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은행

logo_01.png

SWIFT 코드없음[1]
금융기관코드0039

홈페이지

1 개요

じぶん銀行. Jibun Bank Corporation
일본은행.

흔히 말하는 인터넷 은행으로, 위 사진에 뻔히 나와 있듯 미쯔비시도쿄UFJ은행au가 협업하여 2008년 6월에 개업한 은행이다. 두 회사가 각각 50%씩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KDDI는 통신 인프라를, 금융상품 설계는 MUFG가 하는 형태로 분업하고 있다. 일본 최초로 휴대폰 번호로 직접 송금할 수 있는 전화번호송금(携帯番号振込)을 개시하는 등, 점포가 아예 없기 때문에 모든 구조가 다 인터넷 상에서 돌아가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2]. 계좌를 개설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및 컴퓨터에서 신청해서 약 2주 정도에 현금카드와 인터넷 뱅킹 암호카드가 도착하면 거래 시작 가능.[3].

2 수수료

일본어 안내

au 프리미엄 뱅크(プレミアムバンクfor au)가 수수료 면제혜택으로 유명했으나 2015년 10월 1일부터 상당부분 변경되어 아쉬움을 샀다.
필요 조건은 다음 두 가지이며

  • 계좌 개인 정보에 au ID를 등록
  • 해당 au ID에 au 휴대전화, au 태블릿, au 광랜, au 케이블인터넷 중 1개가 등록되어 있음

보다시피 그렇게 어렵지는 않은데, 이 두 조건을 만족하면 일본 내 주요 편의점 ATM[4]과 우체국, UFJ은행에서 입출금이 무료이다. 만약 au 가입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유초은행 ATM에서 출금시 월1회 무료, MUFG, 앞서 언급했던 세븐은행, 이넷, 로손 등 편의점 ATM 이용시 월 3회까지 무료이다.
타행 송금의 경우 프리미엄 뱅크 고객은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시 타행 송금 수수료가 한달에 5회까지 무료이고 UFJ은행과 자행은 언제나 무료이다. SBJ은행(일본 신한은행)도 다이렉트뱅킹 이용시 한달에 5회 타행송금 수수료가 무료인데 비슷하다.

시간을 내서 운전면허증 하나 만들어 두고 신세이은행이나 이 은행 계좌를 개설해 두면, 심야에 돈 뽑을 일이 많은 위키러일 경우 뼈저리게 수수료 혜택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단 매월 둘째 주 토요일 밤 9시~익일 오전 7시는 모기업인 MUFG 전산이 내려가므로 그 시간대에는 이용 불가.

최근 인터넷은행들의 트렌드인 외화계좌에 굉장히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MUFG 수준의 자세한 투자 포트폴리오로 더 높은 이윤을 챙길 수 있어서 유저들에게도 인기가 좀 있고, 수수료 혜택으로 상당한 규모의 요구불예금 예치금을 모아들이면서 개설된 지 10년이 되지 않은 은행임에도 양 기업에게 굉장한 효자 역할을 하고 있다. 수수료 특가 프로그램이 au에 가입하지 않으면 제대로 쓸 수가 없다는 점이 굉장히 중요하게 작용해서, 이 프로그램이 나온 작년 9월 이후부터 au는 MNP 시장에서 드디어 소프트뱅크의 수세를 막아내는 데 성공, 심지어 중간중간 독주에 재를 뿌리기도 했다.
  1. 분명히 전산은 미쯔비시도쿄UFJ은행 전산에 얹혀 쓰고 있는데 SWIFT 코드가 아직 없다. 만들 계획도 당장은 없다고. 라쿠텐은행도 있는데 왜?
  2. 가끔 대면업무가 필요할 경우 au 직영점이 그 대행 역할을 한다.
  3. 일본 국내 운전면허증이나 카드형 건강보험증이 있으면 스마트폰에서 카메라로 촬영해서 신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단 4일에 도착하기도 한다.
  4. 말이 주요지 사실상 80% 이상이라고 보면 된다. 가맹 편의점이 세븐일레븐, E-net(패밀리마트 등), 로손, 서클 K, JR 히가시니혼 역내 ATM 등등, 사실상 좀 규모 있는 편의점은 거의 다 무료 대상에 포함되어 있다. 단 미니스톱 등 이온 관계사들은 예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