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허버트 미드


AGHM.jpg
George Herbert Mead 1863-1931

1 개요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 1863-1931)는 미국사회학자이며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창시자격인 인물이다. 철학과 사회심리학을 주로 배우다가 사망하기 이전까지 시카고 대학의 철학과에서 강의하였는데 그가 연구하던 철학적 사회심리학과, 사회학적 사회심리학이 상호적으로 결합하며 상징적 상호작용론 학파가 탄생하게 된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시초가 그의 자아 이론에서 출발하였으며, 인간은 타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를 형성하는데 타자의 역할을 취해봄에 따라 자기 자신을 객관화해 보기 시작하면서 자아가 형성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2 사상

그는 유기체와 그 환경세계에 대한 이론을 사회학의 영역에 적용시켰는데 그의 말에 따르면 인간 자아에는 'I'와 'Me'가 있다고 한다. 'I'는 주체적 자아로서, 주체적 행동을 유발하는 개인적 측면의 자아이며 'Me'는 객체적 자아로서, 사회의 규범과 가치 및 기대가 사회화 과정을 통해 내면화된 사회적 측면의 자아이다. 'Me'는 일반화된 타자들(Generalized Others)의 기대를 내면화한 자아이면서 동시에 'I'가 유발하는 주체적인 행동을 사회적 욕구에 맞게 조절한다. 인간의 자아는 이렇게 두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 양자가 한 인간 안에서 서로를 견제한다. 지킬박사와 하이드씨냐 자아 속에 'I'와 'Me'는 상호 균형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데, 'Me'가 없을 경우 남들과의 체계적인 상호작용을 이룰 수가 없고 'I'가 없으면 타자와의 상호작용은 기계적인 것에 불과하게 된다. 개인과 사회는 이런 식으로 상호연관적이며 역사 또한 거기서 형성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악셀 호네트에게 상호인정의 중요성을 알아차린 두명이라고 평가받는다.[1] 미드는 사람이 서로를 인정하는 방식을 3가지로 나누었는데 사랑,권리인정,가치인정 등이다. 사랑은 주변인에게서 소중한 사람이라고 인정받는 것으로 이것이 부족하여 주변인들에게 소외당하면 '심리적 죽음' 상태에 처하고, 권리인정은 사회에게서 개인이 가지는 당연한 권리를 인정받는 것으로 이것이 부족하여 개인의 권리가 침해당하면 '사회적 죽음'상태에 처하며, 가치인정은 타인에게서 명예를 부여받거나 아니면 가치있는 사람으로 인정받는 것으로 이것이 침해당하는 상태를 '모욕'이라 한다.[2]
  1. 나머지 하나는 헤겔
  2. Axel honneth,'인정 투쟁',문성훈 외 1인 역,사월의책,2011,2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