625,864중핵시
23큐슈가고시마가고시마600,008598,936중핵시
24간토사이타마가와구치578,245580,302특례시
25간토도쿄하치오지576,526577,180중핵시[55]
26간사이효고히메지536,338534,872중핵시
27간토토치기우츠노미야518,761519,217중핵시
28시코쿠에히메마츠아먀515,092514,213중핵시
29간사이오사카히가시오사카502,605500,890중핵시

25위권 내에 도시가 하나도 없는 시코쿠는 그저 울 뿐 오키나와는?[56][57]

100만 이상의 도시가 의외로 12개뿐이다. 인구가 일본의 절반도 안되는 우리나라의 100만명 이상 도시가 11개임을 감안하면... 50만 이상의 도시도 일본은 29개인데 우리나라의 22개와 얼마 차이가 나지 않는다. 도시권에 인구가 모여사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인구편중이 심한 편이다. 도쿄권에 4000만명 정도의 인구가 거주중이고 케이한신 지역도 거의 2000만명에 이르기 때문에 지역간의 격차가 심하기는 하다. 하지만 면적에 비해 인구가 적은 홋카이도를 제외하면, 인구 절반이 수도권에 집중된 한국보다는 체감적으로 전 국토에 고르게 인구가 분포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한국에게 꽤 인지도가 있는 나가사키 현의 나가사키 시는 인구가 443,926명(2010년 기준)에 그치는 현청 소재지이다. 2016년 2월 기준으로는 431,998명으로 더욱 감소했다. 2010년 당시 일본 전체 38위. 이는 오이타(현청소재지, 47만명, 34위), 카나자와(46만명, 35위)에 뒤지는 것이다. 기후시는 44위, 동계올림픽이 열렸던 나가노 시(인구 38만)는 50위.

도쿄 도의 총 인구는 13,512,186(2016년 2월 1일추계)명이다. 도쿄 23특별구에서 400만이 더 추가 되는 셈. 여기에 광역권을 더하면 거의 3,550만까지 바라볼 수 있다고 한다. 오사카 부교토 부의 인구는 각각 8,837,032명, 2,609,094명(각각 2016년 2월 1일 추계)으로 중심시에 비해 620만, 115만명이 추가되는 셈이다. 관서광역권 인구는 도쿄 일대 관동권역권의 절반 가량인 1,900만으로 본다.[58] 그 외 나고야 광역권이 900만(중심시 제외 680만), 후쿠오카 광역권이 250~550만(중심시 제외 110~310만) 정도. 후쿠오카 광역권은 기타큐슈를 포함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이렇게 모두 더한 길이 1,200km의 일본의 "태평양 벨트" 인구는 8,300~8,450만명(150만 규모의 구마모토현 포함시)에 달하며, 이는 일본 전체 인구의 2/3이다. 앞서 광역권을 더하며 6,500만에 달하는데, 나머지 1,800만 가운데는 오카야마 광역권(190만), 칸몬 해협 광역권(시모노세키 등 170만), 마에바시 광역권(150만) 등이 있다. 태평양 벨트에 들지 않는 10대 도시로는 삿포로센다이 정도가 남는다.

9 역사

일본의 역사
日本史
선대고대중세근대현대
~ A.D 538538~11851185~18681868~19451945~
조몬 시대야요이 시대고훈 시대아스카 시대나라 시대헤이안 시대가마쿠라 시대겐무 신정남북조시대무로마치 시대전국시대에도 시대일본 제국GHQ일본국
메이지다이쇼쇼와쇼와쇼와헤이세이
에미시에조,에조 공화국,홋카이도
구석기 시대
패총시대
구스쿠 시대,삼산시대,류큐 왕국오키나와 현미국오키나와 현

10 정치

320px-Diet_of_Japan_Kokkai_2009.jpg

일본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752015년, 세계18위[59]
언론자유지수28.672016년, 세계72위[60]

일본은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현재 천황은 아키히토 덴노이며, 내각총리대신아베 신조다. 현재 집권 정당은 자유민주당이다.

11 사법

12 경제

13 교통

14 문화

15 관광

16 군사

17 외교

18 교육

18.1 초등/중등 교육

일본의 중고등학교는 완전히 비평준화되어 있어 중학교/고등학교 입시를 치러 합격하거나 추천을 받아야 입학할 수 있다.[61] 그러나 중학교의 경우, 지역마다 다르게 입시 대신 희망하는 학교를 학생이 1순위, 2순위로 기입하여 제출하면 추첨으로 당락이 결정되는 지역도 존재한다.[62] 명문 중고등학교 중에는 대학입시에 가까울 정도로 빡센 입시를 치러야 입학할 수 있는 곳도 있지만, 역으로 미달 나는 곳도 많기 때문에 중고등학교 입시에서 재수하게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또한 일본의 중고등학교[63] 중에는 한 중학교에 입학하면 고등학교, 심지어 대학까지 바로 진급할 수 있는 곳도 있다. 이런 학교를 중고일관교라고 하며 속칭 일관제라고도 한다. 일본에서 소학생, 중학생이 사립 학교에 지원한다고 하면 바로 이런 곳을 가리킨다.[64]

90년대의 일본 애니메이션의 학교 생활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의 경쟁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자율적인 공부와 부(동아리)활동 등을 병행하여 창의적인 인간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 교육 방침인 '유토리(여유) 교육'이란 것을 1992년부터 단계적으로 시작해서 2002년에 전면 시행...하였으나 정책 효과가 좋지 않아# 2010년부터 중학교 교육과정으로 옮겨간 방정식 내용을 초등학교 교육과정으로 다시 보내거나(#) 주5일제를 폐지하고 토요일 수업을 부활(#)시키는 등 조금씩 원상 복구를 하고 있는 중이다.(#) 참고로 '유토리 교육'이 정말 실패한 정책인지는 아직까진 일본 내 교육계에선 찬반 의견이 대립하고 있지만, 대한민국의 사회는 실패했다고 보는 편이 많다. (#)

또한 지나치게 틀에 박힌 교육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일본 국내에서 많이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비닐봉지 3개에 각각 사과가 4개씩 들어있을 때 사과는 모두 몇 개인지를 계산식으로 답하시오'라는 문제가 있다면, '3 × 4 = 12개'는 정답이고 '4 × 3 = 12개'는 정답이 아니다(…) 답을 찾아내는 올바른 과정의 중요성을 가르치기 위함이라는데, 이건 수학이 아니라 국어의 영역이다라든가, 오히려 학생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는 반발 여론도 많은 편. 그리고 작품에 대한 감상문을 쓰라고 할 때 예술가의 작품 제작 동기를 왜곡해서 해석하는 감상자, 평론가 등에 의해 정형화된 감상 방법 외에는 인정하지 않는다고 한다.[65] 사실 한국도 이런 일본의 교육 체제를 그대로 답습했기 때문에 한국의 문학 교육은 본질적인 면에서는 일본과 다르지 않다.

18.2 고등 교육

일본의 대학 진학률은 2015년 기준 54.6%[66]로 한국에 비하면 낮은 편이다.[67] 대학교에 '갈 수 있으면 가는 게 좋다'라고 생각하지만 꼭 대학에 가야 한다는 분위기는 아니다. 이는 일본이 전통적인 잇쇼겐메이(一生懸命)[68] 사상과 장인정신을 중시하는 사상에 입각해 가업을 물려주는 전통이 강하기 때문[69][70]이라고 서술되어 있었으나, 일본의 대학진학률이 한국보다 낮은 이유를 가업을 잇는 문화에서 찾는 것은 매우 황당한 일이다. 2014년 OECD 통계 기준으로 한국의 25~34세 '고등교육 이수율(Population with tertiary education)'[71]은 67.7%로 세계 1위이며, 일본의 경우 58.6%로 세계 2위이다.[72] 즉 한국뿐만이 아니라 일본의 '고등교육 이수율'도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편인 것이다. 그리고 애초에 가업을 잇는다고 해서 꼭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4년제 대학에서 가업과 전혀 무관한 전공을 배우고 가업을 잇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고, 가업과 관련된 2~3년제 단기대학(短期大學)을 졸업하는 경우도 있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대학 진학률'이 낮다는 것도 OECD 기준에서 맞지 않는 말이고, 이를 일본의 장인 정신이나 가업을 잇는 문화에서 찾는 것은 더욱 잘못된 것이다.

대학에 가지 않아도 취업이 가능하다는 것은 한국과 다른 점이지만 대학을 바라보는 시선은 한국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2014년 기준으로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하는 것이 힘들어서인지 한국과 비슷하게 대학에 가고 보자는 경향이 증가되는 추세다.

하지만 공부 외에는 신분 상승 수단이 없기 때문에 소위 대학입시 경쟁 역시 굉장히 치열한 편. 도쿄대와 교토대를 비롯한 각 지역의 제국대학을 필두로 주요 국립대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같은 명문 사립대 역시 각광을 받고 있다. 차이점이 하나 있다면 지방국립대의 입지가 한국과 반대로, 대개의 사립대를 뛰어넘는다.

대학 교육의 경우, 도쿄대교토대를 필두로 여러 대학들이 세계 대학 순위에서도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 학생들은 한국처럼 조기 유학으로 해외 대학에 진학하는 일이 적고, 서구 유학률이 높은 한국, 중국에게 점점 밀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올 지경. 실제로 이런 경향은 2015년 현재도 점점 심화되고 있다.

일본은 기초과학을 사회의 근간으로 중시하기 때문에 한국보다 대접이 좋은 편이다. 응용과학은 물론 그 바탕이 되는 기초과학 역시 발달한 편. 다만 이에 반해 응용이공계열(예로 전기전자공학, 기계공학 등)은 인기도의 하락으로 인해 다소 약하다. 한국과는 정 반대. 노벨상 배출자도 아시아 국가의 넘사벽 선두에 속한다. 한국에서 그나마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문학상 수상자를 이미 2명이나 배출시켰고[73] 그 외의 과학 계열 상도 22명이나 수상, 2016년 현재까지 노벨평화상을 받은 사토 에이사쿠 전 총리를 포함해 총 25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74][75] 노벨상 수상 횟수가 한 번 뿐인 한국과 비교하면 압도적인 횟수다. 한국은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은 바 있다. 일본은 2000년대 들어 노벨상 수상자가 급증하게 되었고, 이는 기초 과학을 중시하는 일본 정부와 학계의 수십 년에 걸친 노력의 결실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에는 이공계열 학과가 단 하나도 없는 대학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히토츠바시 대학이나 세이조 대학.

현재, 왜곡된 역사를 기술한 교과서를 검정에 통과시키는 등 국가적으로 역사왜곡을 장려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19 언론

320px-Newspapers_of_Japan_20090831.jpg
2009년 8월 31일 자유민주당에서 민주당으로의 정권 교체를 알리는 일본의 신문들.

언론자유지수28.672016년, 세계72위[76]

일본은 국경없는 기자회가 집계하여 순위를 매기는 Press Freedom Index에서 매년 상위권에 링크되고 있을 정도로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어있었다. 한때 11위까지 올라갔었으며 2011년 ~ 2012년 순위에서도 일본은 22위로 44위인 한국에 비해 높았으나 동일본 대지진 당시 정보 공개를 막은 일본 정부의 희대의 병크특정비밀보호법 때문에 1년만인 2013년엔 54위로 추락해버려 같은 기간 사이좋게 50위로 내려온(...) 한국에게 추월당해 버렸다. 이 순위는 2002년 집계 이후 일본이 기록한 가장 낮은 순위며 한국에게 역전당한 것은 2005, 2006년에 이어 3번째 2015년에는 둘이 사이좋게 60위, 61위를 다투고 있다.[77]

일본의 유명 신문으로는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 산케이 신문이 있으며 이 중 요미우리 신문이 가장 많은 발행 부수를 내고 있다. 방송 체계는 공영 방송인 일본방송협회(NHK)와 민간 방송의 두 가지로 구분되어 있는데, NHK는 수신 계약을 맺은 일본 국민들에게 수신료를 받는 대신에 광고를 내보내지 않고 있다. 다만 그 수신료를 받는게 정말 독하기로 유명하다. 민영방송은 닛테레, 도쿄방송, 후지 TV, TV 아사히, TV 도쿄, 독립 UHF 방송국 등이 있으며 신문사와 방송사의 겸영이 많은 편이다.

20 지진

지리상의 이유로 지진이 굉장히 잦은 편이라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대단하다. 건물들은 내진 설계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78] 해마다 거르지 않고 지진 대피 훈련도 실시 중. 초등학교에서부터 안전모 사용법과 지진 대피요령을 알려준다. 자잘한 지진은 수시로 일어나는 편이고, 2011년에 일어난 도호쿠 급의 '대지진'의 경우 약 150년 주기로 반복된다고 한다.

  • 2009년 여름에도 시즈오카 현에서 리히터 규모 6.5의 큰 지진이 발생했지만 대비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던 덕분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 2011년 3월 11일에 도호쿠 지역에서 140년만에 리히터 규모 9.0의 최악의 지진이 일어났다. 도호쿠 대지진 참조.
  • 2012년 1월 1일에 일본 동쪽 도리시마 근해에서 리히터 규모 7.0의 강진이 발생했지만 심해에서 발생한 지진이라 별다른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한다.
  • 2016년 4월 14일 21시 26분 구마모토 현(규슈) 구마모토 남동쪽 14km 지역 규모 6.4의 지진 진원지가 불과 10km 밑에서 일어나 규모에 비해 피해가 심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2016년 구마모토 지진 항목 참조.

전통적으로 일본 사회에서는 4대 공포 요소로 지진(地震), 번개(雷), 화재(火事), 아버지(おやじ)가 꼽혀왔는데, 여기서도 지진은 항상 첫 순위로 꼽힌다. 다만 '아버지'의 경우는 옛날 얘기로 이젠 오히려 가장 불쌍한 것으로 꼽힌다고. 잠시 아버지를 위해 눈물 좀 닦고

참고로 지진이란 건 언제 일어날지는 발동 직전에만 알 수 있으며, 초동 지진이 일어난 후 대략 1분 이내에 대피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재해이다. 그래서 일본에선 지진이 발생하거나 지진이 발생할 것으로 예보가 내려지는 순간 기상청 핫라인을 통해 일본의 모든 방송에 속보가 뜨고 휴대폰엔 속보 메시지가 뜬다고 한다. (심지어 일본 아이폰에서도 지원된다고 한다.) 공장 같은 데서도 핫라인 깔아두고 지진날 것 같으면 자동으로 기계 끄고 비상문 개방하는 시설을 갖춘 곳이 많다고. 긴급지진속보 문서를 참조.

21 국기

일장기 문서를 참조.

22 국가

기미가요 문서를 참조.

23 관련 문서

  1. 후쿠시마 원전 반경 30km 이내 및 일본 정부 지정 피난지시구역
  2. #
  3. 아래 본문 내용과도 통일. 일본의 공식 국호는 법령으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일본'과 '일본국'이라는 표현이 혼용된다. 하지만 여권이나 위키백과에서는 공식명칭을 日本国으로 사용하고 있고 실제적으로 법에 정해져 있지 않더라도 사실상 공식명칭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일본은 공용어(일본어), 수도(도쿄)도 법적으로는 공식으로 정하지 않은 헌법을 가진 문화이니 법에 안 정해졌다고 공식명칭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
  4. 물론 이것은 공식 국장은 아니고, 황실 문장이긴 하지만(...) 그래도 여권 등에 그려져 있는 탓에 국장으로 취급한다. 다만 더 정확히 보면 황실의 문장과 여권의 문양은 조금 다르다. 직접 비교하면 알 수 있지만, 황실의 문장과 달리 일본국 여권의 국화 문양은 홑겹이다. 그래도 일본에서 천황과 황실이 가지는 의미를 생각하면, 황실 문장이 실질적인 국장이라는 사실은 변함 없다. 닮았다.
  5. 출처는 여기. 이 면적은 일본이라는 국가가 지배하고 있는 4 6000개의 짜잘한 섬들의 면적을 모조리 합친 것으로, 일본 정부 자료다 보니 독도(0.19㎢)나 '북방영토'(5,033㎢)처럼 일본 측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한국이나 러시아 영토까지 포함된 면적.
  6. [1]
  7. '일본의 수도는 도쿄로 한다'라고 명확히 명시한 법은 없다. 하지만 쇼와31년(1956년) 법률 제83호 수도권정비법(首都圏整備法)을 비롯한 여러 법 조항에서 '수도권이란 도쿄를 중심으로 한 지역으로 규정한다'라는 식으로 하고 있어, 도쿄를 수도로 본다고 할 수 있다. 수도권이 '도쿄를 중심으로 한 지역'이니 수도가 도쿄가 되는 것은 상식적인 수준에서 말이 되기 때문.
  8. 주류는 아니지만, 덴노의 천도 칙령이 없었으니 여전히 교토가 수도라는 주장도 있다. 다만 제국 시절에도 도쿄를 제도(帝都)라 부르기도 하는 등, 현실적으로는 도쿄가 수도임에는 이견이 없다.
  9. #
  10. #
  11. 출처 : 여기
  12. 일본의 공용어를 일본어로 정한다는 법은 없으나 사실상 일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13. 일본 헌법은 일본이 세속국가임을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다. 단지 신토 신자 비율이 높다고 해서 신토를 사실상의 국교라고 볼 수는 없다. 터키 역시 무슬림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지만 명백히 세속 국가에 해당한다는 점을 생각해 보자.
  14.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country code top-level domain).
  15. 2010년대에 들어서 인터넷 주소 정책이 바뀜에 따라 지역도 일정 요건을 갖추면 최상위 도메인을 신청해서 등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일본 국내에서는 .tokyo 같은 도메인들이 속속 신규 등록되고 있다.
  16. 국제화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日本이 제안돼 있는데 일본에서는 큰 관심이 없는지 대한민국이나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제화 최상위 도메인과 달리 아직 등록되진 않았다. 등록되면 수정바람.
  17. 소메이요시노 종
  18. 덴노가의 상징으로 여권 표지 등에 쓰인다.
  19. 법으로 제정되지는 않았지만 1947년에 일본조학회(日本鳥学会)에서 국조로 일본꿩을 선정함. 한국꿩과는 다름.
  20. 가장 가까운 나라는 휴전선을 국경으로 맞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다.
  21. 수도간 거리로 봤을 때는 서울-베이징이 서울-도쿄보다 더 가깝다. 또 한국의 수도권을 기준으로 봤을 때 왕래하기에 지리적으로 더 가까운 곳은 중국이다.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주요 도시가 동부 연안에 집중되어있기도 하고.
  22. 를 따른 경우는 테크노스 저팬 정도이며, 보통 재팬이라고 부르고 표기한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자판(じゃぱん)으로 발음한다.
  23. /(j)ɪˈponʲɪjə/.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야포니야.
  24. 사실 일본어의 っ는 뒤의 자음을 받침으로 쓰는 문자다. 그래서 닙뽄정도의 발음이 나온다. 로마자 표기 때 "Nippon" 이라고 쓰는 것도 이런 이유.
  25. 본토에서는 보통 닙폰쪽이 더 많이 쓰인다. 일번오 조음법 상으로도 本(혼)이 탁음화되어 폰이 되고 일(니치)는 촉음이 되므로 닙폰이 맞다. 글자를 따로따로 읽은 니혼은 오히려 관용어 쪽.
  26. 일본귀자는 히노모토 오니코라고 일본인들이 발음한다.
  27. 아사히보다는 우측이나 요미우리보다는 좌측이다. 이쪽 매체가 대개 그렇듯이, 보수적이면서도 이해타산적인 측면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한일관계 현안도 아사히,마이니치 만큼 루즈하진 않더라도 산케이와 같이 심한 수준이나 요미우리 만큼은 아니다. 닛케이 서울 지국 기자들이 쓴 한국 현안 분석 기사(가령 2015년 롯데 경영권 사태)를 보면 언어만 일본어인 수준. 다만 태생적으로 친기업적인 면이 있다.
  28. 사실 요즈음은 그냥 닛케이(日経,Nikkei)를 밀고 있다. 한글로도 한자로 써도 짧지 않지만 히라가나나 알파벳으로 쓰기 쉽다. 영문 사명도 진작 Nikkei Inc.로 변경했다. 하지만 일본어 공식 제호와 사명은 여전히 '니혼케이자이신분','니혼케이자이신분샤'으로 읽고 있다(2015년 11월 라디오닛케이 아나운서 발음 기준)
  29. 이 시대 일본에 대해서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대일본제국의 줄임말인 일제(日帝)라는 말을 많이 쓴다고 했는데 한국사회에서 사용하는 '일제'의 원래 뜻은 '일본제국주의'의 준말이다.
  30. 일본 기준으로 보면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의 면적은 일본의 59%다.
  31. 1위는 그린란드, 2위는 뉴기니 섬(인도네시아파푸아 뉴기니가 나눠 점유한 섬), 3위는 보르네오 섬(인도네시아,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영토 일부를 모두 포함한 섬), 4위는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 섬, 5위는 캐나다의 배핀 섬, 6위는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섬이다. 8위가 캐나다의 빅토리아 섬, 9위가 영국 본토인 그레이트 브리튼 섬, 10위가 캐나다의 엘스미어 섬이다. 참고로 한국 최대 섬 제주도가 218위에 불과하다.
  32. 이 섬 하나가 일본 면적의 과반수를 차지한다.
  33. 북한이 점유한 강원도를 포함하면 강원도가 시코쿠보다 넓다.
  34. 홋카이도 본섬 77,984km²/한국 223,348km²
  35. 도쿄는 전주시, 대구광역시와 비슷한 위도에 있다. 중부 지방에 속하는 니가타 현은 경기도, 강원도 지방과 비슷한 위도에 있고, 니가타 시는 개성특급시과 비슷한 위도에 있다.
  36. 영해는 일단 국제법이 인정하는 12해리를 받아들이고는 있다.
  37. 형식적이긴 하지만 팔라우의 일부 주에선 일본어가 공용으로 지정되어 있다.
  38. 수렴형 경계에서 지각 안으로 말려들어가 배니오프대에서 소멸하는 지각은 밀도가 큰 해양 지각이다.
  39. 삼지연과 서귀포의 1월 평균기온 차이가 29.7℃, 아사히카와와 이오 섬의 1월 평균기온 차이가 27.8℃다.
  40. 정확히는 시베리아 기단이 쓰시마 난류를 통과하면서 습기를 머금게 되는데 이게 호쿠리쿠나 도호쿠 지역에 있는 산맥들에 부딪히면서 폭설을 말 그대로 퍼붓게 되는것.
  41. 호쿠리쿠나 동해(한국 입장에서) 연안 지역에 눈을 뿌리면서 건조해진 대기가 산맥을 넘어서 태평양쪽으로 오는데 이 한랭건조한 바람을 '오로시(颪)' 혹은 '카랏카제(空風)'라고 부른다.
  42. 사실 한국(서울 28.1℃)의 연교차가 워낙 커서 그렇지 도쿄(21.2℃)의 연교차도 서유럽의 런던(13.5℃)이나 파리(15.6℃) 같은 곳보다는 훨씬 크고, 중부 유럽 내륙에 있는 부다페스트(21.1℃) 같은 곳과 비슷한 정도다.
  43. 러시아가 1억 4천만이니 10% 정도의 차이다.
  44. 아직까진 인구 감소기 초반이라 감소세가 확연하진 않다. 다만 추세를 보면 2006년 -0.04%로 전후 최초로 총인구가 감소했으며 이듬해 0.03%로 반전. 이후 3년 연속 -0.05%, -0.10%, -0.09% 감소. 그리고 2011년 0.27%로 재반전해 고점 경신. 그러나 2012년 다시 -0.29% 감소를 기록했는데 인구 하방 압력이 점차 강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3년에는 -0.19% 감소를 기록하면서 계속해서 인구가 줄고 있다. 국제 이동을 배제한 순수 자연 변동은 2007년부터 쭉 감소세로 2012년엔 21만명의 자연 감소로 감소폭이 꾸준히 커지고 있다.
  45. 때마침 일본의 산아제한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게 1949년부터인데 이게 제대로 효과가 먹혀서 이미 1950년대 중반에 출산율이 2명대로 떨어져서 아시아에서 가장 출산율이 낮은 국가가 되었고, 50년대 말부터 60년대 초반에는 일본보다 출산율이 낮은 국가(당시 일본의 출산율이 2명대 초반 정도의 수준이었다.)는 그야말로 손에 꼽을 지경이 되었다. (다만 60년대 중후반들어서는 유럽과 소련, 북미 지역의 출산율이 1명대 후반대까지 떨어지면서 얘기가 달라지기는 하다.) 당시 타 아시아 국가들의 출산율이 4명대면 낮은거고 5-6명 정도면 보통인 수준이었으니 인구 순위가 떨어지는게 당연했다. 거기다 이때의 출산율이 70년대 중반까지 유지되었고, 이후에는 정책이 변화되었다고 하지만 70년대 초반수준의 출산율도 회복을 못하는 수준이니 인구 순위가 올라갈래야 갈수가 없던것(...)
  46. 서유럽과 동아시아는 전통적인 인구 밀집 지역이다. 현재는 남아시아가 세계 최대의 인구 밀집 지역이고 유럽의 인구 비중은 세계 인구의 10% 남짓이지만 1800년대에는 25%를 넘었다. 유럽이 산업혁명을 이루고 신대륙 이주, 식민지 건설등을 할 수 있었던 데에는 인구가 많다는 점도 큰 요인이었다.
  47. 여기에 따름.
  48.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real_population_density_based_on_food_growing_capacity 이는 남한 한정으로, 한반도 전체는 일본과 산지 비율이 약 70%로 비슷하므로 큰 차이는 없다. 남북한 통합 인구밀도가 340명 정도로 일본 인구밀도와 비슷하기도 하고. 하지만 한반도와 비슷한 면적의 혼슈에는 한반도보다 3000만 명이나 더 산다. 그래도 한반도보다 넓은데
  49. 간토 전체의 면적은 대한민국 전체 면적의 3분의 1정도, 인구는 대한민국 전체 인구보다 800만 명 적다. 참고로 실질적인 일본 수도권(도쿄+가나가와+사이타마+지바)은 한국 수도권보다 약간 넓은데 인구는 1,000만 명 더 많다.
  50. 이 섬 하나가 남한 면적의 약 4/5에 상당한다. 인구남한의 1/9 수준.
  51. 웬만한 세계 통계기록에서 다 일본이 1위다. 2010년 이후 통계기록 중에 소수 기록에는 일본보다 평균수명이 높은 나라들이 있지만 전부 안도라산마리노, 마카오, 모나코 처럼 미니국가, 즉 인구도 면적도 세계적으로 매우 작은 나라들 몇몇 뿐이다. 그에 비해 일본은 인구 1억이 넘는데도 평균수명이 높으니 기본 규모가 있는 국가 중에는 일본 평균수명을 당할 국가가 없다.
  52. 다만 일본의 장기불황 + 디플레이션은 세계적으로도 극히 희귀한 사례다. 학계에서도 끔찍한 불황이었지만 저 정도면 연착륙에 성공한거 아니냐(...)는 식의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세계 경제가 암울하므로 한국은 이 과정을 무난하게 거치면 다행인 수준. 결정적으로 한국에는 강력한 내수시장이 없다.
  53. 사실 여기에는 일본이 독일 같은 다른 나라와 달리 순혈주의 때문에 이민을 꺼리는 것도 크다.
  54. 가와사키사이타마는 인구수로는 히로시마센다이보다 더 많지만, 사실상 일본 수도권 팽창 과정의 연담도시화로 인해 커진 도시들이라 주요 도시로는 꼽지 않는다. 이에 비해 히로시마주고쿠, 센다이도호쿠의 지역 중심 도시로서 그 중요도가 크기 때문에 이들을 보통 주요 도시로 꼽는 것이다.
  55. 2015년 4월 도쿄도에서 최초로 중핵시로 승격하였다.
  56. 참고로 시코쿠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에히메 현의 현청 소재지인 마츠야마 시로 히메지(26위)에 바로 뒤진 27위다. 51만 7천 88명.
  57. 오키나와의 최대도시 나하의 인구는 32만 명. 하지만 나하 시의 면적은 굉장히 작은 편이고(약 40km²), 인접한 지역들과 묶어서 도시권을 설정해보면 인구가 118.5만(2015년), 면적 478km²로 왠만한 정령지정도시급이 된다. 게다가 관광객도 많기 때문에 체감 유동인구는 훨씬 많은 편. 나름 도시철도(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도 있고.
  58. 대한민국 수도권보다 약간 작은 정도다. (면적은 경기도와 비슷하다.) 흔히 제2의 도시권이라는 상대적 위상의 공통점 때문에 오사카와 일본 관서지역의 현지화 배경이 부울경 혹은 부산·울산권 지역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절대적 규모는 부울경과 나고야 광역권이 더 비슷한 편이다.
  59. 점수가 낮을수록 부패하다고 인식되는 국가, [2]
  60. 수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가 없는 국가, 언론자유 최상은 0점, 언론자유 최악은 100점, 2013년 이전 자료는 수치가 넘어가는 것도 존재한다, [3]
  61. 우리나라에서도 중학교는 입시로 들어갔으나, 무즙 파동창칼 파동으로 인해 1969년 완전 폐지되었다. 그리고 중학교 입시의 폐지로 인해 일명 명문중이라 불리던 경기중학교도 1971년 2월 28일 경기고등학교와 통합되는 쪽으로 폐교되었다.
  62. 도쿄 도 신주쿠 구의 경우
  63. 유치원, 소학교부터 시작하는 곳도 있다.
  64. 사실 동아시아권에서 중고일관교 시스템이 없는 국가는 한국밖에 없다. 일본, 중국, 대만 모두 중고일관교가 존재하며 북한에도 김정일이 다녔다는 만경대혁명학원을 필두로 하는 일관제 학교가 있다.
  65. 예를 들면 작가의 딸이 학교에서 받은 과제 중에서 "'반딧불의 묘' 작가의 당시 심경에 대해서 제출하라." 라는 내용이 있어서 그걸 아버지에게 묻자 아키유키는 "음, 마감에 치여 필사적이었다"라고 말했는데 그걸 그대로 제출한 딸이 낙제점을 받았다(...)는 일화가 있다.
  66. 일본 문부과학성 발표. 이는 한국의 전문대학에 해당하는 단기대학을 포함한 수치이다.
  67. <2016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 진학률은 69.8%이다. 참고로 여기서 '대학 진학률'은 전문대학, 교육대학, 방송통신대학, 산업대학, 기술대학, 원격대학, 사내대학 등을 포함한 수치이다. 즉 대학과 단기대학으로의 진학만을 따진 일본의 대학 진학률에 비해 과대평가된 것이며, 따라서 한일 대학 진학률 격차는 앞서 언급된 두 수치보다는 좀 더 작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68. 평생 목숨을 바친다는 뜻. 한국어의 '열심히'를 표현하는 일본어가 잇쇼겐메이이기도 하다. 물론 인생 처음부터 끝까지를 다 의미하는 단어라 '열심히'보다는 더 강한 개념이다.
  69. 이 가업을 중요시 여기는 전통 때문에 역사가 긴 장수 기업이 엄청 많다. 역사가 200년을 넘어가는 기업이 3,000개 이상으로, 숫자만 놓고 보면 세계적으로도 독보적인 수준. 그러나 이것이 다 규모가 큰 걸 의미하는 건 아니다. 매우 규모 작은 기업도 많다.
  70. 한국에서도 가업을 잇는 사람들이 꽤 있지만 그것이 큰 수입이나 큰 역사와 규모를 가지는 직업이 아니면 사회적으로 조금 무시하는 성향이 있는데, 일본은 10평도 안 되는 라멘집을 80년 이상 가업으로 해도, 오히려 가업을 물려받는 자식들이 불편해하는 경우가 있을지언정 사회적(타인의 일반적 관점)으로는 자랑스러운 일을 이어간다고 인정받고 아들이 2명만 되어도 1명은 무조건 물려받는걸 암묵적으로 요구한다. (물론 자식들이 거부하는 경우도 있지만 마찰이 심하다.) 한국처럼 부모가 나서서 '너는 크기도 작고 돈도 많이 못 버는 내 식당을 이어받느니 공부 잘해서 공무원 되거나 대학가서 대기업 가라'는 의견이 강하지는 않다.
  71. 한국어 명칭은 2014년 교육부 발표 자료를 따름.
  72. 이는 OECD에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집계한 것이며, 4년제 대학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에서 이른바 '대학진학률'이라고 부르는 지표도 4년제 대학 외에 다양한 고등교육 기관을 포함한다.
  73. 카와바타 야스나리, 오에 겐자부로.
  74. 이 항목은 2015년 생리의학상 수상까지 갱신한 지 하루 만에 또 다시 갱신하게 되었다. 일본이 생리의학상 수상 바로 다음 날에 물리학상도 수상했기 때문(...) 게다가 물리학상의 경우 2014년에 이어 2년 연속 수상이다.
  75. 2016년 생리의학상 수상. 이 수상으로 일본은 2년 연속 생리의학상 수상, 3년 연속 노벨상 수상이라는 영광을 쥐었다.
  76. 수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가 없는 국가, 언론자유 최상은 0점, 언론자유 최악은 100점, 2013년 이전 자료는 수치가 넘어가는 것도 존재한다.
  77. 출처는 여기. 오른쪽을 보자. 년도를 바꿔서 볼 수도 있다.
  78.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한국 내진설계는 잘 안되있는 것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