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창원시 시내버스,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
목차
- 1 개요
- 2 20번 (경남대학교-대방동)
- 3 21번 (월영아파트-소답동)
- 4 21-1번 (경남대학교-북면온천)
- 5 21-2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 6 21-3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 7 21-4번 (명주-소답동) - 신흥여객
- 8 21-5번 (경남대학교-신성)
- 9 21-6번 (죽동-경남대학교)
- 10 21-8번 (경남대학교-신전)
- 11 21-9번 (합성동-둔덕)
- 12 22번 (해운중학교-성주사역)
- 13 23번 (경남대학교-대방동)
- 14 24번 (마산역-원전)
- 15 24-1번 (합성동-구복)
- 16 24-2번 (합성동-욱곡)
- 17 24-3번 (합성동-옥계)
- 18 24-5번 (소답동-명주(순환)) - 신흥여객, 마창8개사
- 19 24-6번 (소답동-명주(순환)) - 신흥여객, 마창8개사
- 20 24-7번 (주도-대방동) (폐선) - 신흥여객
- 21 25번 (월영아파트-소답동)
- 22 26번 (덕동-소계동)
- 23 26-1번 (덕동-소계동)
- 24 26-2번 (덕동-소계동)
- 25 27번 (월영아파트-창원전문대(순환))
- 26 27-1번 (경남대학교-창원전문대(순환))
- 27 28번 (경남대학교-창원터미널)
- 28 29번 (가포본동-소답동) (폐선)
1 개요
20번대 노선은 경남대-합포로 축으로 운행하는 노선에 부여되던 번호대였다.
2 20번 (경남대학교-대방동)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터미널 - 대원동 - 충혼탑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대방동
마산시 창원출장소 시절부터 다니던 노선으로 원래 1980년대까지는 40번과 함께 창원 구간을 순환하던 노선[1]이었으나, 1988년에 대방동으로 연장되면서 위 노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변동 없이 2005년 개편때 까지 운행하였다.
개편 때 폐선되었다.
3 21번 (월영아파트-소답동)
월영아파트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소답동
역사와 전통이 있던 노선으로 월영아파트 연장만 제외하면 개편 전까지 변동 없이 꾸준히 다니던 노선. 아주 오래전, 소답동이 순수 마산시였던 시절부터 다니던 노선. 인지도도 대단히 높은 편이라 읍면노선들이 시내 노선 번호대로 바뀔때 줄줄이 이 노선의 지선번호로 바뀔 정도였다.[2]
한 때 창원이 개발되기 전에는 10분대 간격으로 다닐 때도 있었으나, 창원시 개발과 반비례하여 이 노선은 몰락하여 개편 직전에는 63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3]
개편 때 공식적으로는 폐선되었다. 실질적으로는 창원 버스 102가 전 구간을 대체하고 있다.
4 21-1번 (경남대학교-북면온천)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창원여중 - 동정동 - 굴현고개 - 화천리 - 동전입구 - 신동 - 북면사무소 - 북면온천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북면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0-1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21번대 북면행 노선 중에서 제일 맏형에 해당하는 노선으로 실제 배차도 3대 54분 간격으로 다녔었다. 시간대 별로 오곡, 초소, 상천, 명촌, 아산, 외감, 내감을 일부 경유하였다.
개편 때 지선 구간은 모두 동생들에게 넘겨 주고 창원 버스 20이 되었다.
5 21-2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북면온천 - 북면사무소 - 신동 - 동전입구 - 화천리 - 굴현고개 - 동정동 - 창원여중 - 창원역 - 한국전력 - 시외터미널 -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북면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0-3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공식적으로는 북면 기점, 경남대 종점인 노선인데, 실질적으로는 경남대 기점으로 운행하였던 노선이다. 다만 21-1번과는 달리 첫차는 북면에서 출발하였다. 시간대 별로 초소와, 상천을 일부 경유하였다.
개편 때 창원 버스 21이 되어서, 이 노선의 지선구간이 정규노선화 되었다.
6 21-3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북면온천 - 북면사무소 - 신동 - 동전입구 - 화천리 - 굴현고개 - 동정동 - 창원여중 - 창원역 - 한국전력 - 시외터미널 -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북면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0-4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공식적으로는 북면 기점, 경남대 종점인 노선인데, 실질적으로는 경남대 기점으로 운행하였던 노선이다. 다만 21-1번과는 달리 첫차는 북면에서 출발하였다. 시간대 별로 갈전과 무동을 일부 경유하였다.
개편 때 창원 버스 22이 되어서, 이 노선의 지선구간이 정규노선화 되었다.
7 21-4번 (명주-소답동) - 신흥여객
명주 - 군령삼거리 - 다구 - 광암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소답동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명주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4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시외버스 당시 신흥여객이 이 노선에 공동배차 한것으로 추정된다.
시간대별로 석곡, 수정을 경유하였다. 24-7번이 폐선된 이후 1대 증차되어 주도마을도 추가로 경유하였다.
시외버스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소답동으로 연장된 이래 시간대 노선 추가만 제외하면 노선 변동이 전혀 없다. 2001년 마산역 칼질때도 살아남았고, 2005년 개편때 환승센터 칼질때도 살아 남았을 정도.
개편 때 노선번호만 창원 버스 65로 바뀌어서 존치되었다.
8 21-5번 (경남대학교-신성)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창원여중 - 소답시장 - 소답초등학교(본포방향)/윤병원 - 사단앞(경남대 방향) - 만남의광장 - 용잠삼거리 - 다호 - 석산 - 봉곡 - 봉강 - 본포 - 신전 - 신성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동읍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2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동읍방면 21번대 노선중 맏형으로써 2대로 운행하였다. 원래는 본포까지만 운행하였으나, 본포-신전간 도로가 개설됨에 따라 신성까지 운행하였다. 하루 1회 죽동으로 운행하는 지선도 있었다.
개편 때 창원 버스 40이 되어서, 남모산까지 연장되었다.
9 21-6번 (죽동-경남대학교)
죽동 - 봉강 - 봉곡 - 석산 - 다호 - 용잠삼거리 - 만남의광장 - 사단앞 - 윤병원(경남대방향)/소답초등학교 - 소답시장(죽동 방향) - 창원여중 - 창원역 - 한국전력 - 시외터미널 -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동읍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2-2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공식적으로는 죽동 기점, 경남대 종점인 노선인데, 실질적으로는 경남대 기점으로 운행하였던 노선이다. 다만 21-5번과는 달리 첫차는 죽동에서 출발하였다. 하루 1회 송정마을까지 연장 운행하였다.
개편 때 창원 버스 42가 되어서, 송정까지 연장 및 기존 시내버스가 운행되지 않던 가술, 산남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10 21-8번 (경남대학교-신전)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창원여중 - 소답시장 - 소답초등학교 - 만남의광장 - 용잠삼거리 - 다호 - 석산 - 봉곡 - 봉강 - 죽동 - 대방 - 대산면사무소 - 모산 - 일동 - 신전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동읍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2-2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여담으로 개편 직전 마산/창원 시내버스 중에서 운행 소요시간이 두번째로 긴 노선이었다. 그래서 하루 4회 밖에 운행하지 않았다. 가장 긴 노선은 같은 신전을 들어오는 392번.
개편 때 창원 버스 41이 되어서, 본포로 연장되었다.
11 21-9번 (합성동-둔덕)
마산역 - 시외터미널 - 양덕1동(둔덕방향)/한일타운(마산역방향) -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태봉 - 진동 - 진북면사무소 - 국군마산병원 - 진전면사무소 - 개양 - 대정 - 의산 - 둔덕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둔덕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번호는 불명.
개편 때 창원 버스 76이 되어서 진동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12 22번 (해운중학교-성주사역)
해운중학교 - 대동씨코아 - 해안도로 - 대우백화점 - 신해안도로 - 신세계백화점 - 운동장 - 경남은행본점 - 시외터미널 - 창원역 - 소답시장 - 도계주유소 - 명지여고 - 상북초등학교 - 지귀상가 - 봉곡동 - 창원의집 - 경남도청 - 병무청 - 수협도지회 - 상남시장 - 남산동 - 성주사역
굴곡도 꽤 있는 편이고 거기다 장거리에 수요가 적은곳만 골라 다니던 노선이라, 파행운행이 잦던 노선이다. 원래 노선은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병무청 - 삼일상가 - 상남시장을 경유하여 천선동(현재의 성주사입구)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몇번의 변경을 통해 위 노선으로 정착되었다.
개편 때 창원 구간만 공식적으로 창원 버스 213이 되긴 했지만, 213번은 명지여고, 대원동 경유만 제외하면 구 43번과 거의 같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폐선이다.
13 23번 (경남대학교-대방동)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터미널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성산아트홀 - 경남도청 - 병무청 - 은아아파트후문 - 사파동성아파트 - 대방동
마산시 창원출장소 시절부터 다니던 노선으로 원래 1980년대까지는 43번과 함께 창원 구간을 순환하던 노선[4]이었으나, 1988년에 대방동으로 연장되면서 위 노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변동 없이 2005년 개편때 까지 운행하였다.
개편 때 폐선되었다.
14 24번 (마산역-원전)
마산역 - 한일타운 -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반동 - 난포 - 심리 - 원전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원전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0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4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운행하였으나 2001년 통합노선 단축때 마산역으로 단축되었다.
시간대별로 용호를 경유하였으며. 원전 출발 아침 1회 한정 덕동, 가포 경유로 운행하였다.
개편 때 창원 버스 62이 되어서 수정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15 24-1번 (합성동-구복)
마산역 - 시외터미널 - 양덕1동 -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반동 - 장구 - 구복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구복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0-1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4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운행하였으나, 90년대 후반에 합성동으로 단축되었다.
개편 때 24-2번과 통합, 창원 버스 61이 되어서 수정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16 24-2번 (합성동-욱곡)
마산역 - 경남은행본점 - 무학여고 - 불종로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내포 - 욱곡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욱곡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0-2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4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운행하였으나, 90년대 후반에 합성동으로 단축되었으며, 2001년 통합노선 단축 당시에 명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환원되었다.
일부 시간대에 안녕, 욱곡, 구복으로 운행했던 적도 있으나, 안녕마을 노선이 24-3번으로 정착된 이후에는 일부 시간대 반동, 유산 경유로 운행하였다.
개편 때 24-1번과 통합, 창원 버스 61이 되어서 수정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17 24-3번 (합성동-옥계)
마산역 - 시외터미널 - 양덕1동 -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안녕 - 옥계 - 반동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옥계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0-3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4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운행하였으나, 90년대 후반에 합성동으로 단축되었다.
2001년 통합노선 단축 이전까지는 2대로 운행하였는데, 2대가 노선이 달랐다. 1반은 옥계경유 원전행이었으며, 2반은 안녕경유 옥계행이었다. 이후 1대로 감차되면서 시간대별 반동, 안녕 경유로만 운행하게 되었다.
개편 때 창원 버스 60이 되어서 수정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18 24-5번 (소답동-명주(순환)) - 신흥여객, 마창8개사
소답동 - 창원역 - 한국전력 - 시외터미널 -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태봉 - 진동 - 광암 - 다구 - 군령삼거리 - 명주 - 욱곡 - 내포 - 수정 - 현동초등학교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소답동
2002년 3월경 신설된 노선으로 신흥여객과 마창8개사 매일 번갈아 가면서 운행하였다. 24-6번과 함께 진동-명주-수정순으로 운행하던 노선이다.
개편 때 창원 버스 64이 되어서 존치되었다.
19 24-6번 (소답동-명주(순환)) - 신흥여객, 마창8개사
소답동 - 창원역 - 한국전력 - 시외터미널 -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내포 - 욱곡 - 명주 - 군령삼거리 - 다구 - 광암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소답동
2002년 3월경 신설된 노선으로 신흥여객과 마창8개사 매일 번갈아 가면서 운행하였다. 24-5번과 함께 수정-명주-진동순으로 운행하던 노선이다.
개편 때 창원 버스 63이 되어서 존치되었다.
20 24-7번 (주도-대방동) (폐선) - 신흥여객
주도 - 광암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로 - 무학여고 - 시외터미널 - 창원역 - 사단앞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지귀상가 - 대동그린코아 - 경남도청 - 법원.검찰청 - 대방초등학교 - 대방동
2002년 5월 3일 300-2번 좌석버스가 형간전환한 노선으로 신흥여객이 운행하던 노선이다. 원래 명주, 욱곡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형간전환 하면서 주도로 단축되었다. 운행 당시 3.5회, 약 27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2003년 하반기에 폐선되었다.
21 25번 (월영아파트-소답동)
월영아파트 - 제일여고 - 완월동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소답동
21번과 더불어 꽤 오래된 노선으로 월영아파트 연장만 제외하면 개편 전까지 변동 없이 꾸준히 다니던 노선. 21번과 차이점이라면 고운로 경유 여부 밖에 없었다. 그래도 21번에 비하면 배차간격이 조금 길기는 해도 개편 직전까지 다니기는 잘 다녀주던 노선이었다.
개편 때 폐선되었다.
22 26번 (덕동-소계동)
덕동 - 현동초등학교 - 새동네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마산역 - 시외터미널 - 구암동 - 소계시장 - 소계동
역시 16번과 마찬가지로 덕동-소계동 시리즈의 맏형에 해당하는 노선으로, 26-1, 26-2번 생기기 전 리즈시절때는 15분 간격으로 다니던 노선인데... 두 노선 분리 후 개편 직전까지는 45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개편 때 수정으로 바뀌고 구암동 구간이 순환노선으로 변경되어 창원 버스 260이 되었다
23 26-1번 (덕동-소계동)
덕동 - 현동초등학교 - 신산복도로 - 한우아파트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마산역 - 시외터미널 - 구암동 - 소계시장 - 소계동
90년대 초반, 신산복도로 개설로 26번에서 4대 분리로 신설된 노선. 개편 직전에는 2대 68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개편 때 별도 대체노선 없이 폐선되었다.
24 26-2번 (덕동-소계동)
덕동 - 가포날개 - 가포본동 - 가포고등학교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마산역 - 시외터미널 - 구암동 - 소계시장 - 소계동
1997년 19번, 19-1번, 29번이 폐선되면서 26/26-1번에서 차출되어 신설된 노선으로, 3대 45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개편 때 수정 연장 및 구암동 구간이 순환노선으로 변경되어 창원 버스 261이 되었다.
25 27번 (월영아파트-창원전문대(순환))
월영아파트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정우맨션 - 양덕1동 - 삼성병원 - 차룡단지 - 창원여중 - 소답시장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문성고 - 충혼탑 - 대원동 - 농산물시장 - 창원대로 - 차룡단지 - 삼성병원 - 양덕1동 - 정우맨션 - 수출후문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월영아파트
창원시내를 순환하던 흔한 노선으로, 27-1번과 더불어 창원농산물시장을 경유하는 몇 안되는 노선중 하나였으며, 팔용로에서 시내로 나오는 거의 유일한 일반버스였다. 과거 차룡단지길이 생기기 전에는 한국전력 - 창원역 경유로 운행 했었으며, 농산물시장에 진입하기 전에는 대원경남아파트와 창원터미널을 경유했었다.
개편 때 27-1번과 통합하여 대방동으로 연장, 창원 버스 106이 되었다.
26 27-1번 (경남대학교-창원전문대(순환))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정우맨션 - 양덕1동 - 삼성병원 - 차룡단지 - 창원대로 - 농산물시장 - 대원동 - 충혼탑 - 문성고 - 명서동 - 도계주유소 - 소답시장 - 창원여중 - 차룡단지 - 삼성병원 - 양덕1동 - 정우맨션 - 수출후문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창원시내를 순환하던 흔한 노선으로, 27번과 더불어 창원농산물시장을 경유하는 몇 안되는 노선중 하나였으며, 팔용로에서 시내로 나오는 거의 유일한 일반버스였다. 과거 차룡단지길이 생기기 전에는 한국전력 - 창원역 경유로 운행 했었으며, 농산물시장에 진입하기 전에는 대원경남아파트와 창원터미널을 경유했었다.
개편 때 27번과 통합하여 대방동으로 연장, 창원 버스 106이 되었다.
27 28번 (경남대학교-창원터미널)
28번 노선도
경남대학교 - 제일여고 - 한우아파트 - 서원곡입구 - 마산여중 - 경남은행본점 - 시외터미널/도원예식장 - 양덕1동 - 삼성병원 - 한국전력 - 창원역 - 소답시장(창원터미널 방향)/윤병원(경남대 방향) - 도계초등학교 - 명서동 - 대원동 - 대원경남아파트 - 창원터미널 - 농업기술센터 - 명서동 (이후 역순)
역시 옛날부터 운행하던 노선으로 과거에는 구암동 경유 소답동까지만 운행하였으나, 삼성병원 경유로 바뀌고 도계동으로 연장, 창원터미널로 연장 이후 대원동 경유가 추가되면서 위 노선으로 개편을 맞이하게 되었다.
주로 수요가 나올만한 곳들을 묘하게 피하는데다 이래저래 중복노선도 많아서 수요가 많지는 않았다. 그래서 파행운행이 잦았던 노선 중 하나이다. 당시 71-1번과 더불어 삼성병원 - 한국전력 코스로 운행하던 몇 안되던 노선[5]. 개편 이후로는 어느 노선도 이 코스를 이용하지 않는다.
개편 때 대체노선 없이 폐선되었다.
28 29번 (가포본동-소답동) (폐선)
가포본동 - 가포고등학교 - 한국철강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소답동
21번의 가포동 지선격인 노선으로 26-2번 노선이 신설되면서 1997년 폐선되었다.- ↑ 이 때 당시 창원구간 노선은 한국전력 - 창원터미널 - 대원동 - 충혼탑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병무청 - 도청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명서동 - 도계주유소 - 사단앞 - 창원역 - 한국전력 순으로 순환 운행 하였다
- ↑ 당시 우성여객 소속 읍면 노선들이 80번대 번호로 다닐 시절에도 21번과 동일노선이라는 팻말을 달고 다닐 정도였다.
- ↑ 개편 전에도 40번대 노선들과 100% 완벽한 중복이었음에도 폐선을 할 수 없었던게, 이 노선의 고정수요가 있어서라고 전해진다. 그 만큼 인지도 하나는 끝내줬다는 소리. 배차간격이 60분으로 늘어나도 파행운행을 하지 않고 꼬박꼬박 잘 다녔으니 말 다했다.
- ↑ 이 때 당시 창원구간 노선은 한국전력 - 창원터미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경창상가 - 삼일상가 - 병무청 - 도청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명서동 - 도계주유소 - 사단앞 - 창원역 - 한국전력 순으로 순환 운행 하였다
- ↑ 당시 한국전력 방향으로는 현재의 구암남11길, 삼성병원 방향으로는 현재의 구암남10길로 운행하였다.
두 길 모두 일방통행 동네 골목길인데 정류소까지 있었단건 함정