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주의

이 문서는 프래그머티즘으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언어별 표기방식
실용주의 (한국어)
實用主義 (한자)
Pragmatism (영어)
Pragmatismus (독일어)
Pragmatisme (프랑스어)
Прагматизм (러시아어)
实用主义 (중국어 / 간화자)
プラグマティズム (일본어)

1 개념

공리주의를 응용한 미국철학방법론.

가용성(可用性, Availability)을 사물의 본질로 보는 철학적 입장 혹은 그 체계. 즉, '쓸 수 있다면 쓰겠다.'는 것을 제 1의 목표로 삼는 철학적 방법이다. 사물 뿐만이 아니라 논의나 생각에서도 "눈에 보이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을 이야기 하자"는 입장이다. 영어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을 그대로 부르기도 한다. 이 명칭은 그리스어의 '프라그마(Πράγμα)'[1]에 유래한다. 19세기 후반에 미국 동북부에서 최초로 등장하여, 20세기에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다만 프래그머티즘과 실용주의는 구별해야 한다.

실용주의의 기반에는 경험론, 도구주의, 실험주의 등이 있다.

2 필수요소

  • 그 대상은 가용성이 있어야 한다.

3 한계 및 문제점

  • 실용주의가 자체적으로 추구하는 이데올로기적 지향점이 없다. 자유주의인간의 존엄성 보장 및 자유의 증진을 지향하고, 사회주의혁명을 통해 공산주의 사회(모두 고루 나눠가지는 사회) 구축을 지향하는 등 각각의 지향점이 있지만, 실용주의는 '필요하다면 어떠한 것이든 가져다 쓰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사실상 이데올로기적 지향점의 공백'이라고 할 수 있다. 왜 그런가 하면 실용주의는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철학방법론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 이데올로기적 공백을 채워줘야 함에도, 그런 것 없이 지성(이데올로기)과 도덕성이 결여된 인물이 이것을 추구할 경우에는 "내 마음대로 할거야."가 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 실용주의자가 아닌데도 정치적 비판회피하기 위해서 스스로를 실용주의자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중도파처럼 행세하는 것이다. 그러나 몇 번만 대화해봐도 실용주의에 대한 기본 지식도 없고 중도파도 아님이 드러난다.

4 대표적 인물

미국철학 사조이다보니 아래의 인물은 거의 다 미국인이다.

4.1 실용주의자

4.2 신실용주의자

5 쓰임

  1. 영어로는 Pragma이며, 의미는 '행위(Thing)'이다.
  2. 윌리엄 제임스는 '실용주의는 물질주의적 편견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한다. 윌리엄 제임스(2008), ≪실용주의≫, 정해창 편역, 아카넷, p.278.
  3. 후스는 중국의 계몽운동가 및 철학자로, 자(字)는 스즈(適之)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