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전한)

晁錯

기원전 200년 ∼ 기원전 154년

1 생애

영천(潁川, 지금의 하남성 우현) 출신으로 한나라 경제의 신하이다. 일찍이 신불해와 상앙의 학문을 배운 사람이었다. 효문제 때 유가의 오경(五經) 중에 하나인 서경인 상서(尙書)를 제대로 배운 사람이 없었는데 오직 제나라의 복생(伏生)이란 인물이 옛 진(秦)나라의 박사(博士) 출신으로 상서에 정통했지만 나이가 이미 90이 넘어 불러올 수 없었다. 이에 황제는 태상에 명을 내려 적당한 사람을 파견해 그의 학문을 전수받게 했다. 이때 선발된 인물이 바로 조조였다.

복생에게 상서를 배우고 돌아온 조조는 자주 상서를 인용해가며 국정에서 유익한 일을 하였고, 문제에게 신임을 받았다. 또한 그는 태자였던 유계에게 신임을 받아 그의 꾀주머니로 통했다. 조조는 원앙과 마찬가지로 제후들의 봉토를 깎으라고 계속해서 주청하였지만 다툼을 싫어하는 한문제는 원앙의 때와 마찬가지로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문제는 조조가 재능이 있는 사람이라는것은 알았지만 조조의 성격에 문제가 있었다.

조조는 철두철미했으나 너무 비정했고 강직했으며 각박한 이른바 유통성이 없는 성격이었다. 그러하여 승상 신도가(申屠嘉)와 원앙 등 많은 대신들의 미움을 받았기에 조조는 자신의 뜻을 펴기가 쉽지 않았다. 송나라의 왕안석이 생각나기도 한다.

하지만 문제가 죽고 경제가 즉위하자 상황은 달라졌는데, 조조는 경제의 신임을 바탕으로 권력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조조는 언제든지 주위의 신하들을 밖으로 나가게 하고 경제와 독대하여 계책을 올릴수가 있었다. 조조는 여러 신하들과 제후왕들을 감찰할수 있는 어사대부(御使大夫)에 임명되었고 제후들의 죄와 과오를 묻고 봉토를 삭감하자고 상소를 올렸는데, 상소문의 양이 무려 30여 장(張)에 이르렀다. 모든 신하들이 조조에 대한 황제의 신임을 알고 있었기에 감히 반대하지 못했고, 오직 대장군 두영만이 반대하였다. 결과적으로 조조는 두영과도 멀어지게 되었다.

그의 정책인 제후의 영지 삭감책이 한 경제에게 승인을 받아 시행하자, 그로 인하여 오왕 유비가 주축이 된 오초7국(吳楚七國)의 난을 일어나게 되었다.

그리고 사마천의 《사기》열전 중 <원앙조조열전>의 조조가 바로 이 사람이다.

2 이름 표기 논란

참고로 이 시대의 조조(鼂錯)는 삼국시대의 조조(曹操)가 아니다! 실제 발음은 조착이다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오늘날 우리가 조조의 '錯'를 '조'로 읽는 것은 당대의 주석가인 안사고의《한서주(漢書注)》에서 '晁錯'의 '錯'에 대하여 "錯音, 千故反"라 주석한 데서 기인한다. '千故反'은 '措'나 '厝'의 독음(이들 글자들 또한 현대중국어에서 cuò로 읽는다.)이므로 '晁錯'는 조조라 읽는 것이 맞다. 발음에 대해서 反이라고 표기된 글자는 앞 한자 독음의 자음, 뒷 한자 독음의 모음을 따면 한국어 음가와 거의 유사해진다. 그렇게 읽으면 錯는 초 아니면 조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조조(曹操)와 구별하기 위해 조착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조조(동음이의어)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